전력공학 7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력공학 7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상전압

2. 피뢰기

3.가공지선

4. 매설지선

5. 서지흡수기

6. 단로기 ( DS : Disconnecting Switch )

7. 차단기 ( CB : Circuit Breaker )

8. 계 전 기

본문내용

: 온도 민감. 서지에 약하다.
⑥ 디지털 계전기 ( 마이컴 이용) : 입력된 기준량과 실제 운전량을 비교하여
고장을 검출하는 방식
표준화가능(→ 자동화 시스템 채용), 성능의 변화가 없다.
(3) 동작시합에 의한 보호계전기의 분류
① 순한시 계전기 ( 고속도 계전기) : 고장 검출 즉시 동작하는 계전기
② 정한시 계전기 : 고장검출 일정 시간 후에 동작하는 계전기
③ 반한시 계전기 : 고장전류가 크면 동작시합이 짧고, 고장전류가 작으면 동작
시한이 길어져 동작하는 계전기.
④ 반한시 정한시성 계전기 : 고장전류가 적은 동안에는 고장 전류가 클수록
동작시한이 짧게 되지만 고장전류가 일정 값 이상
되면 정한시 특성을 갖는 계전기.
(4) 용도 및 사용목적에 따른 계전기의 분류
① 과전류 계전기 ( OCR ) : 전류가 일정값이상으로 흐를 때 동작하는 계전기.
② 과전압 계전기 ( OVR ) : 전압이 일정값이상이 되었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
③ 부족전압 계전기 ( UVR ) : 전압이 일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
④ 지락 계전기 (GR) : 지락사고시 발생하는 지락 전류에 의하여 동작하는 계전기.
→ 선택지락 계전기 ( SGR ), 지락방향 계전기( DGR )
⑤ 임피던스 (거리)계전기(ZR) : 전압 및 전류를 입력량으로 하여 전압과 전류의
비의 함수가 예정값 이하로 되었을 때 동작하는
계전기.
⑥ mho 계전기 : 방향특성을 갖는 거리 계전기.
(5) 기기(발전기, 변압기)의 내부 고장 검출 계전기
① 차동계전기 : 내부 고장 발생시 고저압측에 설치한 CT 2차전류의 차에 의하여
계전기를 동작시키는 방식
② 비율차동계전기 : 내부고장 발생시 고저압측에 설치한 CT 2차측의 억제 코일에 흐르는 전류차가 일정비율 이상이 되었을 때 계전기가 동작하는 방식
③ 부흐홀쯔 계전기 : 변압기 내부 고장으로 인한 절연유의 온도 상승 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검출하여 경보 및 차단을 하기 위한 계전기.
P 계기용변성기
(1) 계기용 변압기(PT)
고전압을 저전압으로 변성하여 배전반의 측정계기나 보호계전기의 전원공급을
하기 위한 변성기
→ PT의 결선
3상 3선식 : V 결선
3상 4선식 : Y 결선
(2) 계기용 변류기 (CT)
고압회로에 흐르는 대전류를 소전류로 변성하여 배전반의 측정계기나
보호계전기의 전원 공급을 위한 변성기
① CT의 결선
3상 3선식 : V 결선
3상 4선식 : Y 결선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04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10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