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기라면제조공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용기라면제조공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신체 전기저항 측정법(inbody)에 의한 결과 분석
2.식품섭취에 의한 영양판정(식사기록법)
3.혈액검사와 분석
4.고찰
-> 각 항목별로 무엇을 판단하는 지표인지 잘 설명되어 있음.

본문내용

에 의해 좌우되는 신장 기능의 지표
정상치 : 5~23mol/dl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BUN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k. Creatinine
신체 내에 존재하는 크레아틴의 98%가 근육 내에 존재하고 크레아틴의 대사산물인 크레아티닌은 신장에서 배설되는 노폐물의 하나임.
신체 내의 총 근육량을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지표
정상치 : 0.6~1.4mg/dl
이상치와 의심되는 질환
증가
신혈류량 감소, 신사구체 여과치 감소, 울혈성 신부전
감소
근영양실조, 간장애, 요붕증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Creatinine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l. Glu-FBS(glucose fasting blood sugar : 공복혈당)
당뇨병을 진단하는 지표
저혈당을 진단하는데도 이용됨.
정상치 : 70~120mg/dl
이상치와 의심되는 질환
증가
당뇨병 - 공복혈당 126mg/dl 이상, 당부하후 혈당 200mg/dl
감소
저혈당 - 탈력감, 식은 땀, 안면창백, 동계, 구역질 등 생명 위협
50mg/dl 이하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Glu-FBS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m.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혈중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SGOT)로 알려져 있으며 심장근, 간, 근육, 신장, 십이지장에서 발견 됨. 이 기관이 손상되면 12시간 내에 기관으로부터 AST가 혈액으로 흘러나옴.
정상치 : 38 IU/L 미만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AST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n. ALT(Alanine aminotranferase)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SGPT)로 알려져 있으며 주로 간에 높은 농도로 존재하고 신장근이나 신장, 골격근에 낮은 농도로 있음.
간에 손상이 오면 혈청 내의 ALT 상승
급성 간세포 손상시 예민한 지표
정상치 : 43 IU/L 미만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ALT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o. T.Chol(total cholesterol)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도나 지방대사의 평가, 신증후군, 췌장, 간질환, 갑상선 질환의 보조 진단적 검사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으면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침착하여 동맥경화를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됨.
정상치 : 130~220mg/dl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T.Chol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p. TG
정맥영양을 받고 있는 환자에서 지방 이용률을 측정하는 지표
정상치 : 40~150mg/dl
이상치와 의심되는 질환
증가
간질환, 감상선 기능저하증, 당뇨병, 십이지장염
감소
영양불량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TG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q. HDL-Chol
High Density Lipoprotein은 동맥경화 지수로 이용
정상치 : 42~74mg/dl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HDL-Chol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r. FFA(free fat acid)
지방산이 혈액에 분비되면 근육이나 간장에서 인슐린의 효과가 떨어짐.
혈중 지방산이 높아지면 세포는 포도당 대신 지방을 받아들이게 되어 포도당 유입이 방해받게 됨.
정상치 : 176~586uEq/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FFA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s. hs CRP
체내에 조직의 손상이 있을 때 조기에 혈청에 증가하는 단백의 일종.
폐렴구균에 의해서 발생하는 폐렴환자의 혈청에 많이 나타나고, 폐렴구균의 한성분인 C분획과 반응하므로 C반응성 단백(C-reactive protein)이라 부름.
염증이나 조직의 손상이 있는지를 검색할 때, 질환의 중등도를 평가할 때, 질환의 경과관찰 등에 대단히 유용한 검사
정상치 : 3 미만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hs CRP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t. Insulin
고혈당시 혈당을 낮추는 호르몬.
Type I 당뇨병의 진단 지표
정상치 : 2~25U/ml
⇒ 정상범주 안에 속하므로 Insulin 관련 질병 발생위험 낮음.
4. 고찰
- 인체계측, 혈액검사, 식생활 평가를 통하여 나의 건강상태를 평가해 보았다. 먼저 인체 계측 Inbody 검사결과를 봤을 때는 체중에 비해 체지방율이 비교적 높고 지방량을 감소시키고 근육량을 증가시켜야 한다는 것을 제시해 주었고, 또 waist to hip ratio 관측결과를 봤을 때 복부비만에 포함되지는 않지만 비교적 질병 발생률이 높은 범위 안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앞으로 유산소 운동을 통한 지방량 감소와 무산소 운동을 통한 약간의 근육량 증가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Can pro를 활용한 영양상태 평가에서는 내가 예상했던 것 보다는 더 좋은 결과가 나왔다. 부족 되기 쉬운 영양소인 철분에서는 4일 동안 권장 섭취량 이상을 섭취하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또 많은 사람들에게서 결핍을 보이는 칼슘은 역시 평균 필요량에 많이 못 미치는 양을 섭취함을 알 수 있었다. 또 비타민과 식이섬유소 같은 영양소에서도 결핍 발생확률이 높은 수준의 섭취량을 보였다. 이 역시 과일과 녹황색 채소의 섭취 부족으로 인한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의 식생활에서 많은 변화를 보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Can pro를 통한 조사에서도 program에 초기화에 저장된 상태가 실제 섭취한 음식과 동일하지 않고 재료들의 영양소 함량도 저장된 값과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하고 판단해야 할 것이다. 개인적인 판단에 의하면 가족과 떨어져 살면서부터 일주일에 2~3번 아침을 거르게 되고 식사 시간도 일정치 않고 유제품, 해조류, 과일류, 채소류의 섭취 빈도가 많이 감소했다고 판단된다. 이로 인하여 만성 피로에 찌들고 아침에 밥을 먹느니 차라리 10분이라도 자겠다는 악순환의 연속이 되고 있지 않은가 생각된다.
혈액검사를 통한 항목에서는 모든 치수가 정상 범위 안에 포함되기 때문에 특별히 언급을 할 것이 없었다. 이 역시 생각보다는 좋은 결과였기 때문에 약간 의아하지만 지금의 식습관과 영양상태가 계속 유지된다면 후에 많은 항목에서 정상치 이상 혹은 이하의 치수를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되므로 전체적인 생활패턴 수정의 필요성을 얻을 수 있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12.05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16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