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 장 건강보험제도
제 2 장 건강보험 요양급여기준
제 2 장 건강보험 요양급여기준
본문내용
S)이용 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제1매에 대해서 종합전문요양기관 43.32점, 종합병원 37.91점, 병원·의원 27.08점을 산정 제2매부터는 소정점수의 50%씩을 각각 가산 최대 5매까지만 산정
- 약품
상한금액 : 상한금액 내에서 실구입가로 청구 가능(상한가 넘길 수 없음)
전문의약품 : 반드시 의사의 처방만으로 환자가 구입이 가능한 약품
일반의약품 : 의사의 처방없이도 약국에서 구입이가능한 약품
대체조제 가능여부 : 약사는 의사 또는 치과의사가 처방전에 기재한 약품을 동일한 다른의약품으로 대체, 조제하고자 하는 경우 처방전 발행 의사·치과의사의 사전 동의가 있어야한다.
- 진료입력방법 (초진, 재진, 재진1/2의 구분)
원칙적으로 초·재진의 구분은 환자의 치료가 끝나는 날부터 30일후에 내원한 환자는 초진
완치판단이 불명확할 때 : 90일
해당상병의 치료가 종결되지 아니하여 계속 내원하는 경우 내원간격에 상관없이 재진환자로 간주
- 재진 1/2 : 외래환자의 진찰료(기본료+외래관리료)중 물리치료, 주사 등을 일시에 처방 지시하여 의사의 진찰행위 없이 매일반복 또는 반복 내원하여 시술받는 경우 진찰료중 기본진찰료(재진) 소정점수의 50%를 산정
- 약품
상한금액 : 상한금액 내에서 실구입가로 청구 가능(상한가 넘길 수 없음)
전문의약품 : 반드시 의사의 처방만으로 환자가 구입이 가능한 약품
일반의약품 : 의사의 처방없이도 약국에서 구입이가능한 약품
대체조제 가능여부 : 약사는 의사 또는 치과의사가 처방전에 기재한 약품을 동일한 다른의약품으로 대체, 조제하고자 하는 경우 처방전 발행 의사·치과의사의 사전 동의가 있어야한다.
- 진료입력방법 (초진, 재진, 재진1/2의 구분)
원칙적으로 초·재진의 구분은 환자의 치료가 끝나는 날부터 30일후에 내원한 환자는 초진
완치판단이 불명확할 때 : 90일
해당상병의 치료가 종결되지 아니하여 계속 내원하는 경우 내원간격에 상관없이 재진환자로 간주
- 재진 1/2 : 외래환자의 진찰료(기본료+외래관리료)중 물리치료, 주사 등을 일시에 처방 지시하여 의사의 진찰행위 없이 매일반복 또는 반복 내원하여 시술받는 경우 진찰료중 기본진찰료(재진) 소정점수의 50%를 산정
추천자료
노인장기요양보험에 대해서A+ (현황 및 개념, 내용, 외국사례)
노인장기요양보험 및 요양보호사
노인장기요양보험법(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개선방향 연구보고서(10년06월작성)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체계와 현황 및 실태 그리고 선진국의 장기요양보험제도 및 우리나라의 ...
노인장기요양보험 이해 및 요양보호사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안내 자료.pptx
[사회복지법제론]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장기요양)
장기요양보험법 레포트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목적 및 주요특징, 법적 근...
노인장기요양보험법 -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의미와 내용
(의료사회사업론 B형) 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요, 노인장기요양 인정신청, 등급판...
의료醫療사회사업론2B)우리나라 노인장기요양보험의 개요, 노인장기요양 인정신청, 등급판정,...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해외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의 비교분석,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험제도에 대한 평가와 앞으로의 개선방향에 대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