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감상문] '트로이(브래드피드)'를 보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감상문] '트로이(브래드피드)'를 보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차
1. 영화 ‘트로이’ 줄거리

2. 선정 이유

3. 토론에 필요한 내용
① 폭력주의와 비폭력주의
② 대항폭력과 완전비폭력주의
③ 방어폭력과 보복폭력

4. 논제
① 논제1, 예상 가능한 반론
② 논제2, 예상 가능한 반론
③ 논제3

본문내용

피라는 다른 방법이 있다. 왜 맞서 방어폭력을 하는 방법도 있는데 굳이 도피를 택해야 하냐고 묻는다면 그러한 사고 자체가 이미 폭력을 지향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싶다. 대항폭력이 폭력으로 행해지기는 하지만 엄연히 비폭력주의의 하나로 가능하면 폭력을 행하지 않는 다는 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므로 폭력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그러한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이 대항폭력의 올바른 태도일 것이다. 만약에 도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흔히 약간의 폭력을 행하지 않고는 도피하기 힘든 상황이 있다. 하지만 그러한 경우에 행한 폭력이라도 폭력은 항상 문제를 야기할 뿐이다. 발표조는 폭력문제에 대한 가장 합리적인 대응, 즉 폭력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합당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개인이 절대 폭력을 당하기 싫다면 그건 어쩔 수 없는 일이다. 하지만 그러한 행동은 앞에서도 말했듯이 전세계의 폭력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될 수 없다.
- 간디는 완전비폭력주의가 성공한 좋은 사례일 뿐이다. 그러한 사례를 가지고 완전비폭력주의가 언제나 가장 성공적이며 효과적이라고 할 수는 없지 않을까?
발표조는 가장 이상적인 사례로 간디를 제시했을 뿐이지 간디의 경우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다. 완전비폭력주의가 어떻게 폭력에 대한 가장 합리적인 대응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어느 정도 충분히 근거를 제시했다고 생각한다. 비록 부족하고 어설픈 면이 있을지 모르지만 적어도 간디라는 좋은 사례 하나에 의존해서 논제를 풀어나갔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간디는 완전비폭력주의가 이론적인 것만이 아니라 현실적으로도 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하나의 사례로 제시했을 뿐이다.
③ 논제3 : 완전비폭력주의를 오늘날 현실에 적용시킬 때, 그리고 침략적 폭력이 아닌 경우에 한정시킬 때, 대항폭력과 완전비폭력주의 중 합당한 대응은 어떠한 것인가?
앞에서도 말했듯이 발표조는 완전비폭력주의를 지향한다. 영화 속의 상황은 국가 간의 전쟁, 즉 침략행위로 나타나는 폭력이지만 오늘날 현실에서는 전쟁에 의한 폭력문제뿐 아니라 국가 내에서 일어나는 사회적인 폭력문제도 중요하게 여겨진다. 구체적으로 광우병으로 인한 미국산 소 수입문제에 대한 집단시위, 폭력에 의한 강제적인 노점상 철거 등 사회적으로 일어나기 쉬운 폭력문제들에 대해서 완전비폭력주의가 어떻게 합당한 대응인지 알아보자.
첫째, 사회적으로 부당한 폭력에 대하여 대항폭력으로 맞대응 하는 것은 모순된 논리이다. 부당한 폭력을 고발하고 반대하는 입장에서 같은 폭력으로 맞대응 한다는 것은 이미 주장하고 있는 바에 반대되는 행동을 취하는 것이므로 모순이다. 또한 이것은 상대방의 폭력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해주는 행동이 될 수 있다.
둘째, 완전비폭력주의는 더 강력하게 의지를 관철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부당한 폭력에 대항하는 것은 물론 힘들고 어려운 일이지만 일반적으로 비폭력으로 대항하는 것은 폭력으로 대항하는 것보다 더 힘들고 어려운 길이다. 그렇기에 비폭력 저항 운동은 상대방과 제3자 모두에게 더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2.07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2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