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맑스와 엥겔스의 문화관 개요
2. 맑스와 엥겔스의 문화론
3. 맑스와 엥겔스의 문화주의의 문제
2. 맑스와 엥겔스의 문화론
3. 맑스와 엥겔스의 문화주의의 문제
본문내용
투쟁은 과도기에 격화되는 것이고 따라서 ‘대항 이데올로기’, 대항 문화라는 것도 과도기에만 가능한 현상이라는 해석이다. 실제로 맑스와 엥겔스의 생각은 이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또한가지 다른 해석은 헤게모니를 쥐지는 못하더라도 대항 이데올로기, 대항 문화는 늘상 존재한다는 해석이다. 이 두 해석은 현대 사회의 ‘대중 문화’를 보는 서로 다른 두가지 해석으로 이어진다. 전자의 해석을 확대하면,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대중 문화는 지배 계급의 문화 산업에 의해 전면적으로 침투된 대중적 기만에 불과하다(프랑크푸르트 학파). 한편 후자의 해석을 확대 적용하면 대중 문화는 지배 계급의 이데올로기와 ‘대항 이데올로기’가 투쟁과 갈등을 벌이는 장소, 그럼으로써 타협적 평형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네오그람시주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