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원격교육(remote-education)과 가상교육(cybereducation)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2. 직접처리장치(DASD)와 순차처리장치(SASD)에 대해 설명하시오.
3. 주기억장치의 종류를 들고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4. 펌웨어(Firmware)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5. 고정소수점 표현방식과 부동소수점 표현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6. 다음을 2진수로 변환하시오.
7. OSI 표준 Model과 TCP/IP Model을 비교 설명하시오.
8. 다음에 나오는 국제 표준화 관련기관과 국내 표준화 관련기관에 대해서 조사하시오.
9. 다음의 용어들을 설명하시오.
2. 직접처리장치(DASD)와 순차처리장치(SASD)에 대해 설명하시오.
3. 주기억장치의 종류를 들고 각각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4. 펌웨어(Firmware)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5. 고정소수점 표현방식과 부동소수점 표현방식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6. 다음을 2진수로 변환하시오.
7. OSI 표준 Model과 TCP/IP Model을 비교 설명하시오.
8. 다음에 나오는 국제 표준화 관련기관과 국내 표준화 관련기관에 대해서 조사하시오.
9. 다음의 용어들을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적으로 처리해 준다.
③ 클라이언트(Client) 시스템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서버 관계에서, 어떤 일을 요구하는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시 웹브라우저를 통해 페이지에 관한 요구를 웹 서버에게 할 수 있는데, 이때 브라우저 그 자체는 요구된 HTML 파일을 가져오고 돌려주는 관계에 있어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반면에 HTML 파일을 보내고 받는 등 컴퓨터의 요구를 실제로 처리하는 것은 서버이다.
④ Ethernet
☞1976년 Xerox사가 발표한 근거리통신망. 동축케이블을 사용한 베이스밴드 CSMA/CD 방식을 채택하였고 초기에는 3Mbps의 전송속도로 동작하였다. 이는 1970년 하와이대 학에서 발표한 무선 데이터 통신망인 Alohanet을 케이블 상에서 구현한 것이다. 한편 1980년에는 DEC, Intel과 Xerox 3사가 공동으로 Ethernet 1.0 규격을 공표하였고 이 것은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만 이루어진 지금의 Ethernet의 근원이 되었 다. 이는 다시 국제 표준기구인 IEEE에 의하여 표준화되어 802.3 LAN으로 불리 우 기도 한다. 이와 같은 Ethernet은 물리적 전송속도가 10Mbps이고 인접시스템간의 거 리는 2.5m, 스테이션 간의 최대 거리는 2.5Km로 총 1000개의 시스템을 지원하며 버 스형 동축 케이블 상에서 베이스 밴드, CSMA/CD방식으로 동작한다. 현재는 다양한 매체와 회로 기술의 발달로 꼬임 쌍선 상에서 베이스밴드 방식으로 운영하거나 동축 케이블 상에서 브로드밴드방식으로 동작하기도 한다.
③ 클라이언트(Client) 시스템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서버 관계에서, 어떤 일을 요구하는 프로그램, 또는 사용자 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시 웹브라우저를 통해 페이지에 관한 요구를 웹 서버에게 할 수 있는데, 이때 브라우저 그 자체는 요구된 HTML 파일을 가져오고 돌려주는 관계에 있어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수행한다. 반면에 HTML 파일을 보내고 받는 등 컴퓨터의 요구를 실제로 처리하는 것은 서버이다.
④ Ethernet
☞1976년 Xerox사가 발표한 근거리통신망. 동축케이블을 사용한 베이스밴드 CSMA/CD 방식을 채택하였고 초기에는 3Mbps의 전송속도로 동작하였다. 이는 1970년 하와이대 학에서 발표한 무선 데이터 통신망인 Alohanet을 케이블 상에서 구현한 것이다. 한편 1980년에는 DEC, Intel과 Xerox 3사가 공동으로 Ethernet 1.0 규격을 공표하였고 이 것은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만 이루어진 지금의 Ethernet의 근원이 되었 다. 이는 다시 국제 표준기구인 IEEE에 의하여 표준화되어 802.3 LAN으로 불리 우 기도 한다. 이와 같은 Ethernet은 물리적 전송속도가 10Mbps이고 인접시스템간의 거 리는 2.5m, 스테이션 간의 최대 거리는 2.5Km로 총 1000개의 시스템을 지원하며 버 스형 동축 케이블 상에서 베이스 밴드, CSMA/CD방식으로 동작한다. 현재는 다양한 매체와 회로 기술의 발달로 꼬임 쌍선 상에서 베이스밴드 방식으로 운영하거나 동축 케이블 상에서 브로드밴드방식으로 동작하기도 한다.
추천자료
병렬처리시스템구조에 대해서 (1)
멤브레인을 이용한 폐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연구
[정보처리]PC의 구성 요소(하드웨어) - 워드프로세서(문서실무)
환경오염의 발생과 처리-실제적 연구 적용
[디지털신호처리] 음성 신호의 잡음 제거
폐기물의 혐기성 소화처리 공정기술(메탄발효)
[IT와경영정보시스템]하드웨어 분류 방식 중 직렬처리 방식에 비해 병렬처리 방식의 특징을 ...
[화일처리론] 대규모 데이터의 외부 정렬 알고리즘 설계 및 비교
석유정제 석유화학 산업폐수처리
[측정 장치, 지구자기장, 열전도, 염도 및 온도, 가스, 대기오염, 미소거리]지구자기장 측정 ...
수입실무 및 수입절차, 수입대금 결제 방식, 수입업무 참고자료, 수입 대행, 수입물품 반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