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물 부족론의 대두
2. 왜 물 부족 국가인가?
3. 정부 정책과 문제점
4. 대안 제시
5. 결론
2. 왜 물 부족 국가인가?
3. 정부 정책과 문제점
4. 대안 제시
5. 결론
본문내용
책을 실시할 때는 여론 조사와 더불어 다양한 방법(예-누진세)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아무리 선진국에 미해 물 값이 싸다 하더라도 서민들에게 물 값 인상은 큰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4.3. 물 값이 인상되어 국민들의 물 절약 욕구가 늘어나게 되면, 국민들의 삶의 질 문제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에 와서 국민들에게 목욕 횟수를 줄이라거나 설거지용 물을 절약하라고 하는 것은 그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 할 수 있기 때문이다.(물론 절약하는 생활을 몸에 베도록 해야 하지만...)이를 위해 우리 나라에 있는 많은 건축물에 물 절약 기기를 설치하는 일 또한 중요하다. 현재 시범지구에서 실시하고 있는 것을 확대 실시하고 새로 짓는 건축물에 반드시 시행토록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료 8]미국의 물 절약기기 사용가정과 비사용가정 비교
비절약형 기구 절약형 기구
1인당 사용량(리터)퍼센트 1인당 사용량(리터)퍼센트
화장실 변기 83.3 28 24.2 13
변기 누수 15.5 5 15.5 8
목욕조 26.5 9 26.5 14
수도꼭지 34.1 12 32.2 17
식기세척기 9.1 3 9.1 5
세탁기 62.5 22 47.7 26
샤워꼭지 61.7 21 31.0 17
합계 292.6 100 186.5 100
관련기사4.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물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올해 중 시범지구로 선정된 공동주택 7,249가구에 대해 검침공무원과 공공근로 인력을 투입하여 절수 기기를 설치한다고 11일 밝혔다.
절수 기기 설치로 변기 사용 1회 때 평균 6ℓ(현재 양변기 13ℓ)의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등 1가구 1개 절수 기기를 설치하면 4인 가족 기준 연간 물 절약은 절수 량 43.8㎥에 1만9천8백58원의 비용이 절감된다.
<경향신문>
5. 결론
수도료의 인상,중수도의 보급,누수 율의 개선,물 절약 기기의 사용등의 제도적 대책 마련과 물 절약 홍보에 힘 쓴다면 20% 물 절약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정부는 많은 반대 여론을 무릅쓰고 현재 계획하고 있는 10여 개의 댐을 건설하는 것보다 물 절약 대책의 체계적 시행이 훨씬 현실성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선진국의 물 사용과 우리 나라의 현실을 비교해볼 때 이러한 수치는 환상이 아니라고 본다.이제는 우리가 몸으로 실천해야 할 때이다.
*목차
1. 물 부족론의 대두
2. 왜 물 부족 국가인가?
3. 정부 정책과 문제점
4. 대안 제시
5. 결론
4.3. 물 값이 인상되어 국민들의 물 절약 욕구가 늘어나게 되면, 국민들의 삶의 질 문제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에 와서 국민들에게 목욕 횟수를 줄이라거나 설거지용 물을 절약하라고 하는 것은 그 실현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 할 수 있기 때문이다.(물론 절약하는 생활을 몸에 베도록 해야 하지만...)이를 위해 우리 나라에 있는 많은 건축물에 물 절약 기기를 설치하는 일 또한 중요하다. 현재 시범지구에서 실시하고 있는 것을 확대 실시하고 새로 짓는 건축물에 반드시 시행토록 철저히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자료 8]미국의 물 절약기기 사용가정과 비사용가정 비교
비절약형 기구 절약형 기구
1인당 사용량(리터)퍼센트 1인당 사용량(리터)퍼센트
화장실 변기 83.3 28 24.2 13
변기 누수 15.5 5 15.5 8
목욕조 26.5 9 26.5 14
수도꼭지 34.1 12 32.2 17
식기세척기 9.1 3 9.1 5
세탁기 62.5 22 47.7 26
샤워꼭지 61.7 21 31.0 17
합계 292.6 100 186.5 100
관련기사4.
광주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물 절약을 유도하기 위해 올해 중 시범지구로 선정된 공동주택 7,249가구에 대해 검침공무원과 공공근로 인력을 투입하여 절수 기기를 설치한다고 11일 밝혔다.
절수 기기 설치로 변기 사용 1회 때 평균 6ℓ(현재 양변기 13ℓ)의 물을 절약할 수 있는 등 1가구 1개 절수 기기를 설치하면 4인 가족 기준 연간 물 절약은 절수 량 43.8㎥에 1만9천8백58원의 비용이 절감된다.
<경향신문>
5. 결론
수도료의 인상,중수도의 보급,누수 율의 개선,물 절약 기기의 사용등의 제도적 대책 마련과 물 절약 홍보에 힘 쓴다면 20% 물 절약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정부는 많은 반대 여론을 무릅쓰고 현재 계획하고 있는 10여 개의 댐을 건설하는 것보다 물 절약 대책의 체계적 시행이 훨씬 현실성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선진국의 물 사용과 우리 나라의 현실을 비교해볼 때 이러한 수치는 환상이 아니라고 본다.이제는 우리가 몸으로 실천해야 할 때이다.
*목차
1. 물 부족론의 대두
2. 왜 물 부족 국가인가?
3. 정부 정책과 문제점
4. 대안 제시
5. 결론
키워드
추천자료
국가GIS정책에 대하여
자원의 동원과 배분 - 정치적 물적 인적 자원 및 사회적 가치
국가기록물의 관리
국가 성립 이론
지역경제의 역량강화 국가균형발전
수자원의 정의와 부족현상, 대처방안
[낙동강][낙동강오염]낙동강의 수질오염과 낙동강의 수량부족 고찰 및 과거 낙동강의 페놀오...
한국의 국가브랜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환경지구과학 - 국내 외 수자원 부족의 사례와 해결방안
[롯데칠성음료][롯데칠성][게토레이][2%부족할때]롯데칠성음료 게토레이, 롯데칠성음료 2%부...
[부동산시장과 정책 4공통] 다른 재화와 달리 부동산과 부동산시장이 가지는 독특한 속성(특...
방통대 경영학과 4학년 중간 과제물시험 B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