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Toll Like Receptor의 구조
- Toll Like Receptor의 종류 및 기능
- Toll Like Receptor의 신호전달기작
- Toll Like Receptor의 종류 및 기능
- Toll Like Receptor의 신호전달기작
본문내용
선천성 면역 담당세포 자체에서 생성된 물질을 감지하기도 한다. TLR 중, TLR9은 비메틸화 형태의CpG deoxynucleotide (CpG DNA)를 감지한다. CpG는대부분의 박테리아나 바이러스 게놈에서는 비메틸화 형태가보편적이지만, 척추동물 게놈에서는 비메틸화가 억제되고 대신 메틸화 형태로 존재한다. 엔도좀 (endosome)에 위치하는TLR9의특징은침입한박테리아나바이러스의핵산을효과적으로 감지하고, 자신의 DNA 내에 존재하는 CpG motif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도 방지한다. TLR9은 여러 종류의 면역담당 세포 중에서B 임파구와 특화된 수지상 세포에서 주로 발현되지만, 활성화된 호중구나 폐상피세포에서도 발현된다. 그러나 면역을 담당하는 이외의 세포에서 TLR9 발현의 생물학적 중요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TLR9 자극으로 활성화된 면역세포는 보조 단백질 발현을 증진시키고, 세포사멸에 저항성을 나타내며, 케모카인 수용체를조절할뿐만아니라, 케모카인과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일으키기도 한다. CpG DNA에 의한 면역세포의 자극은 내면화 (internalization)를 필요로 하며 자발적으로 일어나며, 엔도좀 속으로 내면화된 CpG motif는 TLR9과 반응한 후, 어뎁터 단백질 Myd88와 신속하게 결합하며, interleukin-1 receptor-associatedkinase-1 (IRAK1), interferon regulatory-7 (IRF7) 및 tumor necrosisfactor-a receptor activated fsctor-6 (TRAF6)의 활성화 및 결합을 유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