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과 한국경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 론> ------------------------------- 2p

<본 론>

Ⅰ. APEC의 성장 배경 ---------------------- 2p

Ⅱ. APEC의 발전과정과 연혁 ----------------- 3p

Ⅲ. APEC의 구성 -------------------------- 4p

Ⅳ. APEC의 특성과 의의 --------------------- 5p

Ⅴ. APEC의 과제 및 전망 -------------------- 6p

<결 론> ------------------------------- 7p

<참고(인용) 문헌> ----------------------- 8p

본문내용

익을 추구하고 있다. 이러한 소지역의 경제 블록 들이 블록 간 통합단계를 거치면서 종국적으로는 세계경제의 자유화와 개방화를 완성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경제통합에 대한 논의는 1960년 이후 계속되어 왔으나 본격적인 계기는 1989년에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초의 정부 간 경제협력체인 APEC이 발족되면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2차 APEC 정상회의인 보고르 회의에서는 2010년에 선진 권 그룹이, 2020년에는 후진 권 그룹까지 참여하는 APEC 회원국 간 무역자유화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이 합의됨으로써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이 지역의 경제통합은 세계경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고, 한국의 입장에서도 APEC의 경제 통합 단계에서 많은 경제적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첫째, 한국은 APEC 경제 통합 단계에서 후진 권에 속하는 것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후진 권에 속해서 충분한 보호효과의 이점을 활용하면서 경제통합에 참여하는 것이 한국에 유리할 것이다. 그러나 국제 경제 환경 측면에서 한국이 OECD 가입, IMF에서 선진 권으로 분류되는 등 선진 권으로 간주하는 시각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실리와 명분의 선택에 있어서, 장기적인 측면에서 이해득실을 고려하여 APEC 경제통합의 참여를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APEC 경제통합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한국은 선진 권에 대한 무역수지는 악화되고, 후진 권에 대한 무역수지는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APEC 회원국 중에서 한국의 국제경쟁력이 선진 권과 후진 권 사이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국은 APEC 경제통합에 대비한 국내기업 및 정부차원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은 그 지리적 위치로 APEC의 연계를 추진할 수 있는 가장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으며, 미주와 유럽의 갈등 속에서 부수적 효과도 기대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한다. 따라서 현재 참가하고 있는 APEC에서의 역할을 보다 적극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 ASEM에의 능동적 참여로 아시아와 유럽을 연결하는 중심적 역할에 주력하여야 한다.
여타 지역주의에 대한 우리의 가장 바람직한 대응은 다자주의 활성화를 통해 역외차별을 완화해 나가는 방법이겠으나, 단기적으로는 일정한 경제협력체나 경제통합체의 시장침투를 위한 종합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동남아국가들이 ASEAN으로 결속되어 있는 데 비하여,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 국가들 간의 협력체제는 미약하여 향후 동아시아국가들 간의 의견 조정과정에서 ASEAN의 일방적 주도를 우려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한국의 지역주의 전략의 궁극적인 핵심은 남북한 간의 경제협력에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향후 북한의 개방 & 개혁 등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필요한 변화를 유도함은 물론 세계경제의 지역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방안의 일환으로서도 남북경제협력을 전향적인 입장에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인용) 문헌>
1. 세계화와 한국 (을유문화사, 2001년) - 국제 관계 연구회 펴냄
2. FTA와 한국 경제의 미래 (새로운 사람들, 2004년) - 박종귀 지음
3. 국제 관계와 한국 (법문사, 2004년) - 조순구 지음
4. 글로벌 시대의 국제 경영 (학문사, 2003년) - 김희철 지음
5.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4&dir_id=414&eid=37pG5INueh10xPV5XHHx//y5Oa+4zwXw&ts=1116337844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2.15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51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