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선정동기
Ⅱ. 회사소개
Ⅲ. 상황분석
Ⅳ. 레인콤의 마케팅 전략
1. 차별화 전략
2. 브랜드 자산
Ⅴ. 마케팅 전략의 문제점
1. 차별화 전략의 문제점
2. 브랜드 자산 구축의 문제점
Ⅵ. 해결방안과 개선점
1. 차별화 전략의 문제점 해결방안
2. 브랜드 자산 구축의 문제점 해결방안
Ⅶ. 시사점/편집후기
Ⅱ. 회사소개
Ⅲ. 상황분석
Ⅳ. 레인콤의 마케팅 전략
1. 차별화 전략
2. 브랜드 자산
Ⅴ. 마케팅 전략의 문제점
1. 차별화 전략의 문제점
2. 브랜드 자산 구축의 문제점
Ⅵ. 해결방안과 개선점
1. 차별화 전략의 문제점 해결방안
2. 브랜드 자산 구축의 문제점 해결방안
Ⅶ. 시사점/편집후기
본문내용
거 같은 저가 식품을 선호해 관련 업체의 주가가 오른다는 이야기다.
12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초 19만4500원으로 시작한 농심의 주가는 이날 연초보다 소폭 상승한 20만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가 1897.13에서 1100대로 40% 이상 급락한 것을 감안하면 선방한 모습이다.
농심의 선전은 이 회사 매출의 70%가량을 차지하는 라면 제품의 매출 호조에서 비롯됐다. 내수 침체로 대부분 식품 매출이 줄고 있지만 농심의 전년 대비 라면 판매(수량 기준)는 올해 전체로 1%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대표 제품인 신라면 가격은 올해 초 650원에서 750원으로 급등하는 등 단가 인상 효과로 라면 매출이 지난해보다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국제 곡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라면의 주재료인 밀가루 가격이 떨어지는 점도 농심의 실적에 긍정적이다.
우리투자증권의 최자현 애널리스트는 “미국에서 맥도널드 판매가 호조를 보이는 것처럼 국내 식품시장에서도 경기 불황기를 맞아 라면 등 저가제품의 매출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맥도널드는 경제위기에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들이 더 싼 메뉴를 선호하면서 10월 점포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8.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위의 신문기사가 아이고서라도 현재에 미국의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하여 세계적으로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는 사실이다.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소비가 위축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고가의 제품보다는 저가의 제품을 선호한다. 아이리버는 현재 3만원에서 20만원에 이르는 고가의 제품과 저가의 제품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는데 높은 가격의 제품을 줄이고 낮은 가격을 제품을 늘리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경기침체가 아니더라도 MP3는 소비자들에게 저관여 제품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저가의 제품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3) Promotion
* 촉진전략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최근에 <1+1> 이라고 하는 소위 끼워 팔기 방식의 판매가 유행하고 있다. 이것은 저렴한 가격으로 2개의 제품을 동시에 판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저렴하게 2개의 제품을 구입할 수 있어서 이득이 되고 기업의 입장에서도 판매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이득이 되는 일이다. 서로가 이득이 되는 일인 것이다. 이러한 판매 촉진 방식을 MP3판매에도 도입하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위의 사진처럼 휴대폰을 구매할 때 아이리버의 MP3를 끼워서 팔게 되면 휴대폰 판매량도 증가하고 MP3판매량도 증가하는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TV광고
아이리버는 기존의 유명 연예인을 통한 감성을 자극하는 TV광고에서 탈피하여 MP3제품의 품질과 디자인을 전달할 수 있는 TV광고로 전환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소비자들은 MP3를 구매할 때 품질과 디자인을 우선적으로 보는데 이러한 소비자들의 경향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지금처럼 감성을 자극하는 TV광고를 시행하게 된다면 소비자들은 냉담하게 반응하게 될 것이다.
2. 브랜드 자산 구축의 문제점 해결방안
<브랜드 차별화 유형>
브랜드 유형
실 례
차별화의 기준
강조되는 마케팅 믹스
소비자욕구와 관여도
경영상 해결과제
기능적 브랜드
미원, 애니콜, 마하3, 맥도날드
뛰어난 성능,뛰어난 가격
제품, 가격 혹은 유통
생리적 욕구, 안정 욕구, 상대적으로 낮은 관여도
경쟁력 우위 유지
이미지 브랜드
빈폴, 워터맨, 랄프로렌,
바람직한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광고
사회적 및 명예욕구 등에 높은 관여도
브랜드 전통과 소비자욕구 변화 사이에서 균형 유지
경험적 브랜드
에버랜드, 나이키, 디즈니, 새턴
독특하고 참여하는 경험
서비스 제공, 장소(유통)와 사람
자아실현 욕구, 다소 높은 수준의 관여도
서비스 제공 일관성, 소비자 기대의 증가
(자료 : 마케팅 전략론 제2판. 2007. 한상만, 하영원, 장대련 )
위의 표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브랜드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나뉠수 있다. 기능적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경험적 브랜드로 나뉘게 된다. 이 중에서 아이리버가 추구하는 브랜드는 이미지 브랜드로서 소비자의 감성적인 부분을 자극하고 제품의 전체적인 느낌을 전달하려 한다. 하지만 현재 MP3의 소비자는 감성적인 부분보다 품질과 디자인과 같은 실용적인 부분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기존의 이미지 브랜드에서 기능적 브랜드로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능적 브랜드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앞서 말한 것처럼 제품에 있어서의 품질향상과 다양한 디자인 개발이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하고 다음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책정되어야 하며 광고에 있어서도 실용적인면을 두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실행될 때에 기능적 브랜드의 구축이 가능해진다.
Ⅶ. 시사점/편집 후기
1. 시사점
이번 연구조사를 통하여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연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브랜드 자신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측면에서 제품의 어떤 특징에 중점을 둘 것인지에 대해서, 가격의 측면에서 높음 가격의 제품일지 낮은 가격의 제품일지에 대해서, 광고의 측면에서 실용적인 광고일지 쾌락적이고 감성적인 광고일지에 대해서,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들이 모두 하나의 방향을 지향하게 됨에 따라 특징적인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브랜드는 기업의 경쟁력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3. 참고 문헌
* 레인콤 홈페이지 http://www.reigncom.com/
* 옥션 MP3판매 사이트 http://www.auction.co.kr/
* 한국개발연구소 http://www.kdi.re.kr/
* [산업경제분석(KDI) - 국내 MP3플레이어 업체의 생존전략], 유현선, 2006. 2.
* [Chaing Korean - 변화하는 한국인의 가치관과 소비 패턴], 컨슈머인사이트팀, 김은하
* [마케팅 전략론 제2판] 한상만, 하영원, 장대련. 2007
* 매일경제신문 사이트 http://www.mk.co.kr/
12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초 19만4500원으로 시작한 농심의 주가는 이날 연초보다 소폭 상승한 20만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가 1897.13에서 1100대로 40% 이상 급락한 것을 감안하면 선방한 모습이다.
농심의 선전은 이 회사 매출의 70%가량을 차지하는 라면 제품의 매출 호조에서 비롯됐다. 내수 침체로 대부분 식품 매출이 줄고 있지만 농심의 전년 대비 라면 판매(수량 기준)는 올해 전체로 1% 이상 늘어날 전망이다. 대표 제품인 신라면 가격은 올해 초 650원에서 750원으로 급등하는 등 단가 인상 효과로 라면 매출이 지난해보다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국제 곡물 가격이 하락하면서 라면의 주재료인 밀가루 가격이 떨어지는 점도 농심의 실적에 긍정적이다.
우리투자증권의 최자현 애널리스트는 “미국에서 맥도널드 판매가 호조를 보이는 것처럼 국내 식품시장에서도 경기 불황기를 맞아 라면 등 저가제품의 매출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전날 맥도널드는 경제위기에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들이 더 싼 메뉴를 선호하면서 10월 점포 매출이 전년 동월 대비 8.2%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위의 신문기사가 아이고서라도 현재에 미국의 금융위기의 여파로 인하여 세계적으로 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는 사실이다. 경기가 어려운 상황에서는 소비가 위축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고가의 제품보다는 저가의 제품을 선호한다. 아이리버는 현재 3만원에서 20만원에 이르는 고가의 제품과 저가의 제품을 다양하게 보유하고 있는데 높은 가격의 제품을 줄이고 낮은 가격을 제품을 늘리는 방향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경기침체가 아니더라도 MP3는 소비자들에게 저관여 제품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저가의 제품이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3) Promotion
* 촉진전략
위의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최근에 <1+1> 이라고 하는 소위 끼워 팔기 방식의 판매가 유행하고 있다. 이것은 저렴한 가격으로 2개의 제품을 동시에 판매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저렴하게 2개의 제품을 구입할 수 있어서 이득이 되고 기업의 입장에서도 판매를 늘릴 수 있기 때문에 이득이 되는 일이다. 서로가 이득이 되는 일인 것이다. 이러한 판매 촉진 방식을 MP3판매에도 도입하며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위의 사진처럼 휴대폰을 구매할 때 아이리버의 MP3를 끼워서 팔게 되면 휴대폰 판매량도 증가하고 MP3판매량도 증가하는 시너지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TV광고
아이리버는 기존의 유명 연예인을 통한 감성을 자극하는 TV광고에서 탈피하여 MP3제품의 품질과 디자인을 전달할 수 있는 TV광고로 전환해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소비자들은 MP3를 구매할 때 품질과 디자인을 우선적으로 보는데 이러한 소비자들의 경향에 대해 고려하지 않고 지금처럼 감성을 자극하는 TV광고를 시행하게 된다면 소비자들은 냉담하게 반응하게 될 것이다.
2. 브랜드 자산 구축의 문제점 해결방안
<브랜드 차별화 유형>
브랜드 유형
실 례
차별화의 기준
강조되는 마케팅 믹스
소비자욕구와 관여도
경영상 해결과제
기능적 브랜드
미원, 애니콜, 마하3, 맥도날드
뛰어난 성능,뛰어난 가격
제품, 가격 혹은 유통
생리적 욕구, 안정 욕구, 상대적으로 낮은 관여도
경쟁력 우위 유지
이미지 브랜드
빈폴, 워터맨, 랄프로렌,
바람직한 이미지
커뮤니케이션 광고
사회적 및 명예욕구 등에 높은 관여도
브랜드 전통과 소비자욕구 변화 사이에서 균형 유지
경험적 브랜드
에버랜드, 나이키, 디즈니, 새턴
독특하고 참여하는 경험
서비스 제공, 장소(유통)와 사람
자아실현 욕구, 다소 높은 수준의 관여도
서비스 제공 일관성, 소비자 기대의 증가
(자료 : 마케팅 전략론 제2판. 2007. 한상만, 하영원, 장대련 )
위의 표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브랜드의 유형은 크게 3가지로 나뉠수 있다. 기능적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경험적 브랜드로 나뉘게 된다. 이 중에서 아이리버가 추구하는 브랜드는 이미지 브랜드로서 소비자의 감성적인 부분을 자극하고 제품의 전체적인 느낌을 전달하려 한다. 하지만 현재 MP3의 소비자는 감성적인 부분보다 품질과 디자인과 같은 실용적인 부분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기존의 이미지 브랜드에서 기능적 브랜드로의 변화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기능적 브랜드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앞서 말한 것처럼 제품에 있어서의 품질향상과 다양한 디자인 개발이 우선적으로 실행되어야 하고 다음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책정되어야 하며 광고에 있어서도 실용적인면을 두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실행될 때에 기능적 브랜드의 구축이 가능해진다.
Ⅶ. 시사점/편집 후기
1. 시사점
이번 연구조사를 통하여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연계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브랜드 자신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제품의 측면에서 제품의 어떤 특징에 중점을 둘 것인지에 대해서, 가격의 측면에서 높음 가격의 제품일지 낮은 가격의 제품일지에 대해서, 광고의 측면에서 실용적인 광고일지 쾌락적이고 감성적인 광고일지에 대해서, 등 여러 가지 면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들이 모두 하나의 방향을 지향하게 됨에 따라 특징적인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브랜드는 기업의 경쟁력을 가져다주는 것이다.
3. 참고 문헌
* 레인콤 홈페이지 http://www.reigncom.com/
* 옥션 MP3판매 사이트 http://www.auction.co.kr/
* 한국개발연구소 http://www.kdi.re.kr/
* [산업경제분석(KDI) - 국내 MP3플레이어 업체의 생존전략], 유현선, 2006. 2.
* [Chaing Korean - 변화하는 한국인의 가치관과 소비 패턴], 컨슈머인사이트팀, 김은하
* [마케팅 전략론 제2판] 한상만, 하영원, 장대련. 2007
* 매일경제신문 사이트 http://www.mk.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