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장관 튜브 끝에 인접하여 연결시킨다.
2. 튜브가 들어감에 따라 (절차 101), EtCO₂값은 증가패턴으로 관찰된다.
3. 10-15 mmHg 보다 큰 수치가 나오면 튜브를 제거해야 한다.
4. 10 mmHg 보다 낮은 수치가 나올 경우, 환자가 3번 호흡할 때까지 기다린다. 0 mmHg의 수치가 나오면, 튜브가 제자리에 자리 잡은 상태이다.
5. EtCO₂수치가 0보다 높은 수치가 나오면 튜브를 제거하고 재삽입을 시도해야 한다.
6. 청진과 위 분비물의 추출과 같은 튜브 배치상태를 확인하는 다른 방법들역시 필요하다.
연령에 따른 고려사항
15Kg (33 lb)이하의 환자에 대해, Nellcor사의 Pedi-CAP은 3ml의 사강을 가지므로 그것을 사용하도록 지시된다 (Nellcor, 2000). 의사들은 공기가 100ml/min의 속도에 이르기까지 일부 비주류 장치들에 의해 제거된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합병증
1. Pedi-CAP이 15Kg(33 lb)이상의 환자에게 사용될 경우, 기도 저항의 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 Easy Cap이 15Kg(33 lb)이하인 환자에게 사용될 경우, 과도한 사강에 부닥칠 수 있다.
2. 식도 삽관에 관련된 중요한 합병증이 존재한다 ( 절차 9를 참조하라.).
--------------------------------------------------------
-참조-
EtCO₂파형 (capnograms). A, 정상적인 CO₂파형. 파형의 움직임이 아래로 향하기 전 그래프의 평탄역 끝 부분에서 EtCO₂측정을 한다. 정상 수치범위는 35-45 mmHg이다. B, 장애를 나타내는 CO₂파형. 두 번째 나타나는 파형은 “상어지느러미” 타입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 파형은 폐쇄성 폐질환(천식)을 가진 환자 또는 환자의 기도 또는 환기장치 회로에서 기계적 장애를 가진 경우에 나타난다. C, 재호흡을 보여주는 CO₂파형. 기준선을 벗어나는 형태를 나타내면서, EtCO₂수치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이 파형은 부적절한 기계적 환기 장치의 장착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다. 또한 재호흡을 위해 백을 사용하는 환자에게서 일어날 수 있다. D, 식도 ETT장착경우의 CO₂파형. EtCO₂수치는 급격히 제로상태로 떨어진다. 이것은 매우 어려운 식도 삽관에서 그리고 ETT가 잘못 놓일 경우 일어날 수 있다. 이 파형은 CPR동안 폐순환을 전혀 하지 않는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도 있다.
2. 튜브가 들어감에 따라 (절차 101), EtCO₂값은 증가패턴으로 관찰된다.
3. 10-15 mmHg 보다 큰 수치가 나오면 튜브를 제거해야 한다.
4. 10 mmHg 보다 낮은 수치가 나올 경우, 환자가 3번 호흡할 때까지 기다린다. 0 mmHg의 수치가 나오면, 튜브가 제자리에 자리 잡은 상태이다.
5. EtCO₂수치가 0보다 높은 수치가 나오면 튜브를 제거하고 재삽입을 시도해야 한다.
6. 청진과 위 분비물의 추출과 같은 튜브 배치상태를 확인하는 다른 방법들역시 필요하다.
연령에 따른 고려사항
15Kg (33 lb)이하의 환자에 대해, Nellcor사의 Pedi-CAP은 3ml의 사강을 가지므로 그것을 사용하도록 지시된다 (Nellcor, 2000). 의사들은 공기가 100ml/min의 속도에 이르기까지 일부 비주류 장치들에 의해 제거된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합병증
1. Pedi-CAP이 15Kg(33 lb)이상의 환자에게 사용될 경우, 기도 저항의 증가가 일어날 수 있다. Easy Cap이 15Kg(33 lb)이하인 환자에게 사용될 경우, 과도한 사강에 부닥칠 수 있다.
2. 식도 삽관에 관련된 중요한 합병증이 존재한다 ( 절차 9를 참조하라.).
--------------------------------------------------------
-참조-
EtCO₂파형 (capnograms). A, 정상적인 CO₂파형. 파형의 움직임이 아래로 향하기 전 그래프의 평탄역 끝 부분에서 EtCO₂측정을 한다. 정상 수치범위는 35-45 mmHg이다. B, 장애를 나타내는 CO₂파형. 두 번째 나타나는 파형은 “상어지느러미” 타입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 파형은 폐쇄성 폐질환(천식)을 가진 환자 또는 환자의 기도 또는 환기장치 회로에서 기계적 장애를 가진 경우에 나타난다. C, 재호흡을 보여주는 CO₂파형. 기준선을 벗어나는 형태를 나타내면서, EtCO₂수치 또한 증가될 수 있다. 이 파형은 부적절한 기계적 환기 장치의 장착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다. 또한 재호흡을 위해 백을 사용하는 환자에게서 일어날 수 있다. D, 식도 ETT장착경우의 CO₂파형. EtCO₂수치는 급격히 제로상태로 떨어진다. 이것은 매우 어려운 식도 삽관에서 그리고 ETT가 잘못 놓일 경우 일어날 수 있다. 이 파형은 CPR동안 폐순환을 전혀 하지 않는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도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