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소년의 비애」
● 줄거리
● 감상의 길잡이
● 등장 인물의 성격
● 핵심 사항 정리
「 무 명 」
● 줄거리
● 감상의 길잡이
● 등장 인물의 성격
● 핵심 사항 정리
「 개척자 」
● 줄거리
● 감상의 길잡이
● 등장 인물의 성격
● 핵심 사항 정리
「 흙 」
● 줄거리
● 감상의 길잡이
● 등장 인물의 성격
● 핵심 사항 정리
● 줄거리
● 감상의 길잡이
● 등장 인물의 성격
● 핵심 사항 정리
「 무 명 」
● 줄거리
● 감상의 길잡이
● 등장 인물의 성격
● 핵심 사항 정리
「 개척자 」
● 줄거리
● 감상의 길잡이
● 등장 인물의 성격
● 핵심 사항 정리
「 흙 」
● 줄거리
● 감상의 길잡이
● 등장 인물의 성격
● 핵심 사항 정리
본문내용
선과 결혼을 하였으나 부귀영화를 버리고 농촌의 개혁을 위해 헌신함.
▶윤정선 : 허숭의 아내. 신교육을 받은 부잣집 딸로 부러울 것 없이 곱게 자란 도 시 여성. 사치·허영심에다가 행실이 좋지 않음. 자신의 영화만을 위해 살았으나 부정한 행동을 한 후 깊이 뉘우치고 자살하려다 다리를 잃고 나서 남편을 이해하고 농촌개혁에 헌신함.
▶유순 : 순박한 시골 처녀. 허숭을 사랑하나 허숭의 중매로 한갑에게 시집을 가게 되고 유건영의 모함에 빠진 한갑에게 5개월 된 임산부 몸으로 죽음을 당 함.
▶김갑진 : 귀족 가문에서 곱게 자란, 동경 제대 출신의 인텔리. 남작의 아들이었 으나 아버지가 주색과 투기를 해 남작 예우가 정지 되었으며 수재로서 법학공부를 했으나 농촌사람을 교화 되지 않은 야만인으로 생각하고 자신이 최고의 남자인 줄 알고 남을 무시함. 주색잡기로 세상을 살다 후에 허숭(許崇) 의 영향으로 개과천선하여 농촌 개혁에 뛰어 듬.
▶한민교 : 교직자로 재직하면서 뜻있는 학생들과 친분을 가지며 조선의 발전과 농촌개혁을 하는 데 힘쓰도록 이끌어 주는 지도자.
▶이건영 :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왔으나 자신의 학벌을 이용하여 부잣집 딸 과 혼인하여 재산을 얻으려고 여러 여자를 건드리고 따라다닌다. 직업 도 없이 빈둥대는 생활을 함.
▶유정근 : 시골 부잣집 아들로 동경 유학을 했으나 성격이 거만하고 간교한 사람 으로 여자를 좋아하고 가난한 농촌사람들을 이용하여 고리대금과 장리 로 많은 재산을 모음. 후일 작은갑으로 인해 마음을 고쳐먹고 농촌 개 혁에 동조함.
▶작은갑 : 농민이며 말이 없고 침착하여 허숭이 제일 믿는 사람으로 유건영으로 인해 징역을 살고 나와 유건영이 고장 망치는 것을 보고 있을 수 없어 자신의 아내와의 간통을 빌미로 유정근을 위협하여 개과천선 하게 함.
▶서선희 : 정선의 친구로 장로의 딸이었으나 아버지가 죽자 삼촌 밑에서 살았고 아버지의 유산을 삼촌에게 빼앗기고 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기생이 됨. 허숭을 만나 개심하여 농촌개혁에 뛰어 듬.
● 핵심 사항 정리
▶갈래 : 장편 소설, 농촌 계몽 소설.
▶배경 : 시간 - 1930년대 초
공간 - 서울, 살여울, 검불랑
▶사상 : 귀농 사상, 민족주의·계몽 사상
▶구성 - 발단 - 여름 방학 동안 야학을 마치고 상경하는 허숭. 유순이를 그리워함.
전개 - 허숭은 정선과의 갈등 심화로 낙향을 결심함.
위기 - 정선의 자살 기도. 정근의 밀고로 허숭의 투옥. 살여울에서 과거 의 암울한 생활로 회귀.
절정 - 작은갑의 헌신으로 마을의 이익 되찾음. 정근의 잘못 시인.
결말 - 허숭의 영향으로 귀농해 개간 사업을 하는 김갑진.
▶상황 : 삼일 운동이 지난 십 여년 후 일본이 만주를 삼킨 이듬해 해외 독립운동 이나 항일 테러도 풀이 죽고 국내 문화 운동에는 탄압이 거세지고 공상 주의 사상의 소나기가 한차례 지나 갈 무렵 정치·문화에 대한 정열은 현 실문제 타개로 방향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공산사상에 마음이 쏠리지 않은 지식층은 브나로드 운동이 유일한 탈출로가 되었다.
▶작품경향 : 계몽적, 설교적, 민족적, 인도적
(1) 계몽운동, 사상 혁명의 시도: 인생의 가치를 늘려 나갈려는
일본주의의 주창이며 유교 적 윤리에 대한 반항.(자신의 헌신,
부도덕한 성에 대한 표현)
(2) 민족을 위해 봉사 하여야 한다는 사명감이 기반이다.
(3) 브나로드 운동의 반영.
▶시점 : 3인칭 전지적 시점
▶주제 : ① 피폐한 농촌의 계몽과 귀농 의식.
② 조국의 발전을 위한 젊은 인재들은 농촌 개혁운동에 참여 계몽.
※ 이광수의 문학작품 전반에 대한 견해
<흙>은 동아일보에 연재된 작품으로, 허숭이라는 지식인을 중심으로 농촌의 피폐한 모습과 그로부터 농민을 구하기 위한 농촌 계몽운동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 소설이다. 1930년대 초반 조선 농촌의 궁핍과 문맹이라는 참담한 상황으로부터 농촌을 구하자는 운동이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제창된 문맹퇴치운동과 농촌계몽운동이었다.
<무명(無明)>은 불교에서 주장하는 근본 번뇌, 즉 불법(佛法)의 진리에 어두운 무지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결국 이 작품이 지향하는 바도 이와 같은 무명 세계의 실상인 것이다. 그러한 무명 세계는 한 감옥에 수감된 여러 죄수들의 대비된 성격과 삶의 태도 등을 통해 극한 상황 속에서의 인간의 욕망과 그로 인한 대립 갈등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빛이라고는 보이지 않는' 민족의 암담하고 비극적인 현실을 그려냄으로써 민족의 자아 각성과 자주성 회복을 촉구하고 있는 작품으로 보기도 한다.
<소년의 비애>는 그의 본격적인 단편문학의 처녀작인 동시에 한국 최초의 근대소설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1917년 <청춘(靑春)>지에 발표된 그의 첫 단편소설로 계몽주의적 정신이 짙게 반영되어 있다. 종래의 유교적 인습에 따른 결혼 제도의 비판과 신교육의 필요성을 주제로 하고 있음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이광수의 자서전적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무렵의 춘원의 생활관이나 사상이 잘 나타나 있는 점에서 그렇다.
<무정>은 1917년에 발표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장편 소설이다. 작가 이광수는 교육을 통한 민족의 계몽과 근대화, 그리고 일제 강점으로부터 해방이라는 목표를 추구하기 위하여 창작했다. 그러나 주제를 구현하려는 의도가 앞서 작품의 문학성이 떨어지고 말았다는 부정적 평가를 받기도 한다.
<개척자>는 봉건사상과 자유연애관이 대립하던 근대화시기를 배경으로 봉건적 인습의 타파와 신사상의 고취를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작품으로 계몽성을 띤 민족주의적 이데올로기 소설이라는 의의를 가지게 된다. 과학발흥에 대한 집념을 가진 김성재, 자유연애사상을 가진 신여성 김성순을 통해 개척자라는 소설의 제목을 이해할 수 있었고 무정에 가려 그 작품이 크게 평가 받지는 못했지만 이광수 소설의 중요한 다리 역할이 된 작품이라고 본다.
정리한다면 춘원 이광수의 문학작품은 전반적으로 '계몽'과 근대화를 통한 자의식 각성과 민족의 자주성 회복을 중심으로 했다. 비록 자신은 친일적인 성향이었으나 작품 속에서는 또한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나려는 모습도 보여준다.
▶윤정선 : 허숭의 아내. 신교육을 받은 부잣집 딸로 부러울 것 없이 곱게 자란 도 시 여성. 사치·허영심에다가 행실이 좋지 않음. 자신의 영화만을 위해 살았으나 부정한 행동을 한 후 깊이 뉘우치고 자살하려다 다리를 잃고 나서 남편을 이해하고 농촌개혁에 헌신함.
▶유순 : 순박한 시골 처녀. 허숭을 사랑하나 허숭의 중매로 한갑에게 시집을 가게 되고 유건영의 모함에 빠진 한갑에게 5개월 된 임산부 몸으로 죽음을 당 함.
▶김갑진 : 귀족 가문에서 곱게 자란, 동경 제대 출신의 인텔리. 남작의 아들이었 으나 아버지가 주색과 투기를 해 남작 예우가 정지 되었으며 수재로서 법학공부를 했으나 농촌사람을 교화 되지 않은 야만인으로 생각하고 자신이 최고의 남자인 줄 알고 남을 무시함. 주색잡기로 세상을 살다 후에 허숭(許崇) 의 영향으로 개과천선하여 농촌 개혁에 뛰어 듬.
▶한민교 : 교직자로 재직하면서 뜻있는 학생들과 친분을 가지며 조선의 발전과 농촌개혁을 하는 데 힘쓰도록 이끌어 주는 지도자.
▶이건영 : 미국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왔으나 자신의 학벌을 이용하여 부잣집 딸 과 혼인하여 재산을 얻으려고 여러 여자를 건드리고 따라다닌다. 직업 도 없이 빈둥대는 생활을 함.
▶유정근 : 시골 부잣집 아들로 동경 유학을 했으나 성격이 거만하고 간교한 사람 으로 여자를 좋아하고 가난한 농촌사람들을 이용하여 고리대금과 장리 로 많은 재산을 모음. 후일 작은갑으로 인해 마음을 고쳐먹고 농촌 개 혁에 동조함.
▶작은갑 : 농민이며 말이 없고 침착하여 허숭이 제일 믿는 사람으로 유건영으로 인해 징역을 살고 나와 유건영이 고장 망치는 것을 보고 있을 수 없어 자신의 아내와의 간통을 빌미로 유정근을 위협하여 개과천선 하게 함.
▶서선희 : 정선의 친구로 장로의 딸이었으나 아버지가 죽자 삼촌 밑에서 살았고 아버지의 유산을 삼촌에게 빼앗기고 전문학교를 졸업한 후 기생이 됨. 허숭을 만나 개심하여 농촌개혁에 뛰어 듬.
● 핵심 사항 정리
▶갈래 : 장편 소설, 농촌 계몽 소설.
▶배경 : 시간 - 1930년대 초
공간 - 서울, 살여울, 검불랑
▶사상 : 귀농 사상, 민족주의·계몽 사상
▶구성 - 발단 - 여름 방학 동안 야학을 마치고 상경하는 허숭. 유순이를 그리워함.
전개 - 허숭은 정선과의 갈등 심화로 낙향을 결심함.
위기 - 정선의 자살 기도. 정근의 밀고로 허숭의 투옥. 살여울에서 과거 의 암울한 생활로 회귀.
절정 - 작은갑의 헌신으로 마을의 이익 되찾음. 정근의 잘못 시인.
결말 - 허숭의 영향으로 귀농해 개간 사업을 하는 김갑진.
▶상황 : 삼일 운동이 지난 십 여년 후 일본이 만주를 삼킨 이듬해 해외 독립운동 이나 항일 테러도 풀이 죽고 국내 문화 운동에는 탄압이 거세지고 공상 주의 사상의 소나기가 한차례 지나 갈 무렵 정치·문화에 대한 정열은 현 실문제 타개로 방향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공산사상에 마음이 쏠리지 않은 지식층은 브나로드 운동이 유일한 탈출로가 되었다.
▶작품경향 : 계몽적, 설교적, 민족적, 인도적
(1) 계몽운동, 사상 혁명의 시도: 인생의 가치를 늘려 나갈려는
일본주의의 주창이며 유교 적 윤리에 대한 반항.(자신의 헌신,
부도덕한 성에 대한 표현)
(2) 민족을 위해 봉사 하여야 한다는 사명감이 기반이다.
(3) 브나로드 운동의 반영.
▶시점 : 3인칭 전지적 시점
▶주제 : ① 피폐한 농촌의 계몽과 귀농 의식.
② 조국의 발전을 위한 젊은 인재들은 농촌 개혁운동에 참여 계몽.
※ 이광수의 문학작품 전반에 대한 견해
<흙>은 동아일보에 연재된 작품으로, 허숭이라는 지식인을 중심으로 농촌의 피폐한 모습과 그로부터 농민을 구하기 위한 농촌 계몽운동의 모습을 그리고 있는 소설이다. 1930년대 초반 조선 농촌의 궁핍과 문맹이라는 참담한 상황으로부터 농촌을 구하자는 운동이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제창된 문맹퇴치운동과 농촌계몽운동이었다.
<무명(無明)>은 불교에서 주장하는 근본 번뇌, 즉 불법(佛法)의 진리에 어두운 무지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결국 이 작품이 지향하는 바도 이와 같은 무명 세계의 실상인 것이다. 그러한 무명 세계는 한 감옥에 수감된 여러 죄수들의 대비된 성격과 삶의 태도 등을 통해 극한 상황 속에서의 인간의 욕망과 그로 인한 대립 갈등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빛이라고는 보이지 않는' 민족의 암담하고 비극적인 현실을 그려냄으로써 민족의 자아 각성과 자주성 회복을 촉구하고 있는 작품으로 보기도 한다.
<소년의 비애>는 그의 본격적인 단편문학의 처녀작인 동시에 한국 최초의 근대소설로 평가되는 작품이다. 1917년 <청춘(靑春)>지에 발표된 그의 첫 단편소설로 계몽주의적 정신이 짙게 반영되어 있다. 종래의 유교적 인습에 따른 결혼 제도의 비판과 신교육의 필요성을 주제로 하고 있음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이광수의 자서전적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무렵의 춘원의 생활관이나 사상이 잘 나타나 있는 점에서 그렇다.
<무정>은 1917년에 발표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장편 소설이다. 작가 이광수는 교육을 통한 민족의 계몽과 근대화, 그리고 일제 강점으로부터 해방이라는 목표를 추구하기 위하여 창작했다. 그러나 주제를 구현하려는 의도가 앞서 작품의 문학성이 떨어지고 말았다는 부정적 평가를 받기도 한다.
<개척자>는 봉건사상과 자유연애관이 대립하던 근대화시기를 배경으로 봉건적 인습의 타파와 신사상의 고취를 주제라고 할 수 있는 작품으로 계몽성을 띤 민족주의적 이데올로기 소설이라는 의의를 가지게 된다. 과학발흥에 대한 집념을 가진 김성재, 자유연애사상을 가진 신여성 김성순을 통해 개척자라는 소설의 제목을 이해할 수 있었고 무정에 가려 그 작품이 크게 평가 받지는 못했지만 이광수 소설의 중요한 다리 역할이 된 작품이라고 본다.
정리한다면 춘원 이광수의 문학작품은 전반적으로 '계몽'과 근대화를 통한 자의식 각성과 민족의 자주성 회복을 중심으로 했다. 비록 자신은 친일적인 성향이었으나 작품 속에서는 또한 일제 강점기에서 벗어나려는 모습도 보여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