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전환사채(CB)의 정의
Ⅲ. 전환사채(CB)의 발행동기
Ⅳ. 전환사채(CB)의 역할
1. 대리인비용가설(Agency Costs Hypothesis)
2. 재무위험비용가설 (Costs of Financial Distress Hypothesis)
Ⅴ. 전환사채(CB)의 발행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1. Ross의 보상 - 신호 전달 모형
2. Miller & Rock의 모형
3. Myers & Majulf의 모형
Ⅵ. 전환사채(CB)의 발행시 검토사항
1. 중요 발행조건 검토
2. 전환사채 발행조건
3. 발행 시 고려사항
1) 발행규모
2) 전환대상 주식
3) 표면이율
4) 전환비율
5) 발행시기
참고문헌
Ⅱ. 전환사채(CB)의 정의
Ⅲ. 전환사채(CB)의 발행동기
Ⅳ. 전환사채(CB)의 역할
1. 대리인비용가설(Agency Costs Hypothesis)
2. 재무위험비용가설 (Costs of Financial Distress Hypothesis)
Ⅴ. 전환사채(CB)의 발행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
1. Ross의 보상 - 신호 전달 모형
2. Miller & Rock의 모형
3. Myers & Majulf의 모형
Ⅵ. 전환사채(CB)의 발행시 검토사항
1. 중요 발행조건 검토
2. 전환사채 발행조건
3. 발행 시 고려사항
1) 발행규모
2) 전환대상 주식
3) 표면이율
4) 전환비율
5) 발행시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신 전환가액을 높게 책정할 수 있다.
전환권행사가 곤란할 경우 저율의 표면금리로 발행되는 전환사채는 매출이 어렵다. 이러한 투자위험을 제거해 주기 위해 만기도래시 미전환된 전환사채에 타 금융상품에 상응하는 수익률을 보장해 주는 것이 만기보장수익율이다. 전환청구기간 동안 코스닥 등록 등이 확실시 되는 기업은 높은 보장수익율로 발행금리를 더욱 낮출 수 있고, 전환사채의 소화를 용이하게 하는 등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전환사채 발행조건
① 이자지급 방법 : 매 사업 연도 말 후급
② 상 환 기 한 : 자율적으로 결정
③ 전 환 가 액 : 상장법인은 기준주가의 90%이상이나, 비상장법인은 주식공모전에는 발행주식의 액면가액 이상, 주식공모이후는 공모가액 이상
④ 전환청구기간 : 자율적으로 정하되 대개 정관에서 정하는 바에 의하여 발행일 익일부터 상환 직전일까지로 되어 있음
⑤ 전환금지기간 :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3개월이 경과한 후에 전환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이를 발행하여야 한다. 다만, 모집이외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발행후 1년이 경과한 후에 전환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이를 발행하여야 함
⑥ 기한전상환창구: 기한전 상환청구 : 비상장법인이 전환사채 발행후 1년 이내에 당해 법인의 주권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지 아니한 때에는 전환사채권자가 상환기한전에 원리금 상환을 청구할 수 있고, 발행회사는 청구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이를 지급한다는 조건으로 발행되어야 한다. 기한전 상환청구시의 상환가액은 발행회사가 발행시에 제시한 기한전 상환청구시 적용되는 이자율에 의하여 산출한 발행일로부터 경과일까지의 이자액(기이자수령액 차감)을 권면액에 가산한 금액으로 한다(사채의 발행조건에 관한 기준)
3. 발행 시 고려사항
1) 발행규모
전환사채의 발행규모는 상법상 사채발행한도와 소요자금계획, 발행시점에 있어서 주식동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발행기업의 정관에 규정된 한도 내에서 발행하여야 하며, 전환대상 주식이 무의결권 우선주인 경우에는 전환 후 납입자본의 1/4이내의 범위 내(코스닥 등록법인은 1/2이내)에서만 발행이 가능하다.
2) 전환대상 주식
전환사채 발행의 궁극적인 목적이 회사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낮은 비용으로 장기저리 자금을 조달하는 데 있으므로 보통주식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보통주로 전환을 정하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경영지배권의 약화를 초래하여 경영권의 침해를 받을 수 있다. 전환대상 주식을 보통주식으로, 우선주식으로 또는 일정금액의 보통주식과 일정금액의 우선주식의 병행할 것인지를 정관상에 정하여야 한다.
3) 표면이율
표면이율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환조건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보증사채 이율보다 낮은 것이 보통이다. 현재는 0~7%에서 주로 발행이 되고 있다. 발행회사가 스스로 모집하는 경우에는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주간사 회사를 통하여 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발행회사와 주간사의 협의에 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4) 전환비율
전환비율이란 전환사채와 이에 대하여 주어질 주식의 비율을 말하는 데, 전환비율도 전환사채 발행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 즉 전환비율에 따라 전환사채의 발행금액도 달라지고, 전환사채의 평가도 달라지고, 투자자의 호응도가 결정된다. 전환비율을 부분전환(100% 이내)으로 발행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100% 전환으로 발행하는 기업이 대부분이다.
5) 발행시기
일반적으로 전환사채의 가치는 전환전의 채권가치 뿐만 아니라 향후 주가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겨냥한 주식가치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주식시장 전체의 시황전망이나 개별기업의 향후전망이 유리하게 전망될 때, 발행하는 것이 발행회사의 입장에서는 보다 저렴하게 전환사채를 통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권영준·김주현·최홍식, 우리나라 전환사채시장과 주식시장의 연관성 분석, 증권학회지 재 14집, pp.485~521, 1992
◎ 문병수 외, 외화자금조달신무, 국제금융연구원, 1995
◎ 손기원, 기업회계 정보의 이해, 경영베스트, 2003
◎ 우춘식, 전환사채의 발행 공시에 따른 주가반응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재무관리연구, 제 12권 호, 1996
◎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08
◎ 정성창, 해외전환사채 발행의 정보효과에 관한 연구, 증권학회지 제16집, 1994
◎ 최영해, 해외증권발행공시의 정보효과에 관한 실증적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1992
전환권행사가 곤란할 경우 저율의 표면금리로 발행되는 전환사채는 매출이 어렵다. 이러한 투자위험을 제거해 주기 위해 만기도래시 미전환된 전환사채에 타 금융상품에 상응하는 수익률을 보장해 주는 것이 만기보장수익율이다. 전환청구기간 동안 코스닥 등록 등이 확실시 되는 기업은 높은 보장수익율로 발행금리를 더욱 낮출 수 있고, 전환사채의 소화를 용이하게 하는 등 일거양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전환사채 발행조건
① 이자지급 방법 : 매 사업 연도 말 후급
② 상 환 기 한 : 자율적으로 결정
③ 전 환 가 액 : 상장법인은 기준주가의 90%이상이나, 비상장법인은 주식공모전에는 발행주식의 액면가액 이상, 주식공모이후는 공모가액 이상
④ 전환청구기간 : 자율적으로 정하되 대개 정관에서 정하는 바에 의하여 발행일 익일부터 상환 직전일까지로 되어 있음
⑤ 전환금지기간 :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3개월이 경과한 후에 전환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이를 발행하여야 한다. 다만, 모집이외의 방법으로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발행후 1년이 경과한 후에 전환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이를 발행하여야 함
⑥ 기한전상환창구: 기한전 상환청구 : 비상장법인이 전환사채 발행후 1년 이내에 당해 법인의 주권을 증권거래소에 상장하지 아니한 때에는 전환사채권자가 상환기한전에 원리금 상환을 청구할 수 있고, 발행회사는 청구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이를 지급한다는 조건으로 발행되어야 한다. 기한전 상환청구시의 상환가액은 발행회사가 발행시에 제시한 기한전 상환청구시 적용되는 이자율에 의하여 산출한 발행일로부터 경과일까지의 이자액(기이자수령액 차감)을 권면액에 가산한 금액으로 한다(사채의 발행조건에 관한 기준)
3. 발행 시 고려사항
1) 발행규모
전환사채의 발행규모는 상법상 사채발행한도와 소요자금계획, 발행시점에 있어서 주식동향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또한 발행기업의 정관에 규정된 한도 내에서 발행하여야 하며, 전환대상 주식이 무의결권 우선주인 경우에는 전환 후 납입자본의 1/4이내의 범위 내(코스닥 등록법인은 1/2이내)에서만 발행이 가능하다.
2) 전환대상 주식
전환사채 발행의 궁극적인 목적이 회사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낮은 비용으로 장기저리 자금을 조달하는 데 있으므로 보통주식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보통주로 전환을 정하는 경우에는 상황에 따라 경영지배권의 약화를 초래하여 경영권의 침해를 받을 수 있다. 전환대상 주식을 보통주식으로, 우선주식으로 또는 일정금액의 보통주식과 일정금액의 우선주식의 병행할 것인지를 정관상에 정하여야 한다.
3) 표면이율
표면이율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환조건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보증사채 이율보다 낮은 것이 보통이다. 현재는 0~7%에서 주로 발행이 되고 있다. 발행회사가 스스로 모집하는 경우에는 신중하게 결정하여야 한다. 주간사 회사를 통하여 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발행회사와 주간사의 협의에 의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4) 전환비율
전환비율이란 전환사채와 이에 대하여 주어질 주식의 비율을 말하는 데, 전환비율도 전환사채 발행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부분이다. 즉 전환비율에 따라 전환사채의 발행금액도 달라지고, 전환사채의 평가도 달라지고, 투자자의 호응도가 결정된다. 전환비율을 부분전환(100% 이내)으로 발행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100% 전환으로 발행하는 기업이 대부분이다.
5) 발행시기
일반적으로 전환사채의 가치는 전환전의 채권가치 뿐만 아니라 향후 주가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겨냥한 주식가치에 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주식시장 전체의 시황전망이나 개별기업의 향후전망이 유리하게 전망될 때, 발행하는 것이 발행회사의 입장에서는 보다 저렴하게 전환사채를 통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권영준·김주현·최홍식, 우리나라 전환사채시장과 주식시장의 연관성 분석, 증권학회지 재 14집, pp.485~521, 1992
◎ 문병수 외, 외화자금조달신무, 국제금융연구원, 1995
◎ 손기원, 기업회계 정보의 이해, 경영베스트, 2003
◎ 우춘식, 전환사채의 발행 공시에 따른 주가반응에 관한 실증적 연구, 재무관리연구, 제 12권 호, 1996
◎ 이철송, 회사법강의, 박영사, 2008
◎ 정성창, 해외전환사채 발행의 정보효과에 관한 연구, 증권학회지 제16집, 1994
◎ 최영해, 해외증권발행공시의 정보효과에 관한 실증적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1992
추천자료
(조직개발) 삼성전자 조직개발 사례 분석
기업합병 M&A
M&A에 관하여 [ 기업 인수합병 ]
소수지배구조
코아스웰 2009년 1분기 재무분석 및 전망 ( 2009년4분기까지)
PPT파일] 삼성문제와 관련된 우리나라의경제 issue(상속세폐지 문제와 owner경영)
주식회사의 이사회와 대표이사
금융위원회 규정
회계원리 요약
[경영학] 구조화 채권의 종류와 시사점
[중소벤처기업][기업]중소벤처기업의 성격, 중소벤처기업의 역할, 중소벤처기업의 정책이념, ...
기업법 주주총회
[기업경영][기업]기업 팀운영, 기업 이사회운영, 기업 E비즈니스(E-biz, 이비즈니스)운영,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