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 줄거리
2. 범인의 성장배경
3. 범행동기
4. 피해자 선정
5. 범죄자 & 피해자의 특성
6. 범죄의 유형
2. 범인의 성장배경
3. 범행동기
4. 피해자 선정
5. 범죄자 & 피해자의 특성
6. 범죄의 유형
본문내용
픔에 동조하지 않으며, 죄책감이나 양심의 가책과는 거리가 먼 전형적인 사이코패스의 특성을 보인다. 하지만 자신의 목적이 달성되고, 더 이상의 공격대상이 없어지자 자살로서 자신의 생을 마감하는 염세적인 특성도 보인다.
2) 피해자의 특성
대수는 자신이 피해자임과 동시에 가해자이다.
처음 납치된 상황에서 자신이 감금된 상황을 인정하기 싫어 발악을 하지만 결국 현실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 피해자 역시 밀폐된 공간에서 15년이라는 세월을 견디게 된 것은 자신을 이렇게 가둔 범인을 찾아 복수를 해야 한다는 목적이 삶의 지탱이 되게 해 준다. 밀폐된 공간적 특성과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불안한 정서의 심리적 측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몸 안에서 개미가 기어 다니는 환각의 정신장애를 보이지만 워낙 복수를 해야 한다는 목적이 강했기 때문에 정신장애의 증세는 통제가 된다.
6. 범죄의 유형
적대적 공격성의 폭력적 범죄의 유형이다.
범죄의 목적이 재산이나 명예를 위한 것이 아니고, 단순히 피해 대상자, 즉, 인간에게 고통과 위해를 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살인, 감금, 폭행 등의 범죄로 볼 때 사회 규범적으로 통하지 않는 반사회적 공격의 범죄 유형이 된다.
2) 피해자의 특성
대수는 자신이 피해자임과 동시에 가해자이다.
처음 납치된 상황에서 자신이 감금된 상황을 인정하기 싫어 발악을 하지만 결국 현실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 피해자 역시 밀폐된 공간에서 15년이라는 세월을 견디게 된 것은 자신을 이렇게 가둔 범인을 찾아 복수를 해야 한다는 목적이 삶의 지탱이 되게 해 준다. 밀폐된 공간적 특성과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불안한 정서의 심리적 측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몸 안에서 개미가 기어 다니는 환각의 정신장애를 보이지만 워낙 복수를 해야 한다는 목적이 강했기 때문에 정신장애의 증세는 통제가 된다.
6. 범죄의 유형
적대적 공격성의 폭력적 범죄의 유형이다.
범죄의 목적이 재산이나 명예를 위한 것이 아니고, 단순히 피해 대상자, 즉, 인간에게 고통과 위해를 가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살인, 감금, 폭행 등의 범죄로 볼 때 사회 규범적으로 통하지 않는 반사회적 공격의 범죄 유형이 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