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단백질과 지질의 합성 과정을 요약하시오.
2. Summarize the bases for DNA and RNA 차이점과 공통점을 기술하시오.
3. 무산소와 유산소 ATP 합성 과정을 설명하시오.
4. 세 종류의 RNA의 역할에 대하여 요악하시오.
5. 특정 암에 대하여 조사하고, 특징을 요약하시오.
2. Summarize the bases for DNA and RNA 차이점과 공통점을 기술하시오.
3. 무산소와 유산소 ATP 합성 과정을 설명하시오.
4. 세 종류의 RNA의 역할에 대하여 요악하시오.
5. 특정 암에 대하여 조사하고, 특징을 요약하시오.
본문내용
천공되어 구명조치를 해야 할 때 실시하는 외과요법이다.
-식도발거술 : 개흉을 하지 않고 경부절개와 개복을 통해 식도를 뽑아내는, 절제하는 수술 방법이다.
(2)방사선요법
-외조사 : 방사선치료의 방법에는 고에너지 방사선발생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방사선을 신체 밖으로부터 조사하는 방법이다.
-밀봉소 선원치료 : 식도강 속에 방사선을 내는 물질을 삽입하여 신체 속으로부터 조사하는 방법이다.
⑥병기별 치료
식도암의 치료는 외과요법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수술방법이나 그 적응, 방사선요법과 화학요법의 위치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일본은 유럽이나 미국과 상당히 다르다. 구미에서는 식도발거술이 자주 시술되며 방사선과 항암제를 병용한 방사선화학요법이 시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림프절청소술을 충분히 하는 식도절제 외과요법이 표준적 수술이다. 그리고 점막까지에만 머무른 암의 경우에는 EMR(내시경에 의한 점막절제)를 실시한다. 또 수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표준적 수술에 방사선, 화학요법 등을 병용하는 복합적 치료를 실시한다. 그리고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와 수술 위험이 큰 경우에는 방사선요법이나 화학요법, 또는 식도발거술 등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⑦치료의 부작용과 대책, 예후
이상에서와 같이 현재로서는 외과요법이 주된 치료법이며, 그 치료성과 5년생존률(수술 후 5년동안 생존하는 환자의 비율)은 최근 10년간 급속히 향상되어 거의 50%에 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른 장기로 암이 확산되거나, 여러 림프절로 암이 전이된 환자의 경우에는 수술 후 1-2년 사이에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
1992년경부터 시스플라틴과 5FU의 약물요법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었고, 또 약물에다가 방사선을 병용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들 비외과요법의 정확한 치료율, 즉 치료후 5년생존자, 3년생존자는 거의 0에 가깝다. 다시 말하면 진행도가 4인 암에 대한 치료방법은 확립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이다. 따라서 조기발견이 치료성과를 향상시키는 열쇠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암이 그렇지만 특히 식도암은 일단 진행되면 급격히 치료율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위, 대장만큼 빈도가 높지는 않더라도, 빨리 발견하기 위해서는 일상 생활에서 식도에 많은 신경을 쓰시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John W. Kimball, 「킴볼생물학」,探求堂, 1996.
강영희 외 3명,「현대생물학」, 지구문화사, 1999.
-식도발거술 : 개흉을 하지 않고 경부절개와 개복을 통해 식도를 뽑아내는, 절제하는 수술 방법이다.
(2)방사선요법
-외조사 : 방사선치료의 방법에는 고에너지 방사선발생장치에 의해 만들어지는 방사선을 신체 밖으로부터 조사하는 방법이다.
-밀봉소 선원치료 : 식도강 속에 방사선을 내는 물질을 삽입하여 신체 속으로부터 조사하는 방법이다.
⑥병기별 치료
식도암의 치료는 외과요법이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수술방법이나 그 적응, 방사선요법과 화학요법의 위치를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일본은 유럽이나 미국과 상당히 다르다. 구미에서는 식도발거술이 자주 시술되며 방사선과 항암제를 병용한 방사선화학요법이 시도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림프절청소술을 충분히 하는 식도절제 외과요법이 표준적 수술이다. 그리고 점막까지에만 머무른 암의 경우에는 EMR(내시경에 의한 점막절제)를 실시한다. 또 수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표준적 수술에 방사선, 화학요법 등을 병용하는 복합적 치료를 실시한다. 그리고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와 수술 위험이 큰 경우에는 방사선요법이나 화학요법, 또는 식도발거술 등을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⑦치료의 부작용과 대책, 예후
이상에서와 같이 현재로서는 외과요법이 주된 치료법이며, 그 치료성과 5년생존률(수술 후 5년동안 생존하는 환자의 비율)은 최근 10년간 급속히 향상되어 거의 50%에 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다른 장기로 암이 확산되거나, 여러 림프절로 암이 전이된 환자의 경우에는 수술 후 1-2년 사이에 재발할 가능성이 높다.
1992년경부터 시스플라틴과 5FU의 약물요법이 적극적으로 도입되었고, 또 약물에다가 방사선을 병용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이들 비외과요법의 정확한 치료율, 즉 치료후 5년생존자, 3년생존자는 거의 0에 가깝다. 다시 말하면 진행도가 4인 암에 대한 치료방법은 확립되지 않은 상태라는 것이다. 따라서 조기발견이 치료성과를 향상시키는 열쇠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암이 그렇지만 특히 식도암은 일단 진행되면 급격히 치료율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위, 대장만큼 빈도가 높지는 않더라도, 빨리 발견하기 위해서는 일상 생활에서 식도에 많은 신경을 쓰시는 것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John W. Kimball, 「킴볼생물학」,探求堂, 1996.
강영희 외 3명,「현대생물학」, 지구문화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