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아인과 복지.hwp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장애의 인식과 복지

Ⅲ. 수화통역의 의의

Ⅳ. 한국의 실태

Ⅴ. 결론

본문내용

응답을 보이고는 있으나 통역인이 없어 도움을 받지 못했다거나 통역인의 자질을 문제삼은 응답1(각각44.09%, 46.7%)도 그 비율이 만만치 않다.
수화통역인들은 대부분(81.39%)이 수화통역 경험을 가지고 있어 참여 비율이 높은 반면 보수와 신분보장 그리고 제도의 미비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각각 44.00%, 48.83%, 47.28%)이다.
공공기관의 경우 수화통역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곳이 거의 반에 이를 뿐만 아니라 통역인 처우에서도 무기준인 데다 더욱 문제인 것은 통역 의회의 방법이나 대상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2/3 이상이라고 하는 점이다.
결국 제도적 지원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는 것과 수화통역에 대한 바른 인식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전기통신에 의한 서비스의 문제는 보다 장기적인 논의를 필요로 한다고 하더라도 대중매체(특히 TV)를 통한 수화 통역(또는 자막)은 시작단계에 머물러 있는 데다 앞 조사(청각장애자 복지회, 1994년)에서 드러나 농아인의 언어구사력(잘한다. 10.1%), 수화이해력(잘한다. 28.4%), TV시청경향(뉴스, 영화, 연속극의 순)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이에 부응할만한 실태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Ⅴ. 결론
농아인 복지의 국외 동향은 농아인의 의사교환, 정보보장에 큰 무게가 주어지고 있는데, 일본의 「장애자 플랜-노말라이제이션 7개년 전략」이나 미국의 ADA가 보여주고 있는 바로 그러하다. 「의사교환의 기회균등」이야 말로 청각장애인의 자립과 사회참여의 요체라고 할 것이다.
이러한 동향에 비추어 볼 때 우리의 농아인 복지는 실현해야 할 과제가 아직도 산적해 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제 막 이루어내기 시작한 수화통역 공인사업의 제도적 자리 매김을 비롯하여 다음과 같은 과제가 그 실현을 보아야 할 것이다.
첫째, 수화통역인의 다양한 설치, 파견의 제도적, 조직적 지원,
둘째, 고용, 공공서비스, 공공편의시설 등 분야에서의 수화통역 제공 확충 및 농아인이 이용하기 쉬운 체제의 도입.
셋째, 수화통역 인력의 확보 및 처우 개선을 위한 지원확충
넷째, 대중매체를 통한 정보보장의 전문적 제도적 지원 확충
다섯째, 수화체제의 지원의 확충
여섯째, 농아인의 지역활동 지원확대
일곱째, 수화통역 센터 등을 포함하는 농아인 종합 지원 시설의 확충
Ⅰ. 서론
Ⅱ. 장애의 인식과 복지
Ⅲ. 수화통역의 의의
Ⅳ. 한국의 실태
Ⅴ. 결론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18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5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