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바라보게 되는 것이다. 실지로, 대학 주변을 정부가 관광특구로 지정해서 청소년들의 탈선 장소와 유흥업소촌으로 만든다는 한 대학의 관광특구 반대 투쟁이 있었다. 결국, 대학의 낭만은 사회구조 속에서 대학에 대한 하나의 허구를 제공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 시대와 사회가 지닌 구조적 문제점들을 은폐하기 위한 지배집단의 조직과 강요에 의해 대학의 낭만은 존재해 왔던 것이다. 대학만 들어가면 모든 것이 해결되리라는 생각을 우리 중고등학생들에게 불어 넣어주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대학에는 낭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대학에는 20살의 타오르는 정열을 기반으로 한 순수한 삶이 있다. 필자는 대학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대학을 찾아 볼 기회가 있었다. 드넓은 대학 교정, 가을 바람에 흩날리는 낙엽, 잔디밭에서 도란도란 이야기하는 사람, 술을 마시는 사람, 남녀가 함께 호숫가 벤치에 앉아 사랑 대화를 하고 있는 모습. 이 모두가 대학의 자유스럽고 한가한 모습이었고 그렇게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입학을 한 후, 필자에게 일어난 일은 그것이 아니었다. 학교 문제를 가지고 심한 싸움을 문교부와 하고 있었다. 연일 집회 속에 화염병이 날아다니고, 최루탄 가스도 흠뻑 마셔보고, 도대체 대학의 낭만이라고는 한 학기 동안 찾아 볼 수가 없었다. 결국, 필자는 대학의 낭만이 우리가 보고들은 것과 다르다고 생각을 해왔다.
대학의 낭만은 자신이 어떻게 창조적으로 대학생활을 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동아리에서 밤새 세미나를 하고 술을 마시며 멀리 떠오르는 해를 바라보았을 때의 낭만, 집회를 끝마치고 거리를 치우는 뿌듯한 낭만과 전경들 앞에서 옆에 있는 여학우의 손을 살짝 잡아보는 낭만, 비지땀을 흘려가며 농민들과 함께 일하는 낭만, 조국의 통일을 위해 눈물을 흘리는 낭만, 학교를 사랑하고 학우들을 사랑하는 학원자주화운동 속에서 느끼는 낭만, 잔디밭에서 동기와 끊임없는 인생 이야기를 시간가는 줄도 모르고 하는 그런 낭만.
우리는 이러한 낭만을 대학생활이 자신 스스로가 주역이 되어 헤쳐나가는 과정 속에서 고통과 고민을 근간으로 하는 낭만임을 알 것이다. 이 대학의 고통과 고민은 대학의 분노로 타오르는 20살의 순수한 정열을 지니고 지켜나가는 역할을 할 것이다. 바로 이것이, 대학은 단순한 낭만의 공간이 아니라,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고 보다 넓은 세계를 향해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으로서 나아가는 고통과 고민의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자신의 대학생활이 현실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준사회인으로서 현실에 참여하는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과정을 밟으며 자신의 삶을 창조하는 현실참여라는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하겠다.
이상으로 대학의 4가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제 우리는 이 대학공간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른 공간보다 조금 특수한 공간인 대학공간과 이 대학공간을 채우고 있는 대학문화, 그리고 그 문화를 바탕으로 한 대학 내의 공동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특히, 앞으로 다루게 될 대학 내의 공동체가 이 책의 주요 골자가 될 것이다.
그러나 대학에는 낭만만 있는 것이 아니다. 대학에는 20살의 타오르는 정열을 기반으로 한 순수한 삶이 있다. 필자는 대학에 들어가기 전에 미리 대학을 찾아 볼 기회가 있었다. 드넓은 대학 교정, 가을 바람에 흩날리는 낙엽, 잔디밭에서 도란도란 이야기하는 사람, 술을 마시는 사람, 남녀가 함께 호숫가 벤치에 앉아 사랑 대화를 하고 있는 모습. 이 모두가 대학의 자유스럽고 한가한 모습이었고 그렇게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입학을 한 후, 필자에게 일어난 일은 그것이 아니었다. 학교 문제를 가지고 심한 싸움을 문교부와 하고 있었다. 연일 집회 속에 화염병이 날아다니고, 최루탄 가스도 흠뻑 마셔보고, 도대체 대학의 낭만이라고는 한 학기 동안 찾아 볼 수가 없었다. 결국, 필자는 대학의 낭만이 우리가 보고들은 것과 다르다고 생각을 해왔다.
대학의 낭만은 자신이 어떻게 창조적으로 대학생활을 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동아리에서 밤새 세미나를 하고 술을 마시며 멀리 떠오르는 해를 바라보았을 때의 낭만, 집회를 끝마치고 거리를 치우는 뿌듯한 낭만과 전경들 앞에서 옆에 있는 여학우의 손을 살짝 잡아보는 낭만, 비지땀을 흘려가며 농민들과 함께 일하는 낭만, 조국의 통일을 위해 눈물을 흘리는 낭만, 학교를 사랑하고 학우들을 사랑하는 학원자주화운동 속에서 느끼는 낭만, 잔디밭에서 동기와 끊임없는 인생 이야기를 시간가는 줄도 모르고 하는 그런 낭만.
우리는 이러한 낭만을 대학생활이 자신 스스로가 주역이 되어 헤쳐나가는 과정 속에서 고통과 고민을 근간으로 하는 낭만임을 알 것이다. 이 대학의 고통과 고민은 대학의 분노로 타오르는 20살의 순수한 정열을 지니고 지켜나가는 역할을 할 것이다. 바로 이것이, 대학은 단순한 낭만의 공간이 아니라, 새로운 자신을 발견하고 보다 넓은 세계를 향해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간으로서 나아가는 고통과 고민의 공간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자신의 대학생활이 현실을 외면하는 것이 아니라 준사회인으로서 현실에 참여하는 능동적이고 자주적인 과정을 밟으며 자신의 삶을 창조하는 현실참여라는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하겠다.
이상으로 대학의 4가지 유형을 살펴보았다. 이제 우리는 이 대학공간 속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살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른 공간보다 조금 특수한 공간인 대학공간과 이 대학공간을 채우고 있는 대학문화, 그리고 그 문화를 바탕으로 한 대학 내의 공동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특히, 앞으로 다루게 될 대학 내의 공동체가 이 책의 주요 골자가 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대학생 쇼핑문화실태조사 (쇼핑몰 소비문화 신용카드 쇼핑 과소비)
대학 및 대학생의 문화 교류-일본
대학생의 웰빙문화
대학생 음주문화에 대한 설문조사 및 분석 통계
솔로 남자 대학생의 놀이문화의 단순함
대학생들의 음주문화로 살펴본 자유와 방종
한국 대학생들의 음주문화
대학생의 데이트 문화와 성문화
[과학기술]과학기술의 특성, 과학기술 문제점, 과학기술과 문화, 한국과학기술원(KAIST, 카이...
수원대학교 동양문화사의이해 과제 (제자백가 정리)
김대중 정부부터 이명박 정부까지의 노동정책 조사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 사회복지정책 ...
한국과 일본 대학생 비교 (대학생의 생각, 여가생활, 동아리 활동, 축제, 술문화, 취업)
★[성과 문화] 『올바른 성의식』 성 정의, 성의식, 성개념, 청소년의 성 의식, 대학생 성의식...
대학부지 복합문화 상업시설 개발 사업계획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