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경조사 매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교,경조사 매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견하지 않는다.
④조문 인사 방법
1. 남자의 앉은 절
-오른손이 위로 가도록 두 손을 맞 잡는다.(평상시에는 왼손이 위로 가도록 맞 잡는다,)
-맞잡은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린다.(큰절의 경우 맞잡은 손을 눈높이까지 올 린다.)
-맞잡은 송으로 땅을 짚고 꿇어앉는다.
-이마를 손들에 대고 몸을 숙여 절한다.
-오른쪽무릎을 먼저 세우면서 일어난다
-맞잡은 손을 가슴 높이까지 올렸다 내리고 약간 물러나면서 목례한다.
-영전에서는 앉지 않고 그대로 물러난다.(평절은 절을 하고 앉음으로써 끝나는 것이다.)
-상주와는 절을 마치고 서로 무릎을 꿇은 상태에서 인사말을 나눈다.
2. 남자의 선 절
-자세를 바로 하고 선다.
-두 손을 양옆에 둔 co 몸을 30도 정도 굽힌다.(큰 경례의 경우는 45도)
-자세를 바로 하고 목례하면서 뒤로 물러난다.
3. 여자의 앉은 절(큰절)
-왼손이 위로 가도록 두 손을 맞잡고 선다.(평상시에는 오른손을 위로 하여 잡 는다.)
-맞잡은 손을 눈높이까지 올린다.
-무릎을 꿇고 앉는다.
-몸을 깊이 숙여 절한다.
-평상시에는 다시 앉아야 하지만 영전에서는 그대로 물러난다.
4. 여자의 앉은 절(평절)
-공손한 자세에서 두 손을 자연스럽게 양옆에 둔다.
-두 무릎을 꿇고 앉는다.
-허리를20도 정도 굽히고 양손을 앞으로 향하여 바닥을 짚는다.(양손의 넓이는 어깨 넓이로 한다.
-자세를 바로 하고 일어난 다름 목례하면서 위로 물러난다.)
-다시 앉는다. 앉은 상태에서 인사말을 나눈다.
5. 여자의 선절
-왼 손이 위로 향하도록 공수로 하고 선다.(평상시에는 오른 손이 위)
-양손을 앞으로 모으며 허리를 30도 정도 숙여 절을 한다.(큰 경례의 경우 45 도)
-허리를 펴고 자세를 바로 한 다음 목례하고 물러난다.
⑤조위금 (弔慰金)전달
-조위금 봉투에는 초상의 경우‘부의(賻儀)’라 쓰는 것이 일반적이며‘근조(謹 弔)’,‘조의’,‘전의(奠儀)’,‘향촉대(香燭臺)’라고 쓰기도 한다.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것도 쓰지 않아도 된지만 ‘근정(謹呈)’,‘ 근상(謹上)’이라고 쓰기도 한다.
-별도로 조의금을 접수하지 않고 ‘함(函)’을 비차하여 조의금을 받기도 한다.
-망인이 연만하여 돌아가셨을 때 ‘호상(好喪)’이라 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 다. 그러나 웃고 떠드는 일은 삼가는 것이 예의이다. 호상이란 있을 수 없다.
-참고문헌 : 서비스 매너 (미래 서비스 아카데미 지음) 중-

키워드

사교,   경조사,   매너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