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리학의 긍정적인 영향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조선전기
ⅰ) 성리학의 주체적 수용 - 15세기
ⅱ) 성리학이 정치적 ‧ 제도적으로 끼친 영향
ⅲ) 성리학이 사회윤리에 끼친 영향

Ⅱ. 조선중기
ⅰ) 16세기
① 성리학의 정착과 융성
② 성리학이 정치적 ‧ 제도적으로 끼친 영향
③ 성리학이 사회윤리에 끼친 영향
ⅱ) 17세기
① 예학의 발달
② 성리학이 정치 ‧ 경제에 끼친 영향

Ⅲ. 조선후기
- 성리학의 교조화 경향과 실학의 발달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근본적으로 17세기 사회에서 각 학파 내지 붕당들이 나름대로의 학문적 기반 위에서 자신들의 노선의 정당성을 주장한 전형적인 ‘정치형태로서의 전례논쟁’이었다. 즉 성리학과 예학의 심화, 친가 장자 중심의 가족제도로의 변화, 학파 붕당 간의 긴밀성, 신권의 성장, 양란 이후 국가 재건의 방법 등 당시 정치, 사상적인 면뿐만 아니라 사회 모든 분야의 요인들이 종합적으로 결합되어 왕실의 전례 문제를 매개로 표출된 것이다.
② 성리학이 정치 경제에 끼친 영향
광해군 때에 북인은 임진왜란으로 인한 피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대동법의 시향과 은광 개발 등 적극적인 사회 경제 정책을 추진해 나갔으며 중립 외교를 취하는 등 성리학적 의리 명분론에 크게 구애받지 않았다. 이는 서인과 남인의 반발을 불러일으켰으며 대규모 궁궐 토목 공사로 인한 민생의 피폐로 일반민의 지지마저 잃어버렸고 결국 인조반정으로 서인이 정국을 주도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서경덕과 조식의 사상, 양명학, 노장 사상 등은 배척을 당하고 이황과 이이의 학문, 즉 주자 중심의 성리학만이 조선사상계에서 확고한 우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후 서인과 남인은 명에 대한 의리 명분론(도덕성에 기반 하여 의리와 명분을 중시한 성리학의 이론)을 강화하고 반청 정책을 추진한 결과 병자호란을 초래하였다. 이후 격렬한 주화 척화 논의를 거쳐 인조말엽부터 송시열등 서인이 정국을 주도하면서 척화론(청과 화의를 맺는 것에 반대하는 주장)과 의리 명분론이 대세를 이루었다. 이 시기 각 학파들은 대동법과 호포법 등 사회 경제 정책을 둘러싸고 격렬한 논쟁과 대립을 하기도 하였다. 17세기 조선은 인조반정과 병자호란, 서인의 집권을 거치면서 중화세계의 붕괴라는 현실을 부정하고 성리학적 의리명분론과 척화론이 대세를 잡아갔으며 이후 조선의 역사는 이러한 방식에 의해 전개 되었다.
Ⅲ. 조선후기
- 성리학의 교조화(절대화) 경향과 실학의 발달
인조반정 이후 정국의 주도권을 잡은 서인은 의리 명분론을 강화하며 주자 중심의 성리학을 절대화함으로써 자신들의 학문적 기반을 공고히 하려고 하였는데, 이는 송시열의 저술등으로 뒷받침되었다. 그는 주자의 본뜻에 충실함으로써 당시 조선 사회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반면 주자 중심의 성리학을 상대화하고 6경과 제자백가 등에서 모순 해결의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는 경향도 17세기 후반부터 본격화 되었는데, 윤휴와 박세당 등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서경덕의 영향을 받은 윤휴는 유교 경전에 대하여 독자적인 해석을 하였으며, 박세당 역시 양명학과 노장 사상의 영향을 받아 주자의 학설을 비판하였다. 이들은 주자의 학문 체계와는 다른 모습을 보였기 때문에 당시 권력을 장악하고 있던 서인(노론)의 공격을 받아 사문난적으로 몰려 죽었다.
한편 이황학파의 영남 남인과 이이의 학문을 조선 성리학의 전통으로 만들려는 이이 학파의 노론 사이에 성리학의 이기론을 둘러싼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이이의 사상을 계승하고 주자 중심의 성리학을 절대시한 노론과는 달리 소론은 절충적인 성격을 지닌 성혼의 사상을 계승하고 양명학과 노장 사상을 수용하는 등 성리학 이해에 탄력성을 보였다.
양명학은 성리학의 교조화와 형식화를 비판하며 실천성을 강조하였다. 17세기 후반 소론 학자들에 의하여 본격적으로 수용되었다.
한편, 실학은 17~18세기의 사회 경제적 변동에 따른 사회 모순에 직면하여 그 해결책을 구상하는 과정에서 대두한 학문과 사회 개혁론이었다.
Ⅳ. 참고문헌
- <조선시대 사상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고영진 지음, 풀빛(1999).
- <한국유학사상론>, 윤사순 지음, 예문서원(1997).
-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7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