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장비 사용법 예비 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종 장비 사용법 예비 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에 사용되는 원리
1) Oscilloscope
2) Muti - meter
3) 파워서플라이
4) 함수 발생기

3. 실험 내용 및 예상
1) 브레드보드 사용법에 나오는 회로.
2)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관찰. (1V, 1kHz)
3) 1킬로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
4) 2킬로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
5) 3킬로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
6) 전체 전류

본문내용

n : 화면에 표시되는 눈금의 밝기를 나타낸다.
② 수직 증폭부
ⅰ) CH1.X IN 콘넥터 : 입력 신호를 CH1의 수직증폭부로 연결하거나, x축 신호 표시.
ⅱ) CH2.Y IN 콘넥터 : 입력 신호를 CH2의 수직증폭부로 연결하거나, Y축 신호 표시.
ⅲ) AC : 입력 콘넥터와 수직 증폭기 사이에 커패시터가 있어 신호의 DC성분을 차단.
ⅳ) DC : 입력 콘넥터와 수직 증폭기를 직접 연결
ⅴ) GND : 수직 증폭기의 입력단을 접지시킴으로써 GND가 전압의 기준이 됨.
ⅵ) Volt / div : 입력 신호의 크기와 관계없이 파형 관측 가능, 관측이 용이하도록 적절한 위치에 놓음.
ⅶ) Variable : 미세 volts 조정기
ⅷ) Pull Ch2 Inv : CH2의 신호가 반전되어 나타남.
ⅸ) V. mode 스위치 : 수직축의 표시 형태를 선택하는데 사용.
ⅹ) Chop : time / div (0.2 ~ 0.5 ms)
) Alt : time / div (2 ~ 20 ms)
) Position : 수직축 파형을 이동시킬 때 사용.
③ 소인과 동기부
ⅰ) Time / div : 교정된 시간간격
ⅱ) Trigger mode : 소인 동기의 형태를 선택
- Auto : 소인을 자동적으로 발생함. 동기 신호가 있을 때에는 정상적으로 동기 된 소인이 얻어지고 파형은 정지함. 신호가 없거나 동기가 안 된 경우에도 소인은 자동적으로 발생함. 일반적으로 사용 시에 이위치가 편리.
- Norm : 동기 된 소인을 얻을 수 있으나 동기 신호가 없거나 동기가 안 되면 소인은 발생하지 않음. 낮은 주파수에서 효과적인 동기를 시키고자 할 때 유효.
2) Muti - meter :
- 전압계, 전류계, 저항계등이 복합적으로 합쳐진 측정기로 전압 측정시에는 input과 output에 병렬로 연결해야 함. 전류계는 직렬로 회로에 연결한다. 저항 측정시에는 회로에 전압과 전류가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다.
- 간단한 내부구조 :
1. 전압계 : 병렬연결. 병렬회로에서는 전압이 일정하다는 원리 이용.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멀티메타 내부 저항에 흘러간다.
2. 전류계 : 직렬연결. 직렬회로에서는 전류가 일정하다는 원리 이용. 역시 멀티메타가 저항체가 된다.
3. 저항계 : 내부 배터리에서 전압을 걸어, 측정 저항 양단의 전류 측정
3) 파워서플라이 :
- 안정된 직류 전압원을 공급하는 것이 목적. 주로 AC에서 DC로 변환하는데 사용한다. 이러한 파워서플라이에는 +/- 이외에도 접지가 가능하게끔 접지 단자가 제공되며, -극과 접지 단자는 보통 철재 핀 등으로 연결되어 있다.
- 간단한 내부 구조
입력 필터부 : 전자파 차단, 소음 신호 유입 방지.
교류-직류 정류부 : 커패시터 이용, 교류에서 임시 직류 전압 생성.
직류-직류 스위칭 변환부 : 필요한 만큼의 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스위칭 회로 사용.
출력필터 및 출력부 : 다시 한 번 더 깨끗한 DC로 필터링.
* 스위칭 회로 : 적절하게 변화하는 필요 전압에 맞추어 공급 전압을 생성/ 조절하는 회로로서 스위치로 막고 있다가, 스위칭 주파수에 맞게 스위치를 여닫으면서 필요전압을 공급한다.
4) 함수 발생기
- 주파수 발생기로도 불리워지는 함수 발생기는 실험에 필요한 적절한 주파수를 발생 시키기 위한 것으로 각각 정현파, 삼각파, 사각파 등을 만들어 준다.
- 간단한 구조
In / EXT 스위치 : 내부 / 외부 주파수 선택
Range : 주파수 범위 선택
function 스위치 : 함수 종류 선택
Amplitude : 신호의 전압값 조절
작동모드 설정 : Continuous - 어느 파형이든 연속적으로 출력
Triggered - 수동 또는 외부 동기 입력에 의한 단일 파형 출력
3. 실험 내용 및 예상
1) 브레드보드 사용법에 나오는 회로.
-저항과 인덕터 양단의 파형비교
-저항과 커패시터 양단의 파형비교
2)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한 관찰. (1V, 1kHz)
- 오실로스코프 원래파형
- 오실로스코프 Volts/div 조절
-오실로스코프 Time/div 조절
3) 1킬로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
4) 2킬로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
5) 3킬로옴 교류 전압과 직류 전압
6) 전체 전류
Reference : 네이버 지식인, 백과사전, 통합검색 이용
검색어 "오실로스코프, 파워서플라이, function generator"
실험 1과 2는 mutisim7 프로그램 사용, 실험 3은 mutisim 2001을 사용함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9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