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머리
2.『洪吉童傳』은 왜 소설인가?
3.『洪吉童傳』에서 나타나는 당대현실(실존적 배경)과 작가(실존적 작가)
의 인생관은?
4.『洪吉童傳』은 자아와 세계의 대결양상을 구현하는 사건과 이에 따른 주제는?
5. 洪吉童은 누구인가?
6.『洪吉童傳』은 어떤 성격과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7. 마무리
2.『洪吉童傳』은 왜 소설인가?
3.『洪吉童傳』에서 나타나는 당대현실(실존적 배경)과 작가(실존적 작가)
의 인생관은?
4.『洪吉童傳』은 자아와 세계의 대결양상을 구현하는 사건과 이에 따른 주제는?
5. 洪吉童은 누구인가?
6.『洪吉童傳』은 어떤 성격과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7. 마무리
본문내용
형상이 단순히 許筠의 의해 새롭게 변형되어 나타났다는 점만이 아니라, 역사적으로 실재했던 인물을 민중영웅으로 재현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하고 그래야만 본질적인 사회적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문학분과,『한국 고전문학 작가론』, 소명출판, 1999, p.323~326
한편,『洪吉童傳』우리 문학사적으로도 그 의의가 크다고 이미 알려진 바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기술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웅의 일생' 을 서사적 유형 구조로 처음 소설화한 국문소설의 효시로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고전소설이 소재와 인물, 배경 등을 중국에서 취해 온 반면,『洪吉童傳』은 우리나라를 무대로 삼고 있고 한글로 표기하여 서민들에게까지 독자층을 확대 시킨 점에서 진정한 한글 소설의 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비교적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전기적 성격을 탈피하려 했다는 점에서 비로소 소설의 형태를 갖추었다 할 수 있다.
둘째, 家傳, 傳記小說 에서 어느 정도 탈피하여 소설다운 형태를 갖추었다 볼 수 있고,
셋째,『九雲夢』,『謝氏南征記』등 후대 소설의 창작에 영향을 주었으며,
넷째, 내용상으로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비판 의식이 드러나 있는 현실 참여적 문학이라 할 수 있고 의적을 등장시켜 모순된 사회 제도를 개혁하려는 혁명성과 서민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아울러 도교적인 둔갑술, 축지법, 분신법 등을 담고 있으면서도 당대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룸으로써 리얼리티를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의 경향은 작가의 세계관이나 삶의 자세가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여지를 보인다.
7. 마무리
지금까지『洪吉童傳』이 왜 소설인지를 장르론적 시각과 더불어 작품의 성격과 특징, 좀 더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작품을 조사했다. 사실 본 작품을 소설이라 당연시 여겨왔을 뿐, 소설인 이유는 정작 진지하게 고민하지 못했는데 신화와의 비교를 통해 또한 소설이 가지고 있는 대립양상과 사건, 인물 그에 따른 주제를 생각해보면서 소설이 가지고 있는 면모를 엿볼 수 있었다. 끝으로 거시적인 의미에서 한층 더 인문학의 깊이를 알 수 있었고 끊임 없 이 고전문학 장르의‘뉴미디어화’또는‘콘텐츠화’되고 있는 오늘날에서 더 많은 아이 디 어를 창출할 수 있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생각하며 기존의 작품을 새롭게 보는 시각을 지금부터 라도 길러야 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본 작품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 한다.
한편,『洪吉童傳』우리 문학사적으로도 그 의의가 크다고 이미 알려진 바 있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기술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웅의 일생' 을 서사적 유형 구조로 처음 소설화한 국문소설의 효시로 볼 수 있는데 대부분의 고전소설이 소재와 인물, 배경 등을 중국에서 취해 온 반면,『洪吉童傳』은 우리나라를 무대로 삼고 있고 한글로 표기하여 서민들에게까지 독자층을 확대 시킨 점에서 진정한 한글 소설의 출발점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비교적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전기적 성격을 탈피하려 했다는 점에서 비로소 소설의 형태를 갖추었다 할 수 있다.
둘째, 家傳, 傳記小說 에서 어느 정도 탈피하여 소설다운 형태를 갖추었다 볼 수 있고,
셋째,『九雲夢』,『謝氏南征記』등 후대 소설의 창작에 영향을 주었으며,
넷째, 내용상으로는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비판 의식이 드러나 있는 현실 참여적 문학이라 할 수 있고 의적을 등장시켜 모순된 사회 제도를 개혁하려는 혁명성과 서민 정신을 반영하고 있다. 아울러 도교적인 둔갑술, 축지법, 분신법 등을 담고 있으면서도 당대의 현실적인 문제들을 다룸으로써 리얼리티를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의 경향은 작가의 세계관이나 삶의 자세가 어느 정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여지를 보인다.
7. 마무리
지금까지『洪吉童傳』이 왜 소설인지를 장르론적 시각과 더불어 작품의 성격과 특징, 좀 더 다각도적인 측면에서 작품을 조사했다. 사실 본 작품을 소설이라 당연시 여겨왔을 뿐, 소설인 이유는 정작 진지하게 고민하지 못했는데 신화와의 비교를 통해 또한 소설이 가지고 있는 대립양상과 사건, 인물 그에 따른 주제를 생각해보면서 소설이 가지고 있는 면모를 엿볼 수 있었다. 끝으로 거시적인 의미에서 한층 더 인문학의 깊이를 알 수 있었고 끊임 없 이 고전문학 장르의‘뉴미디어화’또는‘콘텐츠화’되고 있는 오늘날에서 더 많은 아이 디 어를 창출할 수 있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 아닐까 생각하며 기존의 작품을 새롭게 보는 시각을 지금부터 라도 길러야 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본 작품에 대한 조사를 마무리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