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강독 용비어천가 古史 전문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어학강독 용비어천가 古史 전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3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4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7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8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25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26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34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48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67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83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84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91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102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109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110장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125장

본문내용

날로 높아지니, 야인들이 익조를 시기하여 죽이려 하므로, 익조는 경흥부 동쪽 60여 리에 있는 적도로 피신하여 움을 파고 살다가, 후에 다시 덕원으로 돌아와 살게 되는 경흥 백성들이 좇아와서 마치 저자거리를 이루듯 사람들이 넘쳐났다.
☞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제 125장
하나라 우왕의 손자인 태강왕이 사냥을 즐기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그 덕을 잃었다. 한번은 낙수의 남쪽가지 가서 사냥을 즐기느라 백일이 넘어도 돌아오지 않으므로 유궁후예가 백성을 위해 참을 수 없어 그를 하북에서 막아 돌아오지 못하게 하고 태강왕을 폐위 시키고 말았다. 타산지석의 교훈을 후대 왕 들에게 강조하고 있다. 신라 말의 승려 도선의 비결서에 의하면, 삼각산 남쪽, 곧 한양에 도성을 세우면 나라가 흥한다는 말이 있었다고 한다.
  • 가격5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4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