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와 정신건강(서평)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내용 살펴보기
1) 성격과 신앙의 상관성
2) 정신건강과 적응
3) 목회현장에서 본 정신건강의 실체 및 대책
4) 정신의학 분야에서 본 정신건강의 실태
5) 가족치료학에서 본 정신건강
6) 자기 심리학의 관점에서 본 종교체험과 퇴행(한국여인들을 중심으로)
7) 복음서에 나타난 귀신들림과 축사(-막 5:1~20, 거라사 귀신들린 자의 치유-를 중심으로)
8) 귀신들림 현상과 기독교적 치유
9) 귀신들림과 정신질환
10) 영성훈련의 의미와 방법
2. 생각정리하기
※ 질 문

본문내용

것을 보며 그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게 되었다. 그리고 현대 교회에 여성 성도들의 수가 많음에 단순히 생물학적으로 남성보다 여성의 평균수명이 길기 때문에 그럴 수 있겠다고 생각했으나, 이번 ‘자기심리학’적인 접근을 통해 항상 냉대받고 천대받던 여성들이 그런 그들의 아픔을 종교적 경험을 통해 이겨내고 의지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았을 때에는 그러한 현상이 결코 우연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책은 우리에게 한 가지 중요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깨뜨리게 해준다. ‘정신질환(장애)’하면 무언가 사회적으로 충격을 받고, 타인으로부터 이해되어질 수 있는 어떤 원인을 통해 앓는 병이지만, ‘귀신들림’은 단순히 무속인들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神)들에 의해 움직이는 ‘신들림’의 현상쯤으로 넘겨짚는 것이 상당히 잘못된 것임을 다시 생각하게 해주었다. 즉, ‘정신질환(장애)’에서 ‘귀신들림’으로 갈수도 있고, ‘귀신들림’에서 ‘정신질환(장애)’로 넘어갈 수 있다는 내용은 사회적 질병과 문화적 질병이 백지 한 장 차이조차도 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잘 설명해주는 내용인 것이다.
※ 질 문
1. 책에는 영성훈련의 방법들을 몇 가지 소개하고 있다. 하지만 그러한 방법들은 기독교에 처음 입문하여 해내기에는 부담감을 갖게 하는 경우도 있다. 어려운 체계가 아닌 보다 간단명료한 영성훈련의 방법은 없을까?
2.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 중 기독교인일수록 그 병 때문에 더욱 고통스러워하며, 그 병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강하다고 한다. 이렇게 겉으로 드러내려 하지 않는 환자들은 우리가 어떻게 구분해 내어 도와줄 수 있을까?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5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