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1.3 가설 설정
2. 제품에 대한 설명
2.1 데자와
2.2 타제품과 비교
3. 남자보다 여자가 데자와를 선호하는 이유
3.1 생물학적인 차이에 따른 이유
3.2 소비 차이에 따른 이유
3.3 문화적인 상황에 따른 이유
4. 전근대적 성역할 인식의 다른 예
4.1 직장, 가정에서의 성역할
4.2 책 속의 성역할 - 박완서 ‘여인들’
5. 결론
5.1 요약 및 전망
5.2 반성과 제언
*참고문헌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방법
1.3 가설 설정
2. 제품에 대한 설명
2.1 데자와
2.2 타제품과 비교
3. 남자보다 여자가 데자와를 선호하는 이유
3.1 생물학적인 차이에 따른 이유
3.2 소비 차이에 따른 이유
3.3 문화적인 상황에 따른 이유
4. 전근대적 성역할 인식의 다른 예
4.1 직장, 가정에서의 성역할
4.2 책 속의 성역할 - 박완서 ‘여인들’
5. 결론
5.1 요약 및 전망
5.2 반성과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처지에 있는 20대 , 30대, 40대 여인들이 신세 한탄을 한다.
그이가 유학을 가서 저를 천둥치는 밤에 혼자 외롭게 떨게 했다면 그까짓 거 바람나고 말테야요. 그렇지만 그게 아니 잖아요. 저도 의리가 있지. 잘살아보려고 외화를 벌어들이려고 술도 여자도 없는 고장에서 고생하는 데 어떻게 바람을 피우냐 말예요. 그인 술을 좋아하는데, 아마 여자도 무지무지하게 좋아할 거예요. 그인 날 무지무지하게 좋아했으니까요. 그 좋아하는 걸 다 버리고 그인 외화를 벌어요. 그런데 어떻게 제가 바람을 피워요. 의리가 있지 못피워요. 외환 정조보다 강해요. 아아 , 아주머니 사람 사는게 왜 이렇게 재미없을까요.
「여인들」357-358쪽
이것은 20대 여인은 40대 여인에게 하소연을 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역시 성역할은 정해져있다. 남자는 가정을 책임지기 위하여 그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돈을 벌기 위해 외국으로 떠나고, 여성은 남편의 외화벌이 과정 속에 정서적으로 또 다른 책임감을 갖고 남편을 기다리고 있다. 그것이 돈(외화)이라는 끈으로 묶여있지만 서로에 대한 성역할은 너무나도 충실히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70년대라는 배경이 계속 언급한 ‘전근대적’인 시대라서 그런지 그들의 성역할은 너무나도 전근대적이다.
5. 결론
5.1 요약 및 전망
‘데자와’ 라는 음료수는 남자보다 여자가 선호하는 것을 이상하게 여겨 관찰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데자와를 뽑은 사람의 84.9%가 여자임을 관찰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작했다.
남자와 여자의 생물학적인 차이, 여자와 남자의 소비 행태의 차이, 문화적인 상황에 따른 이유 때문에 남자보다 여자가 더 데자와를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데자와는 홍차와 밀크티를 혼합한 음료로 달달하면서 부드럽고도 고소한 맛이 난다.
남자와 여자의 데자와에 대한 선호는 생물학적으로 몇 몇 입증된 연구 결과가 있지만, 데자와를 좋아하는 남자와, 싫어하는 여자를 보면 개인 차이도 무시하지 못할 만큼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의 소비 성향이 반대 노선을 띠면서 소비 차이가 이제는 확연이 구분되지 않고, 저렴한 데자와는 관여도가 낮기 때문에 여성과 남성의 소비 차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미비하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상황의 차이는 어렸을 적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갖게 한다. 문화적으로 규정되어버린 전근대적인 성역할의 인식 때문에 남자들은 데자와라는 음료의 맛을 볼 기회를 갖기는커녕 ‘남자다운’ 음료를 마시느라 데자와를 인식하지도 못한다.
전근대적 성역할 인식의 다른 예로는 가정과 직장에서 볼 수 있는데 여성의 사회적 참여는 활발해졌지만 관리직여성의 성장의 비율은 낮았고, 이것은 유리 천정이라는 장벽에 가로막혀서 그렇다고 볼 수 있다. 남성의 가사 분담율도 현저하게 낮은 것도 이중적인 말과 행동으로 아직 여성의 가사의 역할을 책임져야 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여인들’이란 박완서의 작품 가운데도 남자는 가정을 책임지기 위하여 그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돈을 벌기 위해 외국으로 떠나고, 여성은 남편의 외화벌이 과정 속에 정서적으로 또 다른 책임감을 갖고 남편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데자와의 남녀별 선호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된 이 연구가 남자와 여자에 대한 성역할 문제로 고찰해 보았다. 지금까지 나의 어투에서 페미니즘의 모습이 보였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남녀가 평등하지 않은 시점에서 성역할을 다루려다 보니 의도하지 않게 그 쪽으로 흘러가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었다. 하지만 점차 남자와 여자의 역할의 경계가 불분명해 지고 있다. 남자는 이래야 한다, 또 여자는 이래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좌우되기보다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합리적인 선택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 보았듯이 여자와 남자는 생물학적으로도 차이가 있고 그 차이가 인정되어서 역할이 나뉠 수 있다는 것은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그것이 절대적인 한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 남자와 여자가 서로의 영역을 침범했다고 으르렁거리기 보다는 같은 곳을 바라보고 나아가는 파트너의 역할이 앞으로 더 중요하게 여겨질 전망이다.
5.2 반성과 제언
부족한 점이 너무 많았다. 앞의 관찰이나 실험에서도 표본이 너무 적어 일반화하기 조심스러웠으며, 내가 여자인지라 ‘너무 여성의 입장 쪽으로 치우친 시각이 아니었는가‘ 라는 생각도 한다. 그리고 연구 시간은 비교적 여유 있었지만 논문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한 것 같다.
앞으로 이런 연구가 다시 있다면 더 폭넓은 표본으로 통계를 내었으면 하고, 남성의 시각에서도 성역할이 그들에게 다가오는 것을 표현했으면 한다.
참고 문헌
바르바라 갈라보티, 사람의 몸, 사계절, 2005
엄혜숙, 홍차(잘먹고 잘 사는 법 52), 김영사, 2004
김종성, 춤추는 뇌, 사이언스북스, 2005
사이먼 배런코언, 그 남자의 뇌, 그 여자의 뇌, 바다출판사, 2007
이영자, 소비자본주의 사회의 여성과 남성, 나남출판, 2000
이학식, 소비자 행동(제3판), 법문사, 2003
박완서, 배반의 여름, 문학동네, 2006
이재혁, 사회분화와 성역할 사회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김남숙, 한국 성역할 검사의 수정점수 및 분류기준 산출, 충북대학교 대학원, 1997
신인철, 직무권위의 수직적 성분리 현상에 대한 연구 :유리천정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대학원,2005
참고 사이트
동아 오츠카 홈페이지, http://www.donga-otsuka.co.kr/index.asp
김홍수, http://srchdb1.chosun.com/pdf/i_service/read_body.jsp?ID=0504293802
20대 여성 과소비 퀸? 대부업체 이용 최다 대다수 빚갚는데 써, 조선일보, 2005.04.29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
국제신경학회, http://www.brainmagazine.co.kr/report/view.asp?code=brain_science&An_num=429&id=462
여성의 뇌는 달콤한 음식에 약하다, 뇌 1월호, 2008.12,17
그이가 유학을 가서 저를 천둥치는 밤에 혼자 외롭게 떨게 했다면 그까짓 거 바람나고 말테야요. 그렇지만 그게 아니 잖아요. 저도 의리가 있지. 잘살아보려고 외화를 벌어들이려고 술도 여자도 없는 고장에서 고생하는 데 어떻게 바람을 피우냐 말예요. 그인 술을 좋아하는데, 아마 여자도 무지무지하게 좋아할 거예요. 그인 날 무지무지하게 좋아했으니까요. 그 좋아하는 걸 다 버리고 그인 외화를 벌어요. 그런데 어떻게 제가 바람을 피워요. 의리가 있지 못피워요. 외환 정조보다 강해요. 아아 , 아주머니 사람 사는게 왜 이렇게 재미없을까요.
「여인들」357-358쪽
이것은 20대 여인은 40대 여인에게 하소연을 하는 부분이다. 여기서 역시 성역할은 정해져있다. 남자는 가정을 책임지기 위하여 그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돈을 벌기 위해 외국으로 떠나고, 여성은 남편의 외화벌이 과정 속에 정서적으로 또 다른 책임감을 갖고 남편을 기다리고 있다. 그것이 돈(외화)이라는 끈으로 묶여있지만 서로에 대한 성역할은 너무나도 충실히 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70년대라는 배경이 계속 언급한 ‘전근대적’인 시대라서 그런지 그들의 성역할은 너무나도 전근대적이다.
5. 결론
5.1 요약 및 전망
‘데자와’ 라는 음료수는 남자보다 여자가 선호하는 것을 이상하게 여겨 관찰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데자와를 뽑은 사람의 84.9%가 여자임을 관찰을 통해 알 수 있었다. 그 이유에 대해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작했다.
남자와 여자의 생물학적인 차이, 여자와 남자의 소비 행태의 차이, 문화적인 상황에 따른 이유 때문에 남자보다 여자가 더 데자와를 선호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데자와는 홍차와 밀크티를 혼합한 음료로 달달하면서 부드럽고도 고소한 맛이 난다.
남자와 여자의 데자와에 대한 선호는 생물학적으로 몇 몇 입증된 연구 결과가 있지만, 데자와를 좋아하는 남자와, 싫어하는 여자를 보면 개인 차이도 무시하지 못할 만큼의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녀의 소비 성향이 반대 노선을 띠면서 소비 차이가 이제는 확연이 구분되지 않고, 저렴한 데자와는 관여도가 낮기 때문에 여성과 남성의 소비 차이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미비하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상황의 차이는 어렸을 적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갖게 한다. 문화적으로 규정되어버린 전근대적인 성역할의 인식 때문에 남자들은 데자와라는 음료의 맛을 볼 기회를 갖기는커녕 ‘남자다운’ 음료를 마시느라 데자와를 인식하지도 못한다.
전근대적 성역할 인식의 다른 예로는 가정과 직장에서 볼 수 있는데 여성의 사회적 참여는 활발해졌지만 관리직여성의 성장의 비율은 낮았고, 이것은 유리 천정이라는 장벽에 가로막혀서 그렇다고 볼 수 있다. 남성의 가사 분담율도 현저하게 낮은 것도 이중적인 말과 행동으로 아직 여성의 가사의 역할을 책임져야 한다고 여기는 것이다.
‘여인들’이란 박완서의 작품 가운데도 남자는 가정을 책임지기 위하여 그 무거운 책임감을 갖고 돈을 벌기 위해 외국으로 떠나고, 여성은 남편의 외화벌이 과정 속에 정서적으로 또 다른 책임감을 갖고 남편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데자와의 남녀별 선호에 대한 궁금증에서 시작된 이 연구가 남자와 여자에 대한 성역할 문제로 고찰해 보았다. 지금까지 나의 어투에서 페미니즘의 모습이 보였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남녀가 평등하지 않은 시점에서 성역할을 다루려다 보니 의도하지 않게 그 쪽으로 흘러가는 경향이 없지 않아 있었다. 하지만 점차 남자와 여자의 역할의 경계가 불분명해 지고 있다. 남자는 이래야 한다, 또 여자는 이래야 한다는 고정관념에 좌우되기보다는 개인의 능력에 따라 합리적인 선택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앞에서 보았듯이 여자와 남자는 생물학적으로도 차이가 있고 그 차이가 인정되어서 역할이 나뉠 수 있다는 것은 인정해야 한다. 하지만 그것이 절대적인 한계가 되어서는 안 된다. 남자와 여자가 서로의 영역을 침범했다고 으르렁거리기 보다는 같은 곳을 바라보고 나아가는 파트너의 역할이 앞으로 더 중요하게 여겨질 전망이다.
5.2 반성과 제언
부족한 점이 너무 많았다. 앞의 관찰이나 실험에서도 표본이 너무 적어 일반화하기 조심스러웠으며, 내가 여자인지라 ‘너무 여성의 입장 쪽으로 치우친 시각이 아니었는가‘ 라는 생각도 한다. 그리고 연구 시간은 비교적 여유 있었지만 논문을 집필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을 할애한 것 같다.
앞으로 이런 연구가 다시 있다면 더 폭넓은 표본으로 통계를 내었으면 하고, 남성의 시각에서도 성역할이 그들에게 다가오는 것을 표현했으면 한다.
참고 문헌
바르바라 갈라보티, 사람의 몸, 사계절, 2005
엄혜숙, 홍차(잘먹고 잘 사는 법 52), 김영사, 2004
김종성, 춤추는 뇌, 사이언스북스, 2005
사이먼 배런코언, 그 남자의 뇌, 그 여자의 뇌, 바다출판사, 2007
이영자, 소비자본주의 사회의 여성과 남성, 나남출판, 2000
이학식, 소비자 행동(제3판), 법문사, 2003
박완서, 배반의 여름, 문학동네, 2006
이재혁, 사회분화와 성역할 사회화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7
김남숙, 한국 성역할 검사의 수정점수 및 분류기준 산출, 충북대학교 대학원, 1997
신인철, 직무권위의 수직적 성분리 현상에 대한 연구 :유리천정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대학원,2005
참고 사이트
동아 오츠카 홈페이지, http://www.donga-otsuka.co.kr/index.asp
김홍수, http://srchdb1.chosun.com/pdf/i_service/read_body.jsp?ID=0504293802
20대 여성 과소비 퀸? 대부업체 이용 최다 대다수 빚갚는데 써, 조선일보, 2005.04.29
네이버 국어사전, http://krdic.naver.com/
국제신경학회, http://www.brainmagazine.co.kr/report/view.asp?code=brain_science&An_num=429&id=462
여성의 뇌는 달콤한 음식에 약하다, 뇌 1월호, 2008.12,17
추천자료
‘음식 한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중국소비자들의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수준이 제조국별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애완동물 제품의 비교분석
[유아교육프로그램]디스타 프로그램과 몬테소리 프로그램을 비교 설명함(대조 표 수록) - 유...
[제품구매][국내외제품비교][공공기관][중소기업제품][소비자브랜드충성도]제품구매와 국내외...
[해외직접투자이론] 해외직접투자이론의 요건과 종류(독점적 우위이론, 내부화이론, 절충이론...
(프랑스 문화와 예술) 그랑제콜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에서의 학벌중시와 비교
성격이론 3가지를 비교하여 설명하고, 성격측정 검사 3가지에 대해 설명하시오.
(세계의음식․음식의세계 공통) 1. 인간의 ‘식습관 형성 과정’에 대한 이론적 배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