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야모토 겐이찌의 주민자치와 내발적 발전 이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야모토 겐이찌의 주민자치와 내발적 발전 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미야모토 겐이찌의 주민자치와 내발적 발전 이론

1.기존의 지역개발에 대한 반성

2. 지역의 내발적 발전이란?

3. 내발적 발전 이론이 성공하기 위한 요건

4. 내발적 이론의 전개

본문내용

규제할 수 있도록 자치권을 가져야 한다.
4. 내발적 이론의 전개
※일본의 마찌즈꾸리 운동
1962년 일본의 나고야시 에이토지구에서 도시재개발 시민운동에서 처음 사용되었고,1970년대 후반에 이르러 ‘마을만들기’ 용어가 일반화되었으며, 하나의 붐(boom)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일본의 전국 각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田村明(1987) : '마을 만들기’란 “일정한 지역에 살고 있는 주민들이 그들 스스로 자신들의 생활을 지탱하며 편리하고, 보다 인간답게 생활할 수 있도록 공동의 장을 만들어 가는 방법과 과정”
문승국(1999) : "지역계획 및 개발에 있어서 주민참여의 흐름을 일컬어 마을 만들기라 하고 주민참여에 의한 도시정비 및 이를 가능케 하는 각종 제도와 틀”
김찬호(1997) : "쇠퇴하는 도시를 지역단위에서 자율적으로 갱신해갈 수 있도록 협동체제를 구축하고 사회 문화적 기반을 만드는 작업이며, 공간과 거기에 결부된 삶 그리고 그것을 운영하는 원리를 시민적 입장에서 구상하고 사회적으로 조정하는 활동”이라고 규정하고 있음.
※전라북도 진안군과 광주 북구의 지역개발과 주민참여
<자료 출처 : 구잔인 박사 / 진안군 마을만들기 팀장>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