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읽히고, 연극과 영화로서 재구성 되고 있다. 오래전의 이야기라 할지라도, 수백 년이 지난 지금까지 독자와 관객의 마음을 울릴 수 있는 글로 남아 있는 것이다. 또, 헤리포터, 반지의 제왕 등의 소설들은 영화, 게임 등으로 제작되어 전 세계인들을 감동시켰다. 이러한 힘을 가지고 있는 이야기에 있어서 중요한 점은 이야기의 구성(plot)이다. 한편의 이야기가 세월이 흘러 시대가 달라지고, 공간적인 상이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지속적인 사랑을 받을 수 있음은 인간이 감동과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본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러한 인간의 본성을 잘 파악한 이야기의 구조(plot)가 있어서이다. 이러한 이야기의 구조(plot)에 대한 이론적 정립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으로부터 출발 했을 것이다. 기원전에 쓰여진 이 책의 성찰력은 뛰어나다. 그리고 그 이론은 지금까지도 회자되어지고 있다. 나 또한 ‘시, 비극, 문학, 예술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강의’를 이해하기 위해 기본서인「시학(Poetias)과 함께 관련 자료도 많이 찾아보았다. 그럼에도 얼마 안 되는 분량의 문학이론서 한권을 이해하기에는 부족함이 많았다. 모방과 비극의 구조, 문학이 주는 카타르시스 등에 이르기까지 아리스토텔레스가 던진 사상, 가르침은 아직까지도 논의되고 있다. 2300여년전에 제시되었던 예술적, 철학적 물음은 지금 우리시대의 영화, 만화, 컴퓨터게임 속에 들어가 있다. 어렵고 멀게 느껴지는 문제 이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점을 조금 더 명확하게 이해하고 싶다. 그러기 위해 21세기의 현실 속에서 다시금 적용하고 생각해봐야 하겠다.
추천자료
황순원 소설『소나기』의 심리주의적 비평적 접근
패러디란
형식주의 비평이란 무엇인가?
[문학텍스트][영상문화][상호연관성]문학텍스트와 영상문화의 상호연관성(문학텍스트, 다의적...
국문학사
브레히트의 생애와 연극관, 브레히트의 서사극연기 무대표현, 브레히트의 미학과 페미니즘 연...
2012년 1학기 문학비평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오이디푸스 왕’ 분석
2013년 1학기 문학비평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철학] 그리스 신화나 그리스 비극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그리스 신화 혹은 그리스 비극의 특...
[시(시문학), 심상, 소통구조]시(시문학)의 개념, 시(시문학)의 생성, 시(시문학)의 심상, 시...
[소설][영화][고소설][신소설][조선전기소설][기독교문학][상징][소설론]소설과 영화, 소설과...
2014년 1학기 문학비평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문학비평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