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의 이론이성과 실천이성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들어가는 말
2.본론
3.정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의 존재를 요청하는 데, 첫 번째는 인간 영혼의 불멸성을 주장하기 위해서 이다. 덕이 있는 사람에게 행복을 보장해 주는 도덕법칙은 이성적 행위자가 행복을 요구할 만한 가치에 도달할 수 있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을 전체하여야만 하는 데 이 조건이 바로 각 개인의 영혼의 불명성이다. “우리의 본성이 지니고 있는 도덕적 사명은 우리로 하여금 심지어 현세를 넘어서조차 도덕적 완전성이라는 가장 높은 단계로까지 끝없이 나아갈 것을 요구한다.” 인간 개개인의 도덕법칙을 통한 행동이 거룩함(즉, 윤리적 완전성)을 획득하려면 우리에게는 ‘육체가 죽어도 불멸의 영혼으로 남아서 윤리적인 완성을 해 나간다’는 것이 요구되는 데, 그에 필요한 전제가 영혼의 불멸성이고, 나아가 신의 존재인 것이다.
신의 존재를 요청하는 두 번째 이유는 덕이 있는 사람이 행복을 누리는 것을 보증해 주는 존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개인이 덕을 위해 노력한다고 하더라도, 현실 세계에서는 윤리적인 사람이 행복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인간은 자신의 행복을 보장해 줄 신의 존재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 끝 -
참고문헌
‘칸트의 실천이성 비판’-박정하(논문)
『서양윤리학사』-로버트 애링턴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12.31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7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