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모더니즘과 지리학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트 모더니즘과 지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모더니즘
(2) 포스트모더니즘

Ⅲ. 결론

본문내용

역사란 권력의 역사이며 역사 - 시간 - 에 대한 불신은 자연스럽게 생긴다. 그래서 푸코가 주목한 것이 공간이다.
“ 공간은 모든 형태의 사회생활에 궁극적이다. 즉, 공간은 권력의 작동에 있어 궁극적인 것이다.”
라는 말까지 했을 정도이다.
- 기호로서의 공간 : 공간이란 ‘텍스트’의 저자는 누구인가? 실증주의자들은 기하학이라믿었으며 급진적인 정치경제학적 지리학자들은 그것을 자본의 논리와 계급갈등이라고 믿고있다. 하지만 포스트모더니즘은 저자의 죽음을 이야기한다. 그렇다면 ‘공간’에는 저자가 없는 것일까? 아니다 오히려 더 수많은 저자가 생긴다. 공간에는 특정한 권위를 인정받을 수 있는 인식론은 없다. 그리고 그렇게 되어야만 공간은 기표로서 존재되고 끓임없는 유희 속으로 몰입되는 것이다. 이상일. 1993. 「포스트모더니즘과 지리학」. 지리교육논고. P 76
Ⅲ. 결론
-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포스트모더니즘은 어떠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어떻게 본 다면 모더니즘이 짊어졌던 짐을 내려놓지는 못하고 계속 지고가면서 끓임없이 질문하는 형상을 보인다. 하지만 그렇다고 포스트모더니즘이 사변적인 것만은 아니다. 지리학에서만 보더라도 공간의 개념이 훨씬 대중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생산이라는 중심에서 문화라는 중심으로 지리에 대해 바라보게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서구중심의 사고를 주변적인 주제들의 부상이며 국제/국지화라는 모순적 개념에 대한 연구가 동시에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포스트모더니즘에는 지향점이란 없다. 지향점 없는 끓임없는 성찰, 존재하는 지향점들에 대한 끓임없는 개입만이 있을 뿐이다.
  • 가격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8.12.31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8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