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참고 문헌]
[참고 사이트]
II. 본론
III. 결론
[참고 문헌]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라 조선왕조실록에만도 무수히 많은 역병과 전염병들이 나와 있어, 호열자만을 추려내기가 힘들었다. 하지만 저번 과제의 연장으로 그때 미처 조사하지 못했던 부분들을 자세히 알게 되었다.
지금 보면 고양이 그림을 붙이고, 새끼로 만든 금줄을 치는 것이 지극히 비현실적이며, 어리석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시대 사람들은 이것이 최선이자, 최후의 방법이 아니었을까. 몇 년 전,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사스에 우리는 별다른 확실한 대응책 없이 두려움에 떨어야 했다. 또 지금의 광우병도 괴소문과 의혹에 휩싸인 것으로 보아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그 당시를 생각해 보면 이 시대 사람들의 심정을 이해하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금은 백신도 있고, 무서울 것 없는 이호열자에 대해 잘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참고 문헌]
신동원,『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역사비평사, 2004
강명관,『조선의 뒷골목 풍경』, 푸른역사 2003
신동원,『조선사람의 생로병사』, 한겨레신문사, 1999
[참고 사이트]
http://www.itkc.or.kr/
http://www.krpia.co.kr/
http://www.encykorea.com/
지금 보면 고양이 그림을 붙이고, 새끼로 만든 금줄을 치는 것이 지극히 비현실적이며, 어리석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 하지만 그 시대 사람들은 이것이 최선이자, 최후의 방법이 아니었을까. 몇 년 전, 전 세계를 공포로 몰아넣었던 사스에 우리는 별다른 확실한 대응책 없이 두려움에 떨어야 했다. 또 지금의 광우병도 괴소문과 의혹에 휩싸인 것으로 보아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그 당시를 생각해 보면 이 시대 사람들의 심정을 이해하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금은 백신도 있고, 무서울 것 없는 이호열자에 대해 잘 알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참고 문헌]
신동원,『호열자 조선을 습격하다』, 역사비평사, 2004
강명관,『조선의 뒷골목 풍경』, 푸른역사 2003
신동원,『조선사람의 생로병사』, 한겨레신문사, 1999
[참고 사이트]
http://www.itkc.or.kr/
http://www.krpia.co.kr/
http://www.encykore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