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춘화의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있다. 이 관찰자는 그림의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관찰자가 존재하지 아니하였다면 이 춘화는 평범한 춘화가 되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관찰자가 있음으로써 분위기를 고조 시켜준다. 마치 예전에 신랑신부의 첫날밤을 보기 위해 창호지에 구멍을 뚫고 보던 것과 비슷하게 이 춘화를 보는 이로 하여금 관찰자와 동질감을 느끼게 되어 마치 자신이 지켜보는 것과 비슷한 감정으로 일종의 관음증적 효과를 유발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결론.
위의 내용으로 보았을 때 조선의 춘화에는 행위를 나타내는 구도, 그림 속에 있는 사물들이 가지고 있는 역할, 그림에서 보여주는 스토리가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것들은 조선의 춘화를 그저 저속하고 난잡한 성인물이라고 치부해버리기엔 아쉬움이 있다고 생각된다. 단순히 호기심에서 시작한 조사였지만 조사하는 과정 속에서 예상외의 많은 사실들을 알 수 있어서 신선했다. 조악한 자료이긴 하지만 이 자료를 통해서 조선 춘화의 가치를 조금이나마 인식하기를 바란다.
참고 도서
- 서정걸, 『한국의 춘화』 (주)미술사랑, 2000
- 정성희, 『조선의 성풍속』 가람기획, 1998
- 이경덕, 『성풍속으로 보는 일본 문화』가람기획, 1999
- 요한 야콥 마이어, 『 인도의 성풍속』권1, 산수야, 1995
- 류다린, 『중국성문화사』 심산문화 2003
- 이야기 한국 고전 해학문학 편찬회, 『이야기 고금소총 육담편』장락, 1999
- 한국 오행벌침연구회 http://www.sarm.co.kr/
- 국사편찬위원회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y.go.kr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1.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2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