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제목
2.실험날짜
3.이론적 고찰
4.실험기구 및 재료
5.실험순서 및 방법
6.실험결과
7.결과분석
8.고찰
2.실험날짜
3.이론적 고찰
4.실험기구 및 재료
5.실험순서 및 방법
6.실험결과
7.결과분석
8.고찰
본문내용
h computer의 EXP 01A를 연다. 가로축의 시간범위는 0에서 10초로 한다.
(2)Motion detector로부터 적당한 거리에서 동료실험자가 ‘collect’ 스위치를 누르면 Motion detector에서 나오는 소리를 듣고 일정한 속도를 물체를 움직인다.
(4)더 빠른 속도로 움직이면 시간-거리 그래프가 어떻게 될지 생각해 보고, 실험과 비교해 본다.
(1)EXP 01B를 열면 시간에 대한 거리의 그래프가 나타날 것이다.
(2)이러한 그래프를 얻으려면 어떻게 걸어야 할지 예측해 본다.
(3)예측을 실제로 실험하기 위해 적당한 거리에서 ‘collect’를 누르는 소리를 듣고 실험해 본다. 예측과 결과가 맞는지 본다.
(4)예측과 결과가 맞지 않다면 최선의 그래프가 나오도록 다시 실험한다.
(5)EXP 01C를 열어 새로운 그래프에 대해 8-10단계를 반복한다.
6.실험결과 & 결과분석
7.고찰
Graph Matching. 말 글대로 주어진 s-t그래프와 v-t그래프에 최대한 비슷한 모양의 그래프가 나오도록 물체를 움직여 Matching하는 실험이었다.
가장 먼저 s-t그래프를 matching 하였다. 주어진 그래프와 같은 모양을 얻으려고 했지만 motion detector가 일정거리 이상의 움직임을 잡아 내지 못해 주어진 그래프의 영역에서 하지 못했다. 대신 영역 (Distance)은 다르지만 비슷한 형태를 얻기로 했다. 노트로 실험을 했는데 노트가 motion detector의 수평반경에서 벗어나는지 자꾸만 peak가 났다. 그래서 그런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커다란 판으로 다시 실험을 하였더니 확실히 안정된 형태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다.
그렇지만 주어진 그래프에서처럼 반듯하게 꺾인 형태는 어려웠다. 무거운 판을 들고 갑자기 속도나 방향을 바꾸는 것이 힘들었기 때문이다. s-t그래프 matching은 어느 정도 간단히 할 수 있었지만 v-t그래프를 matching하는 것은 꽤나 어려웠다. v-t그래프로 주어졌기 때문에 그것을 다시 s-t그래프로 바꿔서 생각하고, 또 고대로 움직이는 것이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조금 더 확실한 모양을 얻기 위해 2명이 위자를 밟고 올라서서 큰판의 한쪽씩을 잡고 실험을 하기도 했는데, 두 사람의 호흡이 숙련되지 않아 큰 성과가 없었다^^; 그렇지만 적극적인 참여의식을 엿볼 수 있었다.ㅋ
음...이번 실험에서 가장 큰 오차의 여지는 아무래도 motion detector의 노후화와 사람의 손(?!)인 듯하다. 주어진 기계처럼 반듯하고 매끄럽고 뽀족한 그래프를 그리려면 사람의 손에 떨림이 없어야 하니깐 말이다.
각각의 그래프에서 s-t, v-t, a-t그래프를 도출해 냈다. 그냥 아무런 생각 없이 움직이는 움직임을 하나하나 분석해 보니 꽤 복잡한 모양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작은 움직임 속에 시간과 속도들이 뒤엉켜 우리의 일상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말이다^-^
(2)Motion detector로부터 적당한 거리에서 동료실험자가 ‘collect’ 스위치를 누르면 Motion detector에서 나오는 소리를 듣고 일정한 속도를 물체를 움직인다.
(4)더 빠른 속도로 움직이면 시간-거리 그래프가 어떻게 될지 생각해 보고, 실험과 비교해 본다.
(1)EXP 01B를 열면 시간에 대한 거리의 그래프가 나타날 것이다.
(2)이러한 그래프를 얻으려면 어떻게 걸어야 할지 예측해 본다.
(3)예측을 실제로 실험하기 위해 적당한 거리에서 ‘collect’를 누르는 소리를 듣고 실험해 본다. 예측과 결과가 맞는지 본다.
(4)예측과 결과가 맞지 않다면 최선의 그래프가 나오도록 다시 실험한다.
(5)EXP 01C를 열어 새로운 그래프에 대해 8-10단계를 반복한다.
6.실험결과 & 결과분석
7.고찰
Graph Matching. 말 글대로 주어진 s-t그래프와 v-t그래프에 최대한 비슷한 모양의 그래프가 나오도록 물체를 움직여 Matching하는 실험이었다.
가장 먼저 s-t그래프를 matching 하였다. 주어진 그래프와 같은 모양을 얻으려고 했지만 motion detector가 일정거리 이상의 움직임을 잡아 내지 못해 주어진 그래프의 영역에서 하지 못했다. 대신 영역 (Distance)은 다르지만 비슷한 형태를 얻기로 했다. 노트로 실험을 했는데 노트가 motion detector의 수평반경에서 벗어나는지 자꾸만 peak가 났다. 그래서 그런 오차범위를 줄이기 위해서 커다란 판으로 다시 실험을 하였더니 확실히 안정된 형태의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다.
그렇지만 주어진 그래프에서처럼 반듯하게 꺾인 형태는 어려웠다. 무거운 판을 들고 갑자기 속도나 방향을 바꾸는 것이 힘들었기 때문이다. s-t그래프 matching은 어느 정도 간단히 할 수 있었지만 v-t그래프를 matching하는 것은 꽤나 어려웠다. v-t그래프로 주어졌기 때문에 그것을 다시 s-t그래프로 바꿔서 생각하고, 또 고대로 움직이는 것이 생각처럼 쉽지 않았다.
조금 더 확실한 모양을 얻기 위해 2명이 위자를 밟고 올라서서 큰판의 한쪽씩을 잡고 실험을 하기도 했는데, 두 사람의 호흡이 숙련되지 않아 큰 성과가 없었다^^; 그렇지만 적극적인 참여의식을 엿볼 수 있었다.ㅋ
음...이번 실험에서 가장 큰 오차의 여지는 아무래도 motion detector의 노후화와 사람의 손(?!)인 듯하다. 주어진 기계처럼 반듯하고 매끄럽고 뽀족한 그래프를 그리려면 사람의 손에 떨림이 없어야 하니깐 말이다.
각각의 그래프에서 s-t, v-t, a-t그래프를 도출해 냈다. 그냥 아무런 생각 없이 움직이는 움직임을 하나하나 분석해 보니 꽤 복잡한 모양들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을 새삼 깨달았다. 작은 움직임 속에 시간과 속도들이 뒤엉켜 우리의 일상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말이다^-^
추천자료
[일반물리 실험 보고서] Capacitors(캐퍼시터)+++결과,고찰 有
[일반물리 실험 보고서]①Magnetic Field in a coil+②The Magnetic Field of Permanent Magnet...
[일반물리 실험 보고서] 빛의 편광실험+++결과,고찰 有
일반물리 등전위실험 결과보고서
빛의 속력 측정, 빛의 속도 측정 실험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일반물리학] 열역학 실험 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보고서 [ 힘의평형 ] - 실험목적, 실험원리,
[일반 물리학 실험] (결과 보고서) 거리측정 - 버니어캘리퍼 & 마이크로미터
일반물리학 실험 -탄동진자(Ballistic pendulum) 실험 결과 보고서
일반물리 실험 -길이의 측정 및 힘의 평형 실험 결과 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Graph Matching 결과 보고서
일반 물리 실험 보고서 전기저항 측정 실험 결과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옴(Ohm)의 법칙 결과 보고서 : 전기회로에서 전압과 전류, 저항의 관계를 ...
[일반 물리학 실험] 중력가속도 실험 보고서 : 지구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물체에 대해 낙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