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점시장의 형태(다양한 모형의 접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문제제기)

Ⅱ. 순수과점을 설명하는 모형
1. 쿠르노 모형
2. 챔버린 모형
3. 버틀란트 모형

Ⅲ.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떻게 될까? 회사들은 동일 제품을 판다고 전제했기 때문에 버틀란트 균형의 조건은 『가격은 한계 비용과 일치한다』는 완전 경쟁 균형조건과 같은 수준까지 내려간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 회사가 다른 회사보다 조금이라도 싸게 상품을 판다면 다른 회사는 자신의 상품을 하나도 팔지 못한다. 그러므로 경쟁적으로 가격 인하를 하게 된다. 그 결과 가격이 한계비용까지 내려가고 거기서 끝난다. 한 상대방이 다른 상대방을 도산시키려고 그 이하로 가격 인하를 결정하는 수도 있지만 그 자신도 손해가 쌓여 피해가 크므로 대개는 한계비용의 수준에서 끝난다.
이런 현상은 생산업자가 담합을 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단 둘이 있을 때에도 발생한다. 과거 미원과 미풍의 조미료 경쟁처럼 가격경쟁에 들어가면 이윤은 모두 소비자에게 돌아가고 생산자에게는 어떤 독점 이윤도 돌아가지 않는다. 즉 완전 경쟁상태의 균형이 생기는 것이다.
즉, 독점적 경쟁시장 이론에서와 같이, 기업이 자신의 가격을 조금 올리더라도 자신의 고객을 전부 경쟁기업에 빼앗기지는 않으며 또한 가격을 조금 내리는 경우에도 경쟁기업 고객을 전부 뺏어오지는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Ⅲ. 결론 및 시사점
과점시장은 시장의 기업이 많이 않아 경쟁기업의 반응을 살펴 자신의 가격 및 생산량을 조절해야 하는 시장이다. 과점시장에서는 기업연합에 의한 독점행위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으며, 경쟁유형으로는 쿠르노 모형과 버틀란트 모형, 그리고 챔버린 모형이 있다.
쿠르노 모형은 독점시장의 기업들이 경쟁기업의 가격에 따라 자신의 가격을 결정해야 하는 경우의 경쟁유형이다. 이 경우 일정한 균형점에 이르면 각 기업들의 가격이 고정되고, 생산량으로 경쟁하게 된다. 생산량을 조정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산업에서 나타나는 경쟁유형이다. 경쟁기업의 가격이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경쟁유형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독점과 완전경쟁의 중간형태의 순수과점 형태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챔버린 모형은 쿠르노 모형과 비슷한 것이기는 하나 한계비용이 ‘0’이라는 가정하에서 최초 가격결정자가 정한 가격이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신규 공급자가 나타난다고 해서 가격경쟁 등이 이루어지지 않는 모형이다. 결과적으로 보면 독점의 시장현태와 유사한 형태를 지닌 순수과점의 형태이다.
버틀란트 모형은 독점시장의 기업들이 경쟁기업의 생산량에 따라 자신의 생산량을 결정해야 하는 경우의 경쟁유형이다. 이 경우 일정한 균형점에 이르면 각 기업들이 생산량이 고정되고, 가격(원가절감)으로 경쟁하게 된다. 이것은 생산량을 조정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드는 산업에서 나타나는 경쟁유형이다. 경쟁기업의 생산량이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는 경쟁유형이라고 볼 수도 있다. 즉, 다시 말해 완전경쟁의 시장형태와 비슷한 모습을 가진 순수과점의 형태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김진욱(2008년) 『경제학원론』 고시계사
양정환(2007년) 『하루 만에 끝내는 경제학 노트』 에디터
이근우(2007년) 『경제학 프레임』 웅진윙스
이준구(2008년) 『미시경제학』 법문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1.10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42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