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의 분노에 대한 대처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녀의 분노에 대한 대처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서론

2. 본론
1) 분노의 원인
(1) 아이들에게 시달리다보면 깨닫지 못하는 사이 자기 자신에게 화가 나게 된다.
(2) 신체적이나 정서적인 고통스러운 경험에 촉발사고를 더하면 분노반응이 구성된다.

2) 분노의 효과
(1) 분노는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2) 분노는 핵심적인 문제나 정서적인 고통을 숨긴다.
(3) 분노는 주변의 관심을 이끌어낸다.
(4) 처벌과 보복하기

3) 분노의 감정들을 다루는 효과적인 방법
(1) 화가 나려고 하면 아이들에게 자기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는 것이 좋다.
(2) 화를 낼 때도 나름대로 규칙과 한계를 정해둔다.
(3) 화를 낼 때는 1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4) 감정을 가라앉히고 분노조절해 대화해라
(5) 화가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멈추는 것이다.
(6) 부모도 이것 아니면 안 된다라고만 주장하지 마라
(7) 분노의 생리학적 대가를 안다.
(8) 자신의 분노를 이해한다.
(9) 부모는 자신을 화나게 만든 아이행동을 고쳐야 된다고만 생각지 마라

3. 결론

본문내용

조금은 양보를 해야지.” (7) 분노의 생리학적 대가를 안다. 분노는 혈압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다. 분노를 표출하지 못하고(혹은 하고 싶지 않은)억제하는 경우, 혹은 사람들에게 적대적이고 공격적으로 분노를 표출하는 경우 모두 고혈압이 생기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8) 자신의 분노를 이해한다.부모의 분노는 아이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상처를 준다. 그리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분노와 관련된 모든 부정적인 요소들에도 불구하고 왜 아이에게 분노를 가지는가? 등에 대해서 이해한다. 부득이 화를 냈을 땐 아이의 탓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이 초조해서 생긴 일이라는 것을 인정하자. 이것은 매우 용기있는 행동이다. (9) 부모는 자신을 화나게 만든 아이행동을 고쳐야 된다고만 생각지 마라
그렇게 되지 않는다. 이것을 분노로 인한 무력감이라고 하는데, 그 무력감으로 인해 부모는 훨씬 더 화나고 괴롭고 좌절할 수 있다. 이럴 때, 부모 자신이 괴로운 것을 변화시키려는 책임을 질 수 밖에 없다. 아이가 나에게 고통을 주었지?라고 묻는 것 대신에 그 고통을 없애기 위해서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물어야 한다. 3. 결론
내가 아이에게 화가 나는 모든 근간에는 자신이 보기에 아이들이 그들이 해서는 안 되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고, 당신이 그들에게 화를 낼 권리가 있다는 생각이 있다. 이럴 때 우리는 자신을 화나게 만드는 아이들이 하는 행동이 그들이 자신을 돌보고 살아남기 위해 최선을 다한 것이라고 생각해보면 어떨까? 나를 가장 화나게 하고 화를 유발하는 행동들이 실제로 아이들에게는 최상의 대처법이 될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1.17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5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