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서론
2. 본론
1) 분노의 원인
(1) 아이들에게 시달리다보면 깨닫지 못하는 사이 자기 자신에게 화가 나게 된다.
(2) 신체적이나 정서적인 고통스러운 경험에 촉발사고를 더하면 분노반응이 구성된다.
2) 분노의 효과
(1) 분노는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2) 분노는 핵심적인 문제나 정서적인 고통을 숨긴다.
(3) 분노는 주변의 관심을 이끌어낸다.
(4) 처벌과 보복하기
3) 분노의 감정들을 다루는 효과적인 방법
(1) 화가 나려고 하면 아이들에게 자기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는 것이 좋다.
(2) 화를 낼 때도 나름대로 규칙과 한계를 정해둔다.
(3) 화를 낼 때는 1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4) 감정을 가라앉히고 분노조절해 대화해라
(5) 화가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멈추는 것이다.
(6) 부모도 이것 아니면 안 된다라고만 주장하지 마라
(7) 분노의 생리학적 대가를 안다.
(8) 자신의 분노를 이해한다.
(9) 부모는 자신을 화나게 만든 아이행동을 고쳐야 된다고만 생각지 마라
3. 결론
1. 서론
2. 본론
1) 분노의 원인
(1) 아이들에게 시달리다보면 깨닫지 못하는 사이 자기 자신에게 화가 나게 된다.
(2) 신체적이나 정서적인 고통스러운 경험에 촉발사고를 더하면 분노반응이 구성된다.
2) 분노의 효과
(1) 분노는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2) 분노는 핵심적인 문제나 정서적인 고통을 숨긴다.
(3) 분노는 주변의 관심을 이끌어낸다.
(4) 처벌과 보복하기
3) 분노의 감정들을 다루는 효과적인 방법
(1) 화가 나려고 하면 아이들에게 자기 감정을 솔직히 표현하는 것이 좋다.
(2) 화를 낼 때도 나름대로 규칙과 한계를 정해둔다.
(3) 화를 낼 때는 1분을 넘기지 않는 것이 좋다.
(4) 감정을 가라앉히고 분노조절해 대화해라
(5) 화가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멈추는 것이다.
(6) 부모도 이것 아니면 안 된다라고만 주장하지 마라
(7) 분노의 생리학적 대가를 안다.
(8) 자신의 분노를 이해한다.
(9) 부모는 자신을 화나게 만든 아이행동을 고쳐야 된다고만 생각지 마라
3. 결론
본문내용
조금은 양보를 해야지.” (7) 분노의 생리학적 대가를 안다. 분노는 혈압을 상승시키는 경향이 있다. 분노를 표출하지 못하고(혹은 하고 싶지 않은)억제하는 경우, 혹은 사람들에게 적대적이고 공격적으로 분노를 표출하는 경우 모두 고혈압이 생기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8) 자신의 분노를 이해한다.부모의 분노는 아이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고 상처를 준다. 그리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분노와 관련된 모든 부정적인 요소들에도 불구하고 왜 아이에게 분노를 가지는가? 등에 대해서 이해한다. 부득이 화를 냈을 땐 아이의 탓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이 초조해서 생긴 일이라는 것을 인정하자. 이것은 매우 용기있는 행동이다. (9) 부모는 자신을 화나게 만든 아이행동을 고쳐야 된다고만 생각지 마라
그렇게 되지 않는다. 이것을 분노로 인한 무력감이라고 하는데, 그 무력감으로 인해 부모는 훨씬 더 화나고 괴롭고 좌절할 수 있다. 이럴 때, 부모 자신이 괴로운 것을 변화시키려는 책임을 질 수 밖에 없다. 아이가 나에게 고통을 주었지?라고 묻는 것 대신에 그 고통을 없애기 위해서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물어야 한다. 3. 결론
내가 아이에게 화가 나는 모든 근간에는 자신이 보기에 아이들이 그들이 해서는 안 되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고, 당신이 그들에게 화를 낼 권리가 있다는 생각이 있다. 이럴 때 우리는 자신을 화나게 만드는 아이들이 하는 행동이 그들이 자신을 돌보고 살아남기 위해 최선을 다한 것이라고 생각해보면 어떨까? 나를 가장 화나게 하고 화를 유발하는 행동들이 실제로 아이들에게는 최상의 대처법이 될 수 있다.
그렇게 되지 않는다. 이것을 분노로 인한 무력감이라고 하는데, 그 무력감으로 인해 부모는 훨씬 더 화나고 괴롭고 좌절할 수 있다. 이럴 때, 부모 자신이 괴로운 것을 변화시키려는 책임을 질 수 밖에 없다. 아이가 나에게 고통을 주었지?라고 묻는 것 대신에 그 고통을 없애기 위해서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물어야 한다. 3. 결론
내가 아이에게 화가 나는 모든 근간에는 자신이 보기에 아이들이 그들이 해서는 안 되는 방식으로 행동하고 있고, 당신이 그들에게 화를 낼 권리가 있다는 생각이 있다. 이럴 때 우리는 자신을 화나게 만드는 아이들이 하는 행동이 그들이 자신을 돌보고 살아남기 위해 최선을 다한 것이라고 생각해보면 어떨까? 나를 가장 화나게 하고 화를 유발하는 행동들이 실제로 아이들에게는 최상의 대처법이 될 수 있다.
추천자료
[이혼]이혼에 대한 이론과 이혼 견해 및 이혼 예방대책 분석(이혼제도, 이혼의 효과, 협의상 ...
장애자녀와 대화, 장애아가 가정생활에 미치는 영향, 장애아부모 역할, 효과적인 가정지도 방...
이혼 후의 자녀양육에 대한 법적 검토
자녀와의 자살에 대한 나의 생각
부모-자녀 관계에 대한 이론적 관점 중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이론과 Erikson의 심리사...
부모교육 - 유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역할
영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3명이상)을 대상으로 보육교사에 대한 생각(인식)및 요구를 면담하...
[진로상담이론] 부모-자녀관계이론 (부모-자녀관계이론의 이해와 한국 내담자에 대한 적용 가...
부모와 자녀관계 회복 프로그램(부모자녀프로그램, 가족프로그램, 가족관계개선프로그램계획...
예비부모교육을 통한 튼튼부모&자녀 프로그램 홍보계획서(가족생활교육 홍보방법)
부모의 양육방식과 사회화(자녀양육의 방법, 부모의 훈육방식, 자녀양육의 사회계층차이)
빈곤층 자녀의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국가적 예방대책에 대하여 사회복지적 측면에서의 해결...
[이혼적응] 이혼에 대한 적응과정(이혼에 대한 정서적 반응, 이혼 후의 적응, 이혼이 자녀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