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개요
2. 기능
3. 특징
4. 사용방법
5. 종류
6. 시술
7. 위험성
2. 기능
3. 특징
4. 사용방법
5. 종류
6. 시술
7. 위험성
본문내용
능하다. 기도 내에 있는 이물질 제거에 사용되기도 하며, 특히 강직형기관지경을 사용하기 힘든 세기관지(bronchioles)의 이물질 제거에 유용하다.
4. 시술
1) 시술 30분전 마취(강직형기관지경-전신마취, 굴곡형기관지경-국소마취)를 하고 필요에 따라 진정제나, 분비물이 기관지경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항분비제를 투여한다.
2) 시술 하는 동안 혈압과 심전도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
3) 기관지경을 코나 입으로 삽입한다. 기침반사를 줄이기 위해 다시 마취제를 기관 내로 분사하고, 관의 삽입을 기관에서 기관지, 세기관지로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4) 원시경을 삽입하면 좋은 시야를 얻을 수 있으며, 정면 및 측면의 관찰이 가능하고, 비디오 카메라에 연결하여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고 녹화할 수도 있다.
5) 직경 5mm이상의 기관지경의 경우 기구 삽입관을 통해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다.
5. 위험성
기관지경의 사용 시 기관과 성대가 손상을 입거나 부종이 생길 수 있으며, 이밖에 삼장과 혈관, 과대출혈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 가능성은 낮으며, 특히 굴곡형기관지경(fiberoptic bronchoscopy)은 더 안전한 편이다.
4. 시술
1) 시술 30분전 마취(강직형기관지경-전신마취, 굴곡형기관지경-국소마취)를 하고 필요에 따라 진정제나, 분비물이 기관지경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항분비제를 투여한다.
2) 시술 하는 동안 혈압과 심전도를 주기적으로 검사한다.
3) 기관지경을 코나 입으로 삽입한다. 기침반사를 줄이기 위해 다시 마취제를 기관 내로 분사하고, 관의 삽입을 기관에서 기관지, 세기관지로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4) 원시경을 삽입하면 좋은 시야를 얻을 수 있으며, 정면 및 측면의 관찰이 가능하고, 비디오 카메라에 연결하여 화면을 통해 볼 수 있고 녹화할 수도 있다.
5) 직경 5mm이상의 기관지경의 경우 기구 삽입관을 통해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다.
5. 위험성
기관지경의 사용 시 기관과 성대가 손상을 입거나 부종이 생길 수 있으며, 이밖에 삼장과 혈관, 과대출혈 등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 가능성은 낮으며, 특히 굴곡형기관지경(fiberoptic bronchoscopy)은 더 안전한 편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