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강활이란??
2. 강활의 재배방법
1). 기후와 토양
2). 땅고르기
3). 심기
4). 경지관리
5). 주의사항
3. 강활의 약용
2. 강활의 재배방법
1). 기후와 토양
2). 땅고르기
3). 심기
4). 경지관리
5). 주의사항
3. 강활의 약용
본문내용
많고 군데군데 잔뿌리 자국이 남아 있다. 중국강활(羌活)은 약간 구부러진 원주형 또는 원추형으로 표면은 황갈색 내지 암갈색을 띠고 뿌리 바깥면에는 조잡한 세로의 주름 및 혹모양의 잔뿌리 흔적이 있다. 관엽강활(寬葉羌活)은 원주모양의 뿌리줄기와 원추모양의 뿌리로 이루어져 세로로 주름무늬와 피공이 있다. 표면은 갈색이고 뿌리줄기 가까운 곳에는 비교적 치밀한 환형 무늬가 있다.
강활은 강골(羌滑), 장생초(長生草), 강청(羌靑), 잠강(蠶羌), 독요초(獨搖草), 호왕사자(胡王使者), 호강사자(護羌使者)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강활(Angelica koreana L.)을 주로 사용하고 갯강활(Angelica japonica A.Gray)을 대신 쓰기도 하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를 강활로 사용하지 않는다.
강활은 강골(羌滑), 장생초(長生草), 강청(羌靑), 잠강(蠶羌), 독요초(獨搖草), 호왕사자(胡王使者), 호강사자(護羌使者)라고도 한다. 한국에서는 강활(Angelica koreana L.)을 주로 사용하고 갯강활(Angelica japonica A.Gray)을 대신 쓰기도 하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이를 강활로 사용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