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라인홀트 니버의 도덕적인간과 비도덕사회
본문내용
어려우며 이러한 자기중심적인 경향을 회피만 할 것이 아니라 마주보며 이를 이해하고 극복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기도 하다.
오늘날 우리사회 전반적으로 만연한 비도덕성을 개혁내지 타파하고자 하는 열망을 이 책을 읽음으로써 조금이나마 느끼게 되었다. 니버는 도덕적인 인간이 존재하며 그들이 하나의 단체를 이룰 때 그 집단은 인격화되게 되며 비도덕적이고 이기주의화 된다고 하였지만 현재사회에는 도덕적 개인이 드물뿐더러 소수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서 도덕적인 인간은 소수이며 이들이 모여 있는 단체는 도덕적이며 이타적인 경향이 많으며 비도덕적인 인간은 다수이면서 이들의 단체는 비도덕적이고 이기적인 경향이 많다고 볼 수 있는데 이들 다수의 이기적이고 비도덕적인 인간이 사회를 나쁜 쪽으로 이끌어가는 부의 효과가 더 발휘되고 있고 그로인해서 사회는 물론 개인까지 벼랑으로 내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니버의 사상을 그의 저서에서 조금이나마 맛볼 수 있었고, 현재의 사회문제와 그의 인식 점에서 공통점을 많이 찾을 수 있었으나 완벽한 해결책을 찾아 볼 수 없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출처: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이한우 옮김 /문예출판사 1995
오늘날 우리사회 전반적으로 만연한 비도덕성을 개혁내지 타파하고자 하는 열망을 이 책을 읽음으로써 조금이나마 느끼게 되었다. 니버는 도덕적인 인간이 존재하며 그들이 하나의 단체를 이룰 때 그 집단은 인격화되게 되며 비도덕적이고 이기주의화 된다고 하였지만 현재사회에는 도덕적 개인이 드물뿐더러 소수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다시 말해서 도덕적인 인간은 소수이며 이들이 모여 있는 단체는 도덕적이며 이타적인 경향이 많으며 비도덕적인 인간은 다수이면서 이들의 단체는 비도덕적이고 이기적인 경향이 많다고 볼 수 있는데 이들 다수의 이기적이고 비도덕적인 인간이 사회를 나쁜 쪽으로 이끌어가는 부의 효과가 더 발휘되고 있고 그로인해서 사회는 물론 개인까지 벼랑으로 내몰리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니버의 사상을 그의 저서에서 조금이나마 맛볼 수 있었고, 현재의 사회문제와 그의 인식 점에서 공통점을 많이 찾을 수 있었으나 완벽한 해결책을 찾아 볼 수 없었다는 점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출처: 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 이한우 옮김 /문예출판사 1995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