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미혼모의 정의
(2)미혼모의 실제 사례
① 양친 슬하에서 자랐으나 자신의 실수로 미혼모가 된 경우
②계부와 친모슬하에 있다가 가출하여 미혼모가 된 경우
③부모를 여의고 고아로 자라다가 미혼모가 된 경우
(3)문제점
(4)대책방안
1. 사전적 대책
2.사후적 대책
Ⅲ. 결 론
Ⅱ. 본 론
(1) 미혼모의 정의
(2)미혼모의 실제 사례
① 양친 슬하에서 자랐으나 자신의 실수로 미혼모가 된 경우
②계부와 친모슬하에 있다가 가출하여 미혼모가 된 경우
③부모를 여의고 고아로 자라다가 미혼모가 된 경우
(3)문제점
(4)대책방안
1. 사전적 대책
2.사후적 대책
Ⅲ. 결 론
본문내용
성교육의 강화
③ 청소년 문제를 전담할 수 있는 기구의 설치
④ 사회문화시설의 확충으로 젊은 남녀의 건전한 교제를 유도
⑤ 결손가정에 대한 지원 사업
2.사후적 대책
미혼모가 일반적으로 안고 있는 문제로는 임신한 아기의 처리 문제와 앞으로 자신의 거처 문제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미혼모에게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①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결정한다.
② 미혼모를 위한 임시위탁시설의 설치를 한다.
③ 출산할 아동을 포기할 경우 거택구호의 실시를 한다.
④ 출산에 따르는 산전 산후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⑤ 미혼모의 정규교육기회를 지속적으로 부여한다.
⑥ 미혼모의 사회복귀를 위한 직업교육의 실시 및 취업알선을 한다.
⑦ 정서적 측면으로 임신후회, 우울, 근심, 사회적 불안정, 죄책감, 수치, 현실왜곡, 부정 등의 정서적인 문제를 도와준다.
⑧ 법적 근거를 강화시켜야 한다.
⑨ 아동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
- 아동에 대한 생모의 감정과 가족이나 미혼부에 개한 감정을 구분하고 아동과 자신을 위해 진정으로 바람직한 해결책이 무엇인지 결정하도록 돕는다.
- 결혼, 편부무로서의 양육능력에 대한 평가, 입양을 위한 친권포기 여부 등의 문제에서 미혼모의 결정을 도와주고 지지해 준다.
- 아동을 양육할 경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역사회 지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현재 우리나라 모자보호시설 지역별 분포현황 (보건복지부)
구분
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계
39
7
6
4
1
1
1
1
1
1
2
4
2
5
2
1
도시
33
7
6
4
1
1
1
1
1
1
1
3
1
3
1
1
농촌
6
1
1
1
2
1
Ⅲ. 결 론
지금까지 미혼모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았다.
미혼모는 사전에 예방도 가능하고 사후에도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
시설보호 대상아동의 원천이 부랑아로 판명이 되었으며, 이들 부랑아, 기아의 원천이 또한 미혼모로 판명이 되었다.
따라서 미혼모와 그의 아동에 대한 사후 복지적인 대책을 등한히 해서는 안되지만 이것은 자칫 이들의 발생을 조장시킬 위험 요인도 안고 있으므로 가장 적절한 서비스는 사전에 예방하도록 적극 힘써야 한다.
이왕이면 현재 이용하고 있는 가정상담소, 부녀상담소의 활성화와 증설 및 갖가지 방법이 동원된 계몽만이 미혼모 발생을 사전에 말을 수 있는 길일 것이다.
③ 청소년 문제를 전담할 수 있는 기구의 설치
④ 사회문화시설의 확충으로 젊은 남녀의 건전한 교제를 유도
⑤ 결손가정에 대한 지원 사업
2.사후적 대책
미혼모가 일반적으로 안고 있는 문제로는 임신한 아기의 처리 문제와 앞으로 자신의 거처 문제를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따라서 미혼모에게는 다음과 같은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①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하여 앞으로의 방향을 결정한다.
② 미혼모를 위한 임시위탁시설의 설치를 한다.
③ 출산할 아동을 포기할 경우 거택구호의 실시를 한다.
④ 출산에 따르는 산전 산후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⑤ 미혼모의 정규교육기회를 지속적으로 부여한다.
⑥ 미혼모의 사회복귀를 위한 직업교육의 실시 및 취업알선을 한다.
⑦ 정서적 측면으로 임신후회, 우울, 근심, 사회적 불안정, 죄책감, 수치, 현실왜곡, 부정 등의 정서적인 문제를 도와준다.
⑧ 법적 근거를 강화시켜야 한다.
⑨ 아동에 대한 계획을 세운다.
- 아동에 대한 생모의 감정과 가족이나 미혼부에 개한 감정을 구분하고 아동과 자신을 위해 진정으로 바람직한 해결책이 무엇인지 결정하도록 돕는다.
- 결혼, 편부무로서의 양육능력에 대한 평가, 입양을 위한 친권포기 여부 등의 문제에서 미혼모의 결정을 도와주고 지지해 준다.
- 아동을 양육할 경우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지역사회 지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 현재 우리나라 모자보호시설 지역별 분포현황 (보건복지부)
구분
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계
39
7
6
4
1
1
1
1
1
1
2
4
2
5
2
1
도시
33
7
6
4
1
1
1
1
1
1
1
3
1
3
1
1
농촌
6
1
1
1
2
1
Ⅲ. 결 론
지금까지 미혼모에 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았다.
미혼모는 사전에 예방도 가능하고 사후에도 충분히 만족할 만한 결과를 가지고 올 수 있다.
시설보호 대상아동의 원천이 부랑아로 판명이 되었으며, 이들 부랑아, 기아의 원천이 또한 미혼모로 판명이 되었다.
따라서 미혼모와 그의 아동에 대한 사후 복지적인 대책을 등한히 해서는 안되지만 이것은 자칫 이들의 발생을 조장시킬 위험 요인도 안고 있으므로 가장 적절한 서비스는 사전에 예방하도록 적극 힘써야 한다.
이왕이면 현재 이용하고 있는 가정상담소, 부녀상담소의 활성화와 증설 및 갖가지 방법이 동원된 계몽만이 미혼모 발생을 사전에 말을 수 있는 길일 것이다.
추천자료
안락사에 대한 나의 의견
혼전동거에 대한 자신의 의견
(생명경시) 낙태와 안락사에 대한 찬반 논쟁과 문제점 해결방안 - 낙태의 원인, 문제점, 안락...
미혼모, 부자 가족과 한부모가족의 정의와 두 가족의 차이점을 기술하고, 두 가족에게 지원되...
낙태에 대한 찬반토론 자료 (찬성 의견)
사회보장기본법에 의한 구분을 적용한 아동복지 정책의 유형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앞으로 우...
카두신이 제시한 3S모형에 의거하여 현재 시행되고 있는 아동복지서비스의 실태를 파악해 보...
낙태 <낙태는 살인이 아니다 > 낙태의 정의와 낙태 허용범위, 우리나라 낙태 현황, 낙태 찬성...
현재의 사회문제 중 학습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사회문제에 대한 의견을 제시해 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