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영화 감상
2. 영화 ost
3. 영화의 사회적 영향
4.<go> <박치기> <우리학교> 비교
2. 영화 ost
3. 영화의 사회적 영향
4.<go> <박치기> <우리학교> 비교
본문내용
다.
이 영화가 끝난 후에 한국에서는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재일동포들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꿀 수 있게 하였으며, 에다가와 조선학교와 우토르지역 사람들에 대한 지원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그동안 잊고 지냈던 이들에게 늦었지만 관심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재일조선인에게 있었던 무능한 조국과 무관심한 조국! 두 개의 조국 중에서 무관심한 조국이 관심을 가지는 조국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기원합니다.
*그리고 <박치기>와<우리학교>
이 세 영화의 공통점이라고 한다면 재일조선인들의 삶을 다뤘다는 것에 있다. 하지만 보는 관점은 세 영화가 각자 다릅니다. 우선 우리학교의 감독은 사랑하는 부인의 뜻을 이어받아서 비교적 담담하게 그리고 호의적으로 이들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영화는 기존의 재일조선인들의 이야기를 비교적 가볍게 그려낸 영화입니다. 하지만 이 영화의 시나리오를 쓴 사람은 조선고등학교를 중간에 중퇴했으며, 필명도 일본명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다소 조선학교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그린 점도 있습니다. 조선고등학교를 암울하게 그렸던 것도 어느 정도의 사실은 있겠지만 작가의 좋지 않았던 기억이 컸던 것 같습니다. 지금의 재일 조선학교는 그렇지 않습니다. 하지만, 자신도 조선인으로 살아왔기에 조선인으로 겪는 애환과 삶을 사실적이면서도 재미나게 그리고 있습니다.
영화 박치기는 일본인 감독이 그린 이야기 입니다. 재일조선인의 삶과 재일조선인이 받는 차별과 애환을 그리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재일조선인으로 얼마나 핍박받는 삶을 살았으며 아직도 많은 차별을 받고 있다는 것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집에 관이 들어갈 수 없어서 문을 부수는 장면과 장례식에서 돼지가 먹는 음식을 주워 먹었던 사실은 실제 있었던 이야기 입니다. 이 이야기들을 박치기1,2에서 일본인들이 등장해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세영화 모두 재일 조선인의 삶의 애환을 담았고, 재일 조선인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 했다는 것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학교는 좀더 희망적인 메시지와 함께 재일조선인으로 태어나서 차별은 받지만 자부심을 느끼면서 당당하게 살아가는 모습이 보입니다.와<박치기>를 봤을 때는 재일조선인의 처지와 안타까운 삶, 그리고 일본인들에게 차별받는 모습이 안타깝게만 느껴졌다면, <우리학교>영화를 봤을 때는 차별받고 힘들게 살아가고 있지만, 역설적이게도 나도 우리학교에서 학창시절을 보냈으면 하는 생각과 행복해 보이는 그들의 모습이 부럽게 느껴집니다. 그리고 일본 사회에서 당당하게 사는 그들의 모습에 다른 재일조선인들도 그렇게 살아야 한다고 이야기 해주는 것같습니다. 실제로 영화<우리학교>를 본 많은 재일조선인들이 자녀를 <우리학교>에 입학시켰다고 합니다. 와<박치기>가 재일 조선인의 차별받는 삶과 애환을 보여주는데 그쳤다면, <우리학교>는 재일조선인으로 살아가는 것이 행복하다는 것, 당당하게 살아갈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희망을 보여줬다는 것에 이 영화는 영화 이상의 가치를 지녔다고 봅니다.
이 영화가 끝난 후에 한국에서는 많은 영향을 끼쳤습니다. 재일동포들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바꿀 수 있게 하였으며, 에다가와 조선학교와 우토르지역 사람들에 대한 지원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더 중요한 것은 그동안 잊고 지냈던 이들에게 늦었지만 관심을 가진다는 것입니다. 재일조선인에게 있었던 무능한 조국과 무관심한 조국! 두 개의 조국 중에서 무관심한 조국이 관심을 가지는 조국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기원합니다.
*
이 세 영화의 공통점이라고 한다면 재일조선인들의 삶을 다뤘다는 것에 있다. 하지만 보는 관점은 세 영화가 각자 다릅니다. 우선 우리학교의 감독은 사랑하는 부인의 뜻을 이어받아서 비교적 담담하게 그리고 호의적으로 이들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영화
영화 박치기는 일본인 감독이 그린 이야기 입니다. 재일조선인의 삶과 재일조선인이 받는 차별과 애환을 그리고 있습니다. 일본에서 재일조선인으로 얼마나 핍박받는 삶을 살았으며 아직도 많은 차별을 받고 있다는 것을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습니다. 집에 관이 들어갈 수 없어서 문을 부수는 장면과 장례식에서 돼지가 먹는 음식을 주워 먹었던 사실은 실제 있었던 이야기 입니다. 이 이야기들을 박치기1,2에서 일본인들이 등장해서 바라보고 있습니다.
세영화 모두 재일 조선인의 삶의 애환을 담았고, 재일 조선인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 했다는 것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학교는 좀더 희망적인 메시지와 함께 재일조선인으로 태어나서 차별은 받지만 자부심을 느끼면서 당당하게 살아가는 모습이 보입니다.
추천자료
배틀로얄을 통해본 일본청소년들의 문제점
`링`으로 살펴보는 일본문화
[영어에세이]쉘위댄스 Shall We Dance 스오 마사유키 감독 영화비평 감상 영작문 일본 독후감...
[영어에세이] 하울의 움직이는 성 Howl`s Moving Castle - 미야자키 하야오 - Hayao Miyazaki...
[영어에세이] My Neighbor Totoro 이웃집 토토로 -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 일본 애니메이션 ...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 한국판(심은하 한석규 주연)과 리메이크 버전인 일본판의 비교분석
[일본어레포트]영화와 패션에 그려진 오리엔탈리즘
영화 박치기를 보고
영화 shall we dance(일본)와 여가의 관계
태평양의 강수알고리즘, 태평양의 어업생물조사, 태평양의 꽁치자원, 태평양과 한국영화해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