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적항암제와 다중표적항암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표적항암제
1). 대표적인 표적항암제
2). 표적치료제의 한계

2. 다중표적항암제

3. 과제와 전망
1). 치료의 효율화(환자선별)
2). 암세포의 분자특성개발(유전자적 접근)
3). 치료반응성 개발(반응환자의 표준화)
4). 맞춤형의 고비용문제

본문내용

불필요한 치료를 받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2). 암세포의 분자특성개발(유전자적 접근)
하버드 의대 메사추세츠 종합병원의 브루스A 채브너교수와 코마스 G 로버트 교수는 지난해 항암치료와 암과의 전쟁이라는 제목의 네이처 기고문에서 "지난 60년간 임상가들은 종양의 조직학적 분류에 의존해 치료방침을 결정해 왔다. 그러나 이제 항암제를 효과적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암세포의 분자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가 항암제 개발의 핵심목표가 돼야한다."고 강조했다.
3). 치료반응성 개발(반응환자의 표준화)
발암경로가 복잡한 대부분의 고형암은 치료에 반응하는 환자의 특징을 파악하는 단계에 있기 때문에 환자를 선택적으로 치료하려면 아직도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대안은 전통적인 화학요법과 표적치료제를 병용해서 투여하는 칵테일 요법과 표적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유전자 요법에 주목하고 있다. 즉 아직은 표적치료제에 대한 환상을 경계하고 있는 것이다.
4). 맞춤형의 고비용문제
다음으로 현실적인 비용문제다. 표적치료제의 개념을 맞춤형으로 유도하려는 것 같은 방향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가장 큰 피해가 예상되는 환자는 우리나라 환자가 될 것이 자명하기 때문이다. 수백억에 이르는 개발비용을 제조회사의 손익분기점까지는 환자의 부담으로 채워준다고 기술한바 있다. 제조회사는 일반수가를 마음대로 책정한다.
영국을 비롯해 유럽의 국가들은 비용을 국가에서 대줄 것이어서 문제될 게 없고, 미국은 어차피 공익성 의료보험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으므로 수가를 대폭 올리는 것은 큰 저항에 부딪칠 가능성이 많다.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2.13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9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