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대주의와 반(Anti)유대주의
2. 홀로코스트(Holocaust)
3. 홀로코스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들
1) 수정의 밤 Kristallnacht
2) 게토 Ghetto
3) 아우슈비츠 수용소
4. 유대인들의 저항 - ex) 바르샤바 케토 봉기
5. 유대인 전범
1) 요셉 멩겔레
2) 아돌프 아이히만
3) 루돌프 헤스
6. 히틀러와 홀로코스트
7. 용서와 화해 - 독일의 과거청산의 노력
1) 학살범죄에 대한 공소시효의 폐지
2) 역사학, 반성의 움직임
3) 과거청산의 의미확대와 실질적인 보상
4) 진실된 역사교과서 서술을 위한 노력
2. 홀로코스트(Holocaust)
3. 홀로코스트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건들
1) 수정의 밤 Kristallnacht
2) 게토 Ghetto
3) 아우슈비츠 수용소
4. 유대인들의 저항 - ex) 바르샤바 케토 봉기
5. 유대인 전범
1) 요셉 멩겔레
2) 아돌프 아이히만
3) 루돌프 헤스
6. 히틀러와 홀로코스트
7. 용서와 화해 - 독일의 과거청산의 노력
1) 학살범죄에 대한 공소시효의 폐지
2) 역사학, 반성의 움직임
3) 과거청산의 의미확대와 실질적인 보상
4) 진실된 역사교과서 서술을 위한 노력
본문내용
었다.
1) 학살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폐지
독일은 학살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폐지를 단행했다. 그 결과 국가와 가해자의 죄를 환기시켜 정의를 실현시켰고, 피해자의 고통에 응답함으로써 궁극에는 인간의 존엄성을 확대했다는 평가를 받은 만하다.
2) 역사학, 반성의 움직임
통일 이후 동독의 붕괴로 역사문제에서 동독과 서독 상의 경쟁이 불필요하게 되면서 자국 역사가들을 보호하던 방어막이 사라졌고, 1990년에 등장한 여러 논쟁들로 인해서 홀로코스트는 더욱 대중의 관심을 모으는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정치적이고 감정적인 논쟁에서 벗어나 나치 시대의 역사학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까지의 논의에 따르면 나치시대 역사학이 짐작한 것 이상으로 나치 절멸정책에 이바지했었다는 사실들이 밝혀지고 있다. 물론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만을 가지고 성급한 결론을 내릴 수 없지만, 적어도 나치시대의 학문정책은 무척 치밀하게 진행되었고, 이에 대하여 역사학자들이 굉장한 호응을 보였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전후 2세대 독일 역사가들의 활약이 돋보이는 이유는 나치의 조종에 동조했던 과거 역사가들의 행적을 샅샅이 조사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지만, 당시 역사가들이 나치에 공감했던 그 당시의 사고방식이 여전히 독일 사회에 전수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하지 않고 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은 중시성향, 학문의 필요성, 불철저한 과거청산 등 다양한 요소를 두루 살피며 나치 시대의 역사학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 하고 있다. 또한 1960년대가 도래한 이후에도 脫(탈)나치화에 대해 종용했던 독일 학문공동체 자체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3) 과거청산의 의미확대와 실질적인 보상
전후 서독 정부는 나치 정권 피해자들에게 보상을 하는 문제에 있어서만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왔다. 독일 정부는 나치 정권의 피해자에게 약84조원이라는 큰 금약을 보상금을 제공해 왔다. 독일통일은 보상에 대해 새로운 법적인 근거와 정치적인 해결에 활력을 가져다 주었다. 기업가들의 윤리적인 문제가 대두되면서 여론의 공세를 받게 된다. 이런 흐름은 정치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그 결과, 1999년 2월 독일 굴지의 보험회사, 은행 및 대기업들이 강제노동자들에 대한 보상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고, 그 재단건립을 위한 발기회의를 개최했다. 이와 동시에 독일 정부, 기국정부, 동유럽 및 유대인 희생자 그리고 경제계 대표들이 모여 이 재단건립에 관한 협상을 개시했다. 결국 독일 정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기금을 출연하였다.
4) 진실된 역사교과서 서술을 위한 노력
1978~79년부터 제 3제국 시대 유대인의 처지와 홀로코스트는 교과이수지침과 교과서 서술에서 양적으로 질적으로 더욱 고양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홀로코스트는 역사적 현상의 차원에서 일반적으로 매우 상세하고 사실적으로 정확하게 서술과 내용조직, 교육방식에 관철되기 시작했다. 암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다룰 줄 아는 지적 역량 함양에 있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가 되면서 유대인 중앙위원회와 교원노조가 설립되어 교과이수지침과 교과서의 대대적인 개편이 이루어 졌다. 독일은 우리나라처럼 교육부 지정 교과서를 따로 내고 있지는 않는다. 각 지방과 학교에 교육의 자율권을 전적으로 보장해 주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독일의 역사교과서는 히틀러 정권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교과서에 정리된 나치의 만행은 점점 더 깊이 내면화 되었다. 이는 과거의 잘못을 감추려 하지 않고 끈임 없이 되새기고자 하는 독일 주류 사회의 인식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1) 학살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폐지
독일은 학살 범죄에 대한 공소시효 폐지를 단행했다. 그 결과 국가와 가해자의 죄를 환기시켜 정의를 실현시켰고, 피해자의 고통에 응답함으로써 궁극에는 인간의 존엄성을 확대했다는 평가를 받은 만하다.
2) 역사학, 반성의 움직임
통일 이후 동독의 붕괴로 역사문제에서 동독과 서독 상의 경쟁이 불필요하게 되면서 자국 역사가들을 보호하던 방어막이 사라졌고, 1990년에 등장한 여러 논쟁들로 인해서 홀로코스트는 더욱 대중의 관심을 모으는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그리고 이제는 정치적이고 감정적인 논쟁에서 벗어나 나치 시대의 역사학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까지의 논의에 따르면 나치시대 역사학이 짐작한 것 이상으로 나치 절멸정책에 이바지했었다는 사실들이 밝혀지고 있다. 물론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만을 가지고 성급한 결론을 내릴 수 없지만, 적어도 나치시대의 학문정책은 무척 치밀하게 진행되었고, 이에 대하여 역사학자들이 굉장한 호응을 보였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전후 2세대 독일 역사가들의 활약이 돋보이는 이유는 나치의 조종에 동조했던 과거 역사가들의 행적을 샅샅이 조사하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지만, 당시 역사가들이 나치에 공감했던 그 당시의 사고방식이 여전히 독일 사회에 전수되고 있다는 것을 간과하지 않고 이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은 중시성향, 학문의 필요성, 불철저한 과거청산 등 다양한 요소를 두루 살피며 나치 시대의 역사학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를 진행 하고 있다. 또한 1960년대가 도래한 이후에도 脫(탈)나치화에 대해 종용했던 독일 학문공동체 자체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3) 과거청산의 의미확대와 실질적인 보상
전후 서독 정부는 나치 정권 피해자들에게 보상을 하는 문제에 있어서만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 왔다. 독일 정부는 나치 정권의 피해자에게 약84조원이라는 큰 금약을 보상금을 제공해 왔다. 독일통일은 보상에 대해 새로운 법적인 근거와 정치적인 해결에 활력을 가져다 주었다. 기업가들의 윤리적인 문제가 대두되면서 여론의 공세를 받게 된다. 이런 흐름은 정치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으며 그 결과, 1999년 2월 독일 굴지의 보험회사, 은행 및 대기업들이 강제노동자들에 대한 보상에 참여하기로 결정하고, 그 재단건립을 위한 발기회의를 개최했다. 이와 동시에 독일 정부, 기국정부, 동유럽 및 유대인 희생자 그리고 경제계 대표들이 모여 이 재단건립에 관한 협상을 개시했다. 결국 독일 정부와 기업이 공동으로 기금을 출연하였다.
4) 진실된 역사교과서 서술을 위한 노력
1978~79년부터 제 3제국 시대 유대인의 처지와 홀로코스트는 교과이수지침과 교과서 서술에서 양적으로 질적으로 더욱 고양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홀로코스트는 역사적 현상의 차원에서 일반적으로 매우 상세하고 사실적으로 정확하게 서술과 내용조직, 교육방식에 관철되기 시작했다. 암기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과거를 다룰 줄 아는 지적 역량 함양에 있는 것이 일반화 되었다. 그리고 1990년대가 되면서 유대인 중앙위원회와 교원노조가 설립되어 교과이수지침과 교과서의 대대적인 개편이 이루어 졌다. 독일은 우리나라처럼 교육부 지정 교과서를 따로 내고 있지는 않는다. 각 지방과 학교에 교육의 자율권을 전적으로 보장해 주고 있다. 그리고 다양한 독일의 역사교과서는 히틀러 정권에 대해 매우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교과서에 정리된 나치의 만행은 점점 더 깊이 내면화 되었다. 이는 과거의 잘못을 감추려 하지 않고 끈임 없이 되새기고자 하는 독일 주류 사회의 인식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