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간호사정도구 ◈
1). 인적사항
2) 간호 사정:
영역 1. 건강증진(Health promotion)
영역 2. 영양 (Nutrition)
영역3. 배설 (Elimination)
영역4. 활동/휴식(Activity/Rest)
영역5. 지각/인지(Perception/Cognition)
영역6. 자아인식(Self-perception)
영역7. 역할관계(Role Relationships)
영역 8. 성 (Sexuality)
영역 9. 대응/스트레스 내성(Coping/Stress Tolerance)
영역10. 생의 원리(Life Principles)
영역11. 안전/보호(Safety/Protection)
영역12. 안위(Comfort)
영역 13. 성장/발달(Growth/Development)
1). 인적사항
2) 간호 사정:
영역 1. 건강증진(Health promotion)
영역 2. 영양 (Nutrition)
영역3. 배설 (Elimination)
영역4. 활동/휴식(Activity/Rest)
영역5. 지각/인지(Perception/Cognition)
영역6. 자아인식(Self-perception)
영역7. 역할관계(Role Relationships)
영역 8. 성 (Sexuality)
영역 9. 대응/스트레스 내성(Coping/Stress Tolerance)
영역10. 생의 원리(Life Principles)
영역11. 안전/보호(Safety/Protection)
영역12. 안위(Comfort)
영역 13. 성장/발달(Growth/Development)
본문내용
보임, 망상(내용 다양, 수시로 변하며 기이)
연상 작용의 와해(자폐적 사고, 지리멸렬한 사고, 신어조작, 말 비빔)
초기 - 정서 반응이 매우 부적절하고 예측할 수 충동적, 공격적
진행 - 감정의 둔마, 무감동, 사회적 철회, 자폐적 양상, 퇴행 심해짐
긴장형
(catatonic
type)
발병> 15~25세 사이(호발), 정신적 외상 후 발병. 약물치료의 발달로 임상에서 보기 드뭄
극심한 정신운동장애를 특징으로 나타냄
증상> 긴장 증상 - 혼미(가장 흔함), 거절증, 강직증, 자동복종증, 납굴증, 상동증, 반향언어, 반향행동
조기 발견 +치료 가능
흥분 상태 - 강한 긴장 보임, 잠시도 쉬지 않고 안절부절, 난폭한 행동을 하기도 함
Severe - 잠도 안자고 자해, 고열이 동반, 식사 거부, 탈진, 사망 가능
편집형
(paranoid
type)
발병> 30대 후반, 비교적 사회에서 교육을 많이 받은 층에 호발
특징> 가장 늦게 발견
증상> 망상(가장 특징), 환각(흔함)
→ 피해망상, 관계망상, 과대망상, 그 외 신체적 망상, 우울망상, 애정망상 등
망상으로 인해> 사람을 기피하고 의심, 과도하게 긴장, 적대적, 방어적 혹은 공격적인 태도 취함
다른 유형에 비해 지능의 저하, 퇴행적 감정반응, 인격의 황폐화가 비교적 적음
미분류형
(undifferentiated
type)
: 특징적인 SPR의 증상이 있으나, 전형적 임상 유형들이 복합되어 있어 하나의 임상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
잔류형
(residual type)
SPR을 앓고 난 후에 붙여지는 진단
완쾌되어 지역사회로 돌아가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림, 남이 보아도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사고와 감정, 행동의 장애를 보임
1) 정신분열병
2) 정신분열형 장애
발병기간이 2주 이상에서 6개월 미만인 경우 정신분열형 장애로 진단, 발병기간이 2주 이내인 경우 비전형정신병(atypical psychosis)로 분류
3) 분열정동 장애
망상형 정신분열병의 증상과 심한 우울이 혼합되어 나타남
우울, 행복감에 젖은 정서적 요소에 정신분열병적 증상이 가미될 수도 있음
우울과 지연, 자살의 위험 등을 보이는 동시에 피해망상이나 관계망상 그리고 환각등의 사고장애가 나타남
예후 : 일반적으로 정신분열병에서 보다는 좋으나 조울증에서 보다는 좋지 않음
4) 망상장애 또는 편집장애
두 가지 요소
① 자아에 대한 평가 : 자신들이 월등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
②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피해의식으로 지속적으로 일주일 이상 계속되는 피해망상과 질투망상 등이 포함
5) 단기 정신병적 장애
감정적인 불안정, 기이한 옷차림이나 행동, 소리지르기나 함구, 최근 사건과 관계된 손상된 기억, 주의력 손상등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의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남(기분장애 등 상이 더 뚜렷)
6) 공유 정신병적 장애
편집성 정신병을 갖고 있는 사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자매, 부부, 모자간, 형제간 등에서 망상체계가 잘 일어나 발전되는 경우
5. 재발 관리
1단계
과대확장기
overextention
압도당하는 느낌 호소
불안 증상들은 심해지고 증상 회복을 위해 많은 에너지 사용
환자들은 과부담감, 일에 집중할 수 없거나 완결할 수 없음을 호소, 문장 도중에 낱말을 잊어버리는 경향 있음
2단계
제한적 의식기
restricted consciousness
이전의 불안 증상들이 우울 증상들과 결합함
따분하고 무감각하고 강박관념에 사로잡히고 공포증적으로 보이는 차원들이 더해진 신체화 증상이 일어날 수 있음
환자는 일상적인 일들로부터 회피하는 것처럼 보이고, 다가오는 조절 상실에 대비하여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외부자극을 제한하는 것처럼 보임
3단계
정신병적
특성의 출혈기
disinhibition
경조증 환자와 유사한 증상을 보임
환자가 더 이상 조절할 수 없는 환각와 망상의 출혈을 포함
이전의 성공적이었던 방어 기제들이 효과가 없어지는 경향이 생김
4단계
정신병적
붕괴기
psychotic
disorganization
환각와 망상이 강화됨, 궁극적인 통제력 상실
세가지 두드러진 국면들로 특징지어짐
¤ 외부세계의 붕괴기 (destructuring of the external world):
* 더 이상 가족 환경이나 사람들을 알아보지 못하고, 가족 구성원 을 사기꾼이라고 비난.
* 극심한 흥분이 일어날 수 있음
¤ 자기 붕괴기 (destructuring of the self):
* 개인적인 정체성을 상시하고 자신을 제삼자로 언급
¤ 완전한 불열기 (total fragmentation):
* 정신병과 현실을 구별할 능력이 완전히 상실한 상태
(심한 정신병으로 불림)
* 완전한 통제력 상실을 경험, 대개 이 시점에 입원이 요구.
* 완전 분열이 발생 할 때 : 환자와 가족 둘 다에게 극단적이고 파괴적이고 당혹스럽게 함
5단계
정신병의
해소기
병원에서 일어남
일반적으로 약물치료를 받고 여전히 정신병 경험
but, 증상들은 매우 적게 나타남
1) 재발 단계
2) 재발 관리
재발 경고 증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재발이전의 전구 증상기(증상의 시작과 치료를 필요로 하는 기간) 확인
간호사 : MM-SMAT를 이용해 환자로 하여금 증상, 일상생활에 대한 어려움, 의약품의 문제, 증상관리의 방법들에 대해서 스스로 보고 할 수 있도록 도와줌
불안과 우울증 : 정신분열병 환자의 좋지 않는 건강상태를 일으키기 요인
효율적인 증상관리 기법
① 문제 증상들을 확인한다.
② 현재의 증상 관리 기법들을 확인한다.
③ 특정지지 체계를 확인한다.
④ 부가적인 증상관리 기법들을 토론한다.
⑤ 비생산적인 증상 관리를 제거한다.
⑥ 새로운 증상 관리 계획을 개발한다.
3) 재발과 투약
재발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약물
간호사 : 환자가 약물 먹든 먹지 안 먹든, 그 환자가 좋지 않은 건강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약물 복용을 꾸준히 한 사람에게도 재발이 일어날 수 있는 것 숙지함.
환자가 알코올이나 다른 마약을 사용한다면 약물치료의 성공여부를 예측하는 것 불가능
퇴원 후에도 계속적인 약물 교육 필요
연상 작용의 와해(자폐적 사고, 지리멸렬한 사고, 신어조작, 말 비빔)
초기 - 정서 반응이 매우 부적절하고 예측할 수 충동적, 공격적
진행 - 감정의 둔마, 무감동, 사회적 철회, 자폐적 양상, 퇴행 심해짐
긴장형
(catatonic
type)
발병> 15~25세 사이(호발), 정신적 외상 후 발병. 약물치료의 발달로 임상에서 보기 드뭄
극심한 정신운동장애를 특징으로 나타냄
증상> 긴장 증상 - 혼미(가장 흔함), 거절증, 강직증, 자동복종증, 납굴증, 상동증, 반향언어, 반향행동
조기 발견 +치료 가능
흥분 상태 - 강한 긴장 보임, 잠시도 쉬지 않고 안절부절, 난폭한 행동을 하기도 함
Severe - 잠도 안자고 자해, 고열이 동반, 식사 거부, 탈진, 사망 가능
편집형
(paranoid
type)
발병> 30대 후반, 비교적 사회에서 교육을 많이 받은 층에 호발
특징> 가장 늦게 발견
증상> 망상(가장 특징), 환각(흔함)
→ 피해망상, 관계망상, 과대망상, 그 외 신체적 망상, 우울망상, 애정망상 등
망상으로 인해> 사람을 기피하고 의심, 과도하게 긴장, 적대적, 방어적 혹은 공격적인 태도 취함
다른 유형에 비해 지능의 저하, 퇴행적 감정반응, 인격의 황폐화가 비교적 적음
미분류형
(undifferentiated
type)
: 특징적인 SPR의 증상이 있으나, 전형적 임상 유형들이 복합되어 있어 하나의 임상유형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경우
잔류형
(residual type)
SPR을 앓고 난 후에 붙여지는 진단
완쾌되어 지역사회로 돌아가 다른 사람들과 잘 어울림, 남이 보아도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사고와 감정, 행동의 장애를 보임
1) 정신분열병
2) 정신분열형 장애
발병기간이 2주 이상에서 6개월 미만인 경우 정신분열형 장애로 진단, 발병기간이 2주 이내인 경우 비전형정신병(atypical psychosis)로 분류
3) 분열정동 장애
망상형 정신분열병의 증상과 심한 우울이 혼합되어 나타남
우울, 행복감에 젖은 정서적 요소에 정신분열병적 증상이 가미될 수도 있음
우울과 지연, 자살의 위험 등을 보이는 동시에 피해망상이나 관계망상 그리고 환각등의 사고장애가 나타남
예후 : 일반적으로 정신분열병에서 보다는 좋으나 조울증에서 보다는 좋지 않음
4) 망상장애 또는 편집장애
두 가지 요소
① 자아에 대한 평가 : 자신들이 월등한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
② 비합리적이고 비현실적인 피해의식으로 지속적으로 일주일 이상 계속되는 피해망상과 질투망상 등이 포함
5) 단기 정신병적 장애
감정적인 불안정, 기이한 옷차림이나 행동, 소리지르기나 함구, 최근 사건과 관계된 손상된 기억, 주의력 손상등 정신분열병과 기분장애의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남(기분장애 등 상이 더 뚜렷)
6) 공유 정신병적 장애
편집성 정신병을 갖고 있는 사람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자매, 부부, 모자간, 형제간 등에서 망상체계가 잘 일어나 발전되는 경우
5. 재발 관리
1단계
과대확장기
overextention
압도당하는 느낌 호소
불안 증상들은 심해지고 증상 회복을 위해 많은 에너지 사용
환자들은 과부담감, 일에 집중할 수 없거나 완결할 수 없음을 호소, 문장 도중에 낱말을 잊어버리는 경향 있음
2단계
제한적 의식기
restricted consciousness
이전의 불안 증상들이 우울 증상들과 결합함
따분하고 무감각하고 강박관념에 사로잡히고 공포증적으로 보이는 차원들이 더해진 신체화 증상이 일어날 수 있음
환자는 일상적인 일들로부터 회피하는 것처럼 보이고, 다가오는 조절 상실에 대비하여 보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외부자극을 제한하는 것처럼 보임
3단계
정신병적
특성의 출혈기
disinhibition
경조증 환자와 유사한 증상을 보임
환자가 더 이상 조절할 수 없는 환각와 망상의 출혈을 포함
이전의 성공적이었던 방어 기제들이 효과가 없어지는 경향이 생김
4단계
정신병적
붕괴기
psychotic
disorganization
환각와 망상이 강화됨, 궁극적인 통제력 상실
세가지 두드러진 국면들로 특징지어짐
¤ 외부세계의 붕괴기 (destructuring of the external world):
* 더 이상 가족 환경이나 사람들을 알아보지 못하고, 가족 구성원 을 사기꾼이라고 비난.
* 극심한 흥분이 일어날 수 있음
¤ 자기 붕괴기 (destructuring of the self):
* 개인적인 정체성을 상시하고 자신을 제삼자로 언급
¤ 완전한 불열기 (total fragmentation):
* 정신병과 현실을 구별할 능력이 완전히 상실한 상태
(심한 정신병으로 불림)
* 완전한 통제력 상실을 경험, 대개 이 시점에 입원이 요구.
* 완전 분열이 발생 할 때 : 환자와 가족 둘 다에게 극단적이고 파괴적이고 당혹스럽게 함
5단계
정신병의
해소기
병원에서 일어남
일반적으로 약물치료를 받고 여전히 정신병 경험
but, 증상들은 매우 적게 나타남
1) 재발 단계
2) 재발 관리
재발 경고 증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재발이전의 전구 증상기(증상의 시작과 치료를 필요로 하는 기간) 확인
간호사 : MM-SMAT를 이용해 환자로 하여금 증상, 일상생활에 대한 어려움, 의약품의 문제, 증상관리의 방법들에 대해서 스스로 보고 할 수 있도록 도와줌
불안과 우울증 : 정신분열병 환자의 좋지 않는 건강상태를 일으키기 요인
효율적인 증상관리 기법
① 문제 증상들을 확인한다.
② 현재의 증상 관리 기법들을 확인한다.
③ 특정지지 체계를 확인한다.
④ 부가적인 증상관리 기법들을 토론한다.
⑤ 비생산적인 증상 관리를 제거한다.
⑥ 새로운 증상 관리 계획을 개발한다.
3) 재발과 투약
재발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약물
간호사 : 환자가 약물 먹든 먹지 안 먹든, 그 환자가 좋지 않은 건강습관을 가지고 있다면 약물 복용을 꾸준히 한 사람에게도 재발이 일어날 수 있는 것 숙지함.
환자가 알코올이나 다른 마약을 사용한다면 약물치료의 성공여부를 예측하는 것 불가능
퇴원 후에도 계속적인 약물 교육 필요
추천자료
(정신 간호학) 정신간호학 총론
[정신간호학 실습] Roll playing 정신 롤플레이 - 정신과 실습 역할극 시나리오
[정신간호학][품행장애][Conduct disorder]케이스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치료프로그램][psychodrama][심리극] 진행과정,치료방법
[정신간호학][면담기록지][과정기록표]면담일지
[정신간호학] 정신건강증진센터 프로그램 계획서 - 꽃차로 마음을 다스리다 (동구 정신건강증...
A+ 정신간호학 케이스 ◆ ADHD 케이스 스터디 자료◆
정신케이스,ADHD케이스, 품행장애, 정신간호학케이스, 간호과정, 간호계획, 간호진단, 비효율...
정신간호학 실습 case study 조현병(schizophrenia. 정신분열증), 간호진단 3개(자신의 무가...
[정신간호학] 신체형장애 _ somatoform disorder
[정신간호학]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
정신간호학) 해리장애 dissociative disorder
정신건강간호학) 정신건강 간호학의 기본개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