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계통 고조파 이론 및 대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력계통 고조파 이론 및 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조파의 정의
2. 고조파 발생원인
3. 고조파의 영향
4. 고조파 저감대책

본문내용

선간전압의 평형화
반도체 정류기에 공급전원이 불평형시 특히 제3고조파 발생이 크므로 각상의 부하의 밸런스 를 유지할 것.
(4) 계통절체
고조파의 원인과 발생을 정확히 알 수 있을 때 고압배전계통 수용가 공급분의 계통절체 또는 변전소 뱅크의 변경으로 선로정수를 변경하여 공진상태 회피시킴.
2) 수용가측의 대책
(1) 필터의 설치
○ 교류필터
- 콘덴서와 리액터로 고조파전류를 흡수하는 장치
- 구성이 간단하고,취급 및 보수가 용이한 설비
- 특정주파수에는 큰효과가 있는 반면 분로를 만들지 않는 주파수의 개선효과는 낮고, 역률 개선효과가 있다.
- 경제적이다
○ 액티브필터
- 인버터기술을 응용해서 부하와 역위상의 고조파를 발생시켜 구 고조파를 제거하는 장치.
- 변동하는 고조파에 대응할수 있고, 전압변동,전압플리커의 저감에도 효과적이다.
- 모든 조파에 대해 효과가 있지만 비교적 고차 조파의 개선효과는 낮다.
○ 하이브리드파워필터
- 교류필터와 액티브필터 각각의 특성 모두 가진 장치
- 교류필터가 흡수하는 고조파전류를 인버터로 제어하기 때문에 높은 필터 효과 얻음.
- 설치비 교류필터와 액티브필터 중간정도.
(2) 변환장치의 다(多)펄스화
(3) 기기 자체의 고조파 내량 증가
○ 통신선의 케이블화 하고 외장도체의 접지를 철저히 한다.
○ 장애발생건수가 많은 리액터의 경우 리액터 전류용량 증가 또는 리액터용량 변경(6%에서 8%), 공진주파수를 늦춘다.
(4) PWM 방식 채용
GTO나 파워트랜지스터등 소자를 사용하여 컨버터나 인버터의 입출력 파형을 다수의 펄스로 변환하여 사용.
(5) 변압기의 델타결선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2.20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