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혈액검사
ⅱ.생화학검사
ⅲ.전해질검사
ⅳ.소변검사
ⅱ.생화학검사
ⅲ.전해질검사
ⅳ.소변검사
본문내용
암, 콜레스테롤 섭취저하, 영양부족, 공복, 에스트로겐 과잉, 갑상선 호르몬 과잉, 고열, 심한 운동
ⅲ.전해질검사
1. Na
▶ 정상범위: 135~146mmol/L
증가: 수분 결핍, 염분 과잉, 신질환,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cushing 증후군
감소: 구토, 만성 신부전증, 당뇨병성 산독증, Addison 병, 탈수, 전해질 상실(심한 발한, 설사, 화상, 비위장관 삽입), 만성 신부전증, 만성 사구체신염, 간경화증, 수분 과잉
2. K
▶ 정상범위: 3.5~5.5mmol/L
증가: 뇨독증, 부신부전증, 신장염, 염분 과잉, 화상, 저알도스테론증, 칼륨배설저하
감소: 대사성 알칼리증, cushing 증후군,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3. Cl
▶ 정상범위: 98~110mmol/L
증가: 탈수증, 만성 신장염, 염분 과잉, 화상시
감소: Addison 병, 구토, 과식, 신우신염 등
ⅳ.소변검사
1. Urine protein
▶ 정상범위: negative
증가: 신장질환, 외상, 중증빈혈, 복부종양, 갑상선 기능항진, 심장병, 장협착
2. Urine glucose
▶ 정상범위: negative 증가: 당뇨병, 송과선 장애, 혈압상승
3. Urine Ketone
▶ 정상범위: negative
증가: 수술 전, 임신, 당뇨병, 산증
4. Urine Bilirubin
▶ 정상범위: negative
증가: 간염, 간기능 저하, 간세포질환
5. Urine urobilinogen
▶ 정상범위: 0.2~1 unit/dl
증가: cirrhosis, 용혈성 질환, 담관질환
감소: 설사, 신장기능장애
ⅲ.전해질검사
1. Na
▶ 정상범위: 135~146mmol/L
증가: 수분 결핍, 염분 과잉, 신질환,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cushing 증후군
감소: 구토, 만성 신부전증, 당뇨병성 산독증, Addison 병, 탈수, 전해질 상실(심한 발한, 설사, 화상, 비위장관 삽입), 만성 신부전증, 만성 사구체신염, 간경화증, 수분 과잉
2. K
▶ 정상범위: 3.5~5.5mmol/L
증가: 뇨독증, 부신부전증, 신장염, 염분 과잉, 화상, 저알도스테론증, 칼륨배설저하
감소: 대사성 알칼리증, cushing 증후군, 원발성 알도스테론증
3. Cl
▶ 정상범위: 98~110mmol/L
증가: 탈수증, 만성 신장염, 염분 과잉, 화상시
감소: Addison 병, 구토, 과식, 신우신염 등
ⅳ.소변검사
1. Urine protein
▶ 정상범위: negative
증가: 신장질환, 외상, 중증빈혈, 복부종양, 갑상선 기능항진, 심장병, 장협착
2. Urine glucose
▶ 정상범위: negative 증가: 당뇨병, 송과선 장애, 혈압상승
3. Urine Ketone
▶ 정상범위: negative
증가: 수술 전, 임신, 당뇨병, 산증
4. Urine Bilirubin
▶ 정상범위: negative
증가: 간염, 간기능 저하, 간세포질환
5. Urine urobilinogen
▶ 정상범위: 0.2~1 unit/dl
증가: cirrhosis, 용혈성 질환, 담관질환
감소: 설사, 신장기능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