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카트로닉스]임피던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카트로닉스]임피던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복소수 [複素數, complex number]
2) 주파수 [周波數, frequency] : 진동수
3) 자기유도 [磁氣誘導, magnetic induction]: 자기인덕턴스
4)전기용량 [電氣容量, electric capacity] ー 커패시턴스
5) 콘덴서 [condenser] : 축전기
6) 리액턴스 [reactance]

본문내용

있다. 대전력에 사용할 때는 외관쪽을 접지쪽으로 해서 사용하는 편이 좋다
② 공기 콘덴서(air condenser):유전체로서 공기 자체를 사용하는 콘덴서. 밀봉하여 건조공기를 충전한 것은 경년변화(經年變化)가 적으므로 표준용으로 사용된다. 또 휴대용 이외의 라디오 수신기의 바리콘(가변콘덴서)에는 가변용량형 공기 콘덴서가 사용된다. 얇은 판으로 된 금속극판이 공기 속의 음향으로 진동하여 용량값이 변동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보통 극판을 상호 결합해서 기계적 강도를 크게 하고 있다
③ 금속화종이 콘덴서:파라핀 등을 함침(含浸)시킨 얇은 종이의 한쪽 면에 아연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높은 진공 속에서 증발시켜 부착시킨 것(진공증착이라고 한다) 2장을 포개서 감은 콘덴서. MP콘덴서라고도 한다. 이와 같은 종이를 금속화 종이라고 하며, 이 얇은 금속막이 전극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2장을 포갰을 경우, 각 금속막이 대전극(對電極)이 되고, 그 사이에 1장의 종이가 절연물로서 끼워진 콘덴서가 된다. 특징은 전극이 대단히 얇기 때문에 종이의 작은 구멍에서 절연파괴가 일어나도, 그 주위의 금속막이 파괴할 때 전류 때문에 소실되어 절연이 회복된다는 것[自己回復作用], 종이가 1장으로 전극이 얇기 때문에 소형이 된다는 것 등이다.
(6)
6) 리액턴스 [reactance]
- 회로요소(回路要素)가 가지는 전기적 특성의 하나.
- reactance 교류회로에서 교류(사인파)전류가 흐르기 어려움을 나타내는 양.
- 콘덴서나 코일은 이러한 성질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것이다. 전압에 대해서 전류의 위상이 뒤지는 것을 양(陽) 또는 유도성(誘導性) 리액턴스, 앞서는 것을 음(陰) 또는 용량성(容量性) 리액턴스라고 한다. 리액턴스에서는, 전력은 전기장 또는 자기장의 에너지로 축적 ·방출되어 저항에서와는 달리 손실이 생기지 않으므로 무효전력(無效電力)이라고 한다.
-회로를 흐르는 사인파(sine 波) 교류에 대하여 그 전압과 전류 사이에 진폭 변화와 함께 위상차를 생기게 하는 작용을 말한다. 일반적으로는 복소수(複素數)로 나타낸 교류저항(임피던스)의 허수부(虛數部)라고 정의된다.
- 임피던스의 허수부(虛數部)는 교류회로에서 전류의 흐름을 막는 요소는 저항·인덕턴스·커패시턴스이다. 이 중 저항을 흐르는 전류는 저항의 양끝의 전압과 위상이 같지만 인덕턴스를 흐르는 전류는 인덕턴스의 양끝의 전압에 대한 위상이 90˚ 늦고, 커패시턴스를 흐르는 전류는 커패시턴스의 양끝의 전압에 대한 위상이 90˚ 앞선다. 인덕턴스에 의한 리액턴스를 유도성 리액턴스, 커패시턴스에 의한 리액턴스를 용량성 리액턴스라 한다. 교류회로의 리액턴스는 회로의 자기인덕턴스·상호인덕턴스·커패시턴스·주파수에 의해 값이 정해진다.
(1) 유도성 리액턴스 [ 誘導性-, inductive reactance ]
-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자체유도에 의해 코일에는 일종의 저항이 생기는데 이것을 교류 회로에서 코일에 의한 유도 리액턴스라고 합니다.
- 임피던스를 복소수
의 형식으로 표시할 때의 X. R는 저항이다.
용량을 C, 주파수를 f라 하면 유도성 리액턴스는
(7)
(2) 용량성 리액턴스 [ 容量性-, capacitive reactance ]
- 교류회로에서 축전기의 전륭에 대한 방해 효과
- 교류 회로에서 임피던스 허수분 중 용량성을 포함한 부분.
- 임피던스를 복소수
Z=R+jX
의 형으로 나타낼 때 X가 음(陰)이면 Z는 용량성이라 말하고, X를 용량성 리액턴스라고 한다. 즉 정전 용량에 기인한 교류 회로의 리액턴스로서 단위는 옴이다.
용량을 C, 주파수를 f라 하면 용량성 리액턴스는
이다.
(8)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2.28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8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