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교과서에 나타난‘민족주의’의 신화를 넘어서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사 교과서에 나타난‘민족주의’의 신화를 넘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사 교과서에 나타난‘민족주의’의 신화를 넘어서

Ⅰ 서론

Ⅱ ‘위대한 반만년 역사와 단일민족’이라는 신화
1. 민족은 근대에 등장한 개념
2. 신화를 역사로 탈바꿈 - 반만년 역사의 근거는 허구인가

Ⅲ 결론

※ 참고 자료

본문내용

교과서도 곤란하다. 자랑스러운 부분과 함께 부끄러운 역사에 대한 반성도 분명하게 수록해서 미래세대에게 전달해야 한다.
여러 나라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온 역사를 객관적 , 상대적 안목으로 이해하도록 역사교과서가 가르쳐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세계화, 국제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 참고 자료
베네딕트 앤더슨,『상상의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 2002.
임지현,「한국사학계의 ‘민족’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소나무, 1999.
박지향,「이영훈 - 왜 다시 해방 전후사 인가」,『해방 전후사의 재인식1』, 책세상. 2006.
김병훈, 『역사를 왜곡하는 한국인』, 반디, 2006.
임지현ㆍ이성시,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 가격1,5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9.02.28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