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사 교과서에 나타난‘민족주의’의 신화를 넘어서
Ⅰ 서론
Ⅱ ‘위대한 반만년 역사와 단일민족’이라는 신화
1. 민족은 근대에 등장한 개념
2. 신화를 역사로 탈바꿈 - 반만년 역사의 근거는 허구인가
Ⅲ 결론
※ 참고 자료
Ⅰ 서론
Ⅱ ‘위대한 반만년 역사와 단일민족’이라는 신화
1. 민족은 근대에 등장한 개념
2. 신화를 역사로 탈바꿈 - 반만년 역사의 근거는 허구인가
Ⅲ 결론
※ 참고 자료
본문내용
교과서도 곤란하다. 자랑스러운 부분과 함께 부끄러운 역사에 대한 반성도 분명하게 수록해서 미래세대에게 전달해야 한다.
여러 나라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온 역사를 객관적 , 상대적 안목으로 이해하도록 역사교과서가 가르쳐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세계화, 국제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 참고 자료
베네딕트 앤더슨,『상상의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 2002.
임지현,「한국사학계의 ‘민족’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소나무, 1999.
박지향,「이영훈 - 왜 다시 해방 전후사 인가」,『해방 전후사의 재인식1』, 책세상. 2006.
김병훈, 『역사를 왜곡하는 한국인』, 반디, 2006.
임지현ㆍ이성시,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여러 나라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해온 역사를 객관적 , 상대적 안목으로 이해하도록 역사교과서가 가르쳐야 한다. 그래야 진정한 세계화, 국제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 참고 자료
베네딕트 앤더슨,『상상의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 나남, 2002.
임지현,「한국사학계의 ‘민족’이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소나무, 1999.
박지향,「이영훈 - 왜 다시 해방 전후사 인가」,『해방 전후사의 재인식1』, 책세상. 2006.
김병훈, 『역사를 왜곡하는 한국인』, 반디, 2006.
임지현ㆍ이성시,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추천자료
2001학년도 현장 체험학습
동화에 나타난 `학교` 이야기
이혜경의 『길 위의 집』에 대한 페미니즘적 읽기
프랑스 영화 감상문-8명의 여인들 분석
놀이의 유형,놀이문화,역할,기능,아동의 성역할 발달연구
광종의 제국 서평
제6차 유치원 교육과정 정리
국어과 7차 교육과정과 7차 개정 교육과정 해설 및 비교분석(10학년 문학)
드라마 커피프린스1호점 스토리텔링 전략 분석
과정신학에서 본 이야기 방법을 통한 가르침
[환경보건윤리및정책C형]사회 생태주의 윤리의 특성과 한계에 대해 논술
한국어교육의 특징, 한국어교육의 정체성, 한국어교육의 목표, 한국어교육의 교재구성, 한국...
다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의 문화적 함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