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주제선정
2.흑인음악과 백인음악의 비교
◆ 백인음악 - 컨트리 음악이란?
◆ 컨트리 음악의 정착 과정
◆ 흑인음악 - 블루스의 탄생과정
◆ 흑인음악의 경향
3.흑인의 역사와 흑인음악
4.흑인음악의 종류
1)가스펠
2) 랩
3)재즈
5.흑인의 문화적 코드와 우리나라 음악적 코드의 유사점
◆흑인의 문화적 코드?
◆우리나라 음악적 코드와 관련하여
6. 맺음말
참고 문헌
2.흑인음악과 백인음악의 비교
◆ 백인음악 - 컨트리 음악이란?
◆ 컨트리 음악의 정착 과정
◆ 흑인음악 - 블루스의 탄생과정
◆ 흑인음악의 경향
3.흑인의 역사와 흑인음악
4.흑인음악의 종류
1)가스펠
2) 랩
3)재즈
5.흑인의 문화적 코드와 우리나라 음악적 코드의 유사점
◆흑인의 문화적 코드?
◆우리나라 음악적 코드와 관련하여
6. 맺음말
참고 문헌
본문내용
지 않았다. 재즈와 록이 참으로 융화되어(Fusion) 예술적인 형태를 띠면서 재즈의 발전에 기여하게 된 것은 60년대 말부터이다. 1970년대 초에 재즈의 대가인 마일즈 데이비스가 록과 전자악기에 관심을 두어 <비취스 브루(Bitches Brew)>란 음반을 내놓음으로써 본격적인 록재즈의 시대로 돌입하게 되었다. 혁신적인 점은 전자악기를 일반 재즈악기와 함께 섞거나 전체를 전자악기(전기 기타, 전기 콘트라 베이스, 전자 피아노, 신디 사이저등)로 대체하고 연주하여 음향을 더욱 강하게 확대 시킨면과 예술적인 즉흥성을 강조한 점이다.
5.흑인의 문화적 코드와 우리나라 음악적 코드의 유사점
◆흑인의 문화적 코드?
흑인들의 다양한 음악 장르에 있어서 하나로 결론이 지어지는 문화적 코드가 존재한다. 흑인의 음악이 파생된 것은 흑인들이 처음 미국에 노예생활을 하면서 부른 노동요에서부터 출발이 된다. 그들이 부르는 노래, 노동요 정서의 출발점은 ‘恨(한)’이다. 한의 사전적 정의는 몹시 원망스럽고 억울하거나 안타깝고 슬퍼 응어리진 마음이다. 흑인이 미국에 처음 발을 들이게 되는 계기가 노예로서라는 사실만으로 그들의 험난했던 삶과 가지고 있었을 한에 대해 알게 해준다. 백인들은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흑인들의 노래를 권장했고 흑인들 역시 그들의 삶의 애환, 고통, 어려움을 표출하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으므로 흑인들은 노래가 삶의 일부분이 되기 시작했다. 노예로서 물건 취급을 받는 흑인들은 육체적 정신적인 학대를 받았고 그 속에서 노래하는 것으로 위로를 받고 그들의 기쁨과 슬픔의 표출이 음악이 되기 시작했다. 그들의 음악은 별다른 반주나 악기 없이 즉흥적인 가사에 멜로디를 붙이는 전통 아프리카에서부터 유래된 방식이었고 마치 구전동요처럼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이 되었다. 흑인은 한스러운 사람을 살았다. 강압적으로 자신들의 고향으로부터 이주되어 타국에서 물건처럼 취급되어 팔렸고 학대를 받으며 강제적으로 일을 해야만 했다. 확실한 주종관계가 백인과 흑인 사이에 성립이 되었고 그들의 신분 상승을 꿈꿀 수도 없었다. 그들의 화는 그들이처럼 상황의 도피할 수가 없었고 자유로 향한 유일한 방법이 죽음 밖에 없었으므로 흑인의 삶은 한이 가득할 수 밖에 없었다.
현대 사회에는 더 이상 노예제도를 도용하고 있지 않기에 상황이 다르지만 꼭 다르다고 할 수도 없다. 노예제도는 폐지 된지 오래 됐을지 언정 현존하는 흑인에 대한 차별과 백인 우월주의는 끝이 없어보인다. 마치 우월 인종을 가리듯이 타인종을 비방하는 용어들을 많이 쓰고 미국 사회에서 여전히 흑인들은 억압 당하고 편견으로 가려져 있다. 여전히 할렘가하면 방황하고 돈없는 흑인을 떠올리기 마련이고 그들에 대한 선입견은 사라지지 않아 많은 흑인들은 그 선입견에 고통을 받는다. 그들의 정서에는 원한과 한탄, 한이 많을 수 밖에 없다. 최근의 힙합 음악과 랩등 노래 가사에서 볼 수 있는 욕과 사회비방 그리고 자기한탄은 이러한 마음 표출의 일부분으로서 직설적인 고발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음악적 코드와 관련하여
우리는 교육을 통해 우리나라의 정서는 恨(한)이라고 배웠다. 국어 시간에도 고전 시, 고전 민요을 보면 한과 관련된 많은 작품들을 볼 수 있다. 심지어 우리나라를 ‘한’의 민족이라고 불리고 한의 역사라고 한다. 본격적으로 한의 등장은 일제강점기부터 이다. 일부는 신명나고 쾌활한 민족성을 일제강점기로 인하여 일본인들로부터 꼬리표로 달아진 이름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많다. 韓(한), 漢(한), 恨(한)으로 우리 민족성을 왜곡시켰다고 한다. 일제기때 우리민족은 억압되어 있었고 그런 면에서는 마치 노예생활이나 비슷했던 우리민족으로 강압적으로 북미로 이주된 흑인들의 정서는 응어리진 마음, 곧 한이었다. 핍박 당하며 저항하는 삶속에서 정서적으로 뿌리깊이 자리 잡히게 되었다.
예술은 마음의 표현이라고 한다. 한스러운 마음과 정서였다고 그 마음을 반영하는 것이 곧 예술이다. 그 당시 그 정서를 반영하는 여러 문학 작품과 시조들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이민족의 침략을 많이 받았고 수탈당해온 아픔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또 신분적 제약으로 겪은 괴로움, 먹을 것이 풍족한 환경이 아니어서 굶주렸던 가난한 삶의 서러움, 등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흑인 사회에서는 노동요를 권장하여 대부분 아프리카에서의 고유 즉흥성과 리듬감인 노래로서 그 한을 많이 표현했다면 우리나라는 강점기에 음악을 금했으며 일본풍의 가요를 강요하였기에 음악보다는 문학적으로 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나라를 빼앗긴 마음, 자유를 갈망하는 마음 등 나타내고 있으며 한탄과 소극적인 저항이었다. 유명한 시인으로는 윤동주, 이육사, 신동엽, 한용운이 저항시인으로서 문학 작품을 남겼고 강점기에 대한 반감을 표출했다. 아픈 역사와 관련하여 민족의 정서가 된 ‘한’. 흑인과 우리 민족의 공통된 아픔과 과거가 묻어있다. 현실이 반영이 된 예술, 문학 그리고 음악. 현재가 과거를 알 수 있게 많은 작품들이 남아 그 당시의 아픔을 떠오르게 한다. 한편 이 아픔이 흑인에게의 음악의 예술성의 깊이를 가지게 했고 우리나라는 문학의 새로운 획을 긋게 되었다. 탄압과 억압이 매우 긍정적인 시각에서는 새로운 예술성을 창출하게 되는 방법이 되었다.
6. 맺음말
이번 조사를 하면서 느낀것은 음악은 그시대 사람의 모습을 알수 있다는 것이었다. 흑인 음악 속에는 그들의 불행한 역사가 숨어져있고 나아가 그들의 음악은 그들 삶자체를 표현 한다. 그들의 음악도 그들의 역사와 마찬가지도 역경을 딛고 발전해 왔다. 그래서 결국 지금은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고 주류하고 할 수있다. 그런 흑인음악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살펴 보았고 음악장르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흑인 음악속에는 우리음악과 같은 한’이라는 정서가 들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 문헌
대중화 시대의 음악 - 이장직
CCM칼럼니스트 - 추연중 (블랙가스펠에 대한 서가)
http://cafe.naver.com/gaury.cafe
http://blog.naver.com/loneflower
http://cafe.naver.com/panzer31
5.흑인의 문화적 코드와 우리나라 음악적 코드의 유사점
◆흑인의 문화적 코드?
흑인들의 다양한 음악 장르에 있어서 하나로 결론이 지어지는 문화적 코드가 존재한다. 흑인의 음악이 파생된 것은 흑인들이 처음 미국에 노예생활을 하면서 부른 노동요에서부터 출발이 된다. 그들이 부르는 노래, 노동요 정서의 출발점은 ‘恨(한)’이다. 한의 사전적 정의는 몹시 원망스럽고 억울하거나 안타깝고 슬퍼 응어리진 마음이다. 흑인이 미국에 처음 발을 들이게 되는 계기가 노예로서라는 사실만으로 그들의 험난했던 삶과 가지고 있었을 한에 대해 알게 해준다. 백인들은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흑인들의 노래를 권장했고 흑인들 역시 그들의 삶의 애환, 고통, 어려움을 표출하는 별다른 방법이 없었으므로 흑인들은 노래가 삶의 일부분이 되기 시작했다. 노예로서 물건 취급을 받는 흑인들은 육체적 정신적인 학대를 받았고 그 속에서 노래하는 것으로 위로를 받고 그들의 기쁨과 슬픔의 표출이 음악이 되기 시작했다. 그들의 음악은 별다른 반주나 악기 없이 즉흥적인 가사에 멜로디를 붙이는 전통 아프리카에서부터 유래된 방식이었고 마치 구전동요처럼 자신을 표현하는 방식이 되었다. 흑인은 한스러운 사람을 살았다. 강압적으로 자신들의 고향으로부터 이주되어 타국에서 물건처럼 취급되어 팔렸고 학대를 받으며 강제적으로 일을 해야만 했다. 확실한 주종관계가 백인과 흑인 사이에 성립이 되었고 그들의 신분 상승을 꿈꿀 수도 없었다. 그들의 화는 그들이처럼 상황의 도피할 수가 없었고 자유로 향한 유일한 방법이 죽음 밖에 없었으므로 흑인의 삶은 한이 가득할 수 밖에 없었다.
현대 사회에는 더 이상 노예제도를 도용하고 있지 않기에 상황이 다르지만 꼭 다르다고 할 수도 없다. 노예제도는 폐지 된지 오래 됐을지 언정 현존하는 흑인에 대한 차별과 백인 우월주의는 끝이 없어보인다. 마치 우월 인종을 가리듯이 타인종을 비방하는 용어들을 많이 쓰고 미국 사회에서 여전히 흑인들은 억압 당하고 편견으로 가려져 있다. 여전히 할렘가하면 방황하고 돈없는 흑인을 떠올리기 마련이고 그들에 대한 선입견은 사라지지 않아 많은 흑인들은 그 선입견에 고통을 받는다. 그들의 정서에는 원한과 한탄, 한이 많을 수 밖에 없다. 최근의 힙합 음악과 랩등 노래 가사에서 볼 수 있는 욕과 사회비방 그리고 자기한탄은 이러한 마음 표출의 일부분으로서 직설적인 고발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음악적 코드와 관련하여
우리는 교육을 통해 우리나라의 정서는 恨(한)이라고 배웠다. 국어 시간에도 고전 시, 고전 민요을 보면 한과 관련된 많은 작품들을 볼 수 있다. 심지어 우리나라를 ‘한’의 민족이라고 불리고 한의 역사라고 한다. 본격적으로 한의 등장은 일제강점기부터 이다. 일부는 신명나고 쾌활한 민족성을 일제강점기로 인하여 일본인들로부터 꼬리표로 달아진 이름이라고 하는 사람들도 많다. 韓(한), 漢(한), 恨(한)으로 우리 민족성을 왜곡시켰다고 한다. 일제기때 우리민족은 억압되어 있었고 그런 면에서는 마치 노예생활이나 비슷했던 우리민족으로 강압적으로 북미로 이주된 흑인들의 정서는 응어리진 마음, 곧 한이었다. 핍박 당하며 저항하는 삶속에서 정서적으로 뿌리깊이 자리 잡히게 되었다.
예술은 마음의 표현이라고 한다. 한스러운 마음과 정서였다고 그 마음을 반영하는 것이 곧 예술이다. 그 당시 그 정서를 반영하는 여러 문학 작품과 시조들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역사적으로 이민족의 침략을 많이 받았고 수탈당해온 아픔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또 신분적 제약으로 겪은 괴로움, 먹을 것이 풍족한 환경이 아니어서 굶주렸던 가난한 삶의 서러움, 등의 이유가 있을 것이다. 흑인 사회에서는 노동요를 권장하여 대부분 아프리카에서의 고유 즉흥성과 리듬감인 노래로서 그 한을 많이 표현했다면 우리나라는 강점기에 음악을 금했으며 일본풍의 가요를 강요하였기에 음악보다는 문학적으로 시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나라를 빼앗긴 마음, 자유를 갈망하는 마음 등 나타내고 있으며 한탄과 소극적인 저항이었다. 유명한 시인으로는 윤동주, 이육사, 신동엽, 한용운이 저항시인으로서 문학 작품을 남겼고 강점기에 대한 반감을 표출했다. 아픈 역사와 관련하여 민족의 정서가 된 ‘한’. 흑인과 우리 민족의 공통된 아픔과 과거가 묻어있다. 현실이 반영이 된 예술, 문학 그리고 음악. 현재가 과거를 알 수 있게 많은 작품들이 남아 그 당시의 아픔을 떠오르게 한다. 한편 이 아픔이 흑인에게의 음악의 예술성의 깊이를 가지게 했고 우리나라는 문학의 새로운 획을 긋게 되었다. 탄압과 억압이 매우 긍정적인 시각에서는 새로운 예술성을 창출하게 되는 방법이 되었다.
6. 맺음말
이번 조사를 하면서 느낀것은 음악은 그시대 사람의 모습을 알수 있다는 것이었다. 흑인 음악 속에는 그들의 불행한 역사가 숨어져있고 나아가 그들의 음악은 그들 삶자체를 표현 한다. 그들의 음악도 그들의 역사와 마찬가지도 역경을 딛고 발전해 왔다. 그래서 결국 지금은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고 주류하고 할 수있다. 그런 흑인음악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살펴 보았고 음악장르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흑인 음악속에는 우리음악과 같은 한’이라는 정서가 들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고 문헌
대중화 시대의 음악 - 이장직
CCM칼럼니스트 - 추연중 (블랙가스펠에 대한 서가)
http://cafe.naver.com/gaury.cafe
http://blog.naver.com/loneflower
http://cafe.naver.com/panzer31
추천자료
MP3 저작권 문제와 국내 대중음악산업에 대한 고찰
서태지의 대중음악내 영향력 분석(A+레포트)
일제시대의 대중음악
[대중음악]비틀즈 (Beatles)
저작권의 개념, 인터넷상의 공유와 저작권, 공유와 저작권의 갈등배경, 음반시장환경, 디지털...
대중음악속의 국악
대중음악 레포트
[★★대중음악 표절 해결방안★★] 대중음악 표절의 현황과 문제점 및 대중음악 표절 근절 방안
[문화선교] 『대중음악』
(가천대학교 사이버강의) <21세기 문화트렌드 읽기 학습저널> 12~14주차 (현대 미술 트렌드 ...
대중음악의 탄생의 정의
대중음악과 영화
대중음악인의 예술의 전당 사용 논쟁 (가수 인순이의 예술의 전당 오페라 극장)
(국제브랜드관리 C) 한국의 대중음악(K-Pop)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차별화하기 위해서 어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