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김수영][모더니즘 개념][한국 모더니즘 변모양상][김수영 모더니즘][김수영적 모더니즘 문제의식]모더니즘의 개념, 한국 모더니즘의 변모양상, 김수영의 모더니즘, 김수영적 모더니즘의 문제의식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더니즘][김수영][모더니즘 개념][한국 모더니즘 변모양상][김수영 모더니즘][김수영적 모더니즘 문제의식]모더니즘의 개념, 한국 모더니즘의 변모양상, 김수영의 모더니즘, 김수영적 모더니즘의 문제의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모더니즘의 개념

Ⅱ. 한국 모더니즘의 변모양상
1. 모더니즘의 발생
2. 전후 모더니즘

Ⅲ. 김수영의 모더니즘
1. 모더니즘 세계관
2. 리얼리즘과 모더니즘
3. 비극적 현실의식과 참여
4. 김수영 모더니즘의 시사적 위치

Ⅳ. 김수영적 모더니즘의 문제의식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다.
꽃이 열매의 상부에 피었을 때
너는 줄넘기 작난을 한다
나는 발산한 형상을 구하였으나
그것은 작전같은 것이기에 어려웁다
국수-이태리어로는 마카로니라고
먹기 쉬운 것은 나의 반난성일까
동무여 이제 나는 바로 보마
사물과 사물의 생리와
사물의 수량과 한도와
사물의 우매와 사물의 명석성을
그리고 나는 죽을 것이다.(「공자의 생활난」, 1945)
이 시로부터 공자의 조문도석사가의를 이끌어 내는 것은 그것이 시인의 의도적 농락에 말려들어가는 유쾌한 전략이라 하더라도 너무나 단순한 유추일 듯싶다. 오히려 핵심은 孔子가 인용된 이유를 찾는 데 있지 않을까. 이러한 질문을 던지고 구체적 분석까지 이끌어 낸 것이 정재찬(1993)이 거의 유일할 듯싶은데, 그러나 지적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이 시는 너에 대한 반란성이 아닌 나에 대한 나의 반란성이 문제되고 있다. 시 전체로 본다면, 의미론적으로는 대위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 셈이다. 너의 작난과 나의 작전, 다시 나의 반란성(너의 작난)과 나의 바로 봄, 그리고 죽음. 죽음은 명과 실의 최종적인 완성이다. 따라서 풀이하자면, 다음과 같은 해석이 생긴다.
꽃이 사물의 수렴적 형상, 즉 하나의 비유일 때, 모든 사물은 하나의 이름을 갖는다. 모든 사물은 하나의 동일한 이름으로 불리워질 때, 그들 사이를 넘나드는 것은 줄넘기 作亂처럼 쉬운 일이다. 줄넘기 作亂은 경박성의 다른 이름이다. 경쾌함이나 속력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국수와 마카로니, 이름이 바뀌었기에 쉽게 먹을 수 있는 것은 사물의 발산한 형상을 구하는 나에 대한 나의 반란성 때문이다. 그러나 먹기 쉬워진 것은 넘나드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그 형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내적 갈등 요인의 해소책은 사람의 본질을 바로 보는 것이다. 바로 보기 위해서는 분할하고 판명해야 한다. 이 작업은 윤리적인 것이다. 발산한 형상이요, 사물의 본질인 도는 이치이자, 도리이기 때문이다. 후일 그가 이상의 시 작업에 대해 했던 다음과 같은 말에 비추어 볼 때, 이 작품을 두고 히야까시 같은 것이었다고 말했던바 실제의 의도는 이 작품을 평가 절하하려 했던 데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내가 불만스럽게 생각하는 것은 이상이 일본적 서정을 일본어로 쓰고 조선적 서정을 조선어로 썼다는 것이다. 그는 그 반대로 해야 했을 것이다. 그는 그렇게 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함으로써 더욱 철저한 역설을 이행할 수 있었을 것이었다.그렇다고 공자를 하나의 패러디로 삼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 공자와 같은 성인의 자리에는 박일영이 올 수 없기 때문이다. 박일영의 초현실주의 내지 허무주의는 공자의 지행일치로는 생존할 수 없었으므로, 공자가 너의 줄넘기 작난에 대립적인 의미에서 인용된 것은 분명하되, 그것은 근대라는 가벼움에 고전주의적 무게를 대치시키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라 보는 것이 오히려 타당하다. 그것은 처음 필자가 근대주의 내부로부터의 동요를 주도하는 두 가지 경향 중 하나로 지적한 바 있는 반근대적 경향성, 즉 유교적 근본주의가 얼굴을 내미는 지점이다. 본다의 의미 또한 이 논의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참고문헌
김수명 편(1981), 김수영 전집 2, 산문, 민음사
김승희(2000), 김수영 다시 읽기, 프레스21
신정은(1995), 박인환·김수영의 1950년대 시 대비 연구, 경북대학교
이민호(2000), 현대시의 담화론적 연구 김수영·김춘수·김종삼의 시를 중심으로, 서강대 박사
최하림·김수영(1995), 문학세계사
한명희(2002), 김수영 시에서의 고백시의 영향, 김수영 정신분석으로 읽기, 월인
한명희(2002), 김수영 시의 영향관계 연구, 비교문학 제29집, 한국비교문학회

키워드

모더니즘,   김수영,   예술,   문학,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4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