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분석][직무분석 유형][직무분석 목적][직무분석 단계][직무분석 새로운 경향]직무분석의 정의, 직무분석의 유형, 직무분석의 목적, 직무분석의 용도, 직무분석 단계, 직무분석 새로운 경향, 직무분석 관련 용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직무분석][직무분석 유형][직무분석 목적][직무분석 단계][직무분석 새로운 경향]직무분석의 정의, 직무분석의 유형, 직무분석의 목적, 직무분석의 용도, 직무분석 단계, 직무분석 새로운 경향, 직무분석 관련 용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직무분석의 정의

Ⅲ. 직무분석의 유형
1. 과제 중심적 직무분석
2. 작업자 중심적 직무분석

Ⅳ. 직무분석의 목적과 용도

Ⅴ. 직무분석의 단계
1. 1 단계 : 행정적 단계(준비단계)
2. 2 단계 : 직무분석 설계단계
3. 3 단계 : 자료수집과 분석 단계
4. 4 단계 : 결과정리 단계
5. 5 단계 : 직무분석 결과의 배포단계
6. 6 단계 : 통제단계(최신의 정보로 수정하는 단계)

Ⅵ. 직무분석의 새로운 경향

Ⅶ. 직무분석 관련 용어
1. 동작(Motion)
2. 작업요소(Task Element)
3. 작업(Task)
4. 직무(Duty)
5. 직업(Job)
6. 직업군(Occupational Clusters)
7. 직무분석의 실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순한, 즉 \'Flat Organization\'으로 변화하는 추세에 맞추어 직무의 Broadbanding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Ⅶ. 직무분석 관련 용어
직무분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관련용어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어야 한다. 왜냐하면 직무분석자의 입장, 분석목적, 분석방법 등에 따라 용어가 다르게 쓰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직무분석 용어의 통일을 기하기 위하여 좁은 의미로부터 넓은 의미의 용어 개념 순으로 나열해 보면, 동작(Motion) → 작업요소(Task Element) → 작업(Task) → 직무(Duty) → 직업(Job) → 직업군(Occupational Clusters)으로 나타낼 수 있다.
1. 동작(Motion)
직무실시의 관점에서 관찰되는 일련의 단위행동을 말하며 동작의 순서, 시간 등에 의해서 표현되는 단계이다.
2. 작업요소(Task Element)
작업요소는 직무분석의 작업 활동 중 가장 세밀한 수준에 위치한다. 어떤 작업은 분리된 동작, 운동 그리고 정신적 과정 등으로 나누지 않기도 하기 때문에 작업요소는 세분화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실제적 단계가 된다.
3. 작업(Task)
한 개 또는 수 개의 작업이 모여 직무를 이룬다. 작업은 한 개의 직무 중에 포함된 작업 활동의 한 단위이다. 작업은 하나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소모되는 작업시간의 일정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직무를 수행해 나가는 주기 내에서 일정한 빈도를 가지고 발생한다. 과업 또는 단위업무라고도 부르며 직무분석을 실시할 때 가장 중요한 분석단위가 된다.
4. 직무(Duty)
한사람이 수행하는 일들이 그 직무를 이룬다. 만일 여러사람이 동일한 일을 수행하고 있다면 그들은 동일한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이다. 이 직무가 바로 선발, 훈련, 직무분류 및 과업배분의 단위가 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어떤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간이 어떤 노력을 할 때 거기에 하나의 작업(task)이 생긴다. 이 일이 쌓여서 사원의 채용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거기에 하나의 직위(position)가 만들어진다. 수많은 직위중에서 그의 대부분 또는 주요한 동일한 것이 있으면 그들 군집의 단위를 총칭하여 하나의 직무(duty)라고 한다.
5. 직업(Job)
직업은 직무보다 더 넓은 개념으로 하나 또는 몇 개의 유사한 직무로 구성되며 개인의 능력에 따라 생계유지 등 일정한 목적을 위해 전문적으로 종사하는 일을 말하며 직무분류 또는 직업소개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 그 자체라고 볼 수 있다.
6. 직업군(Occupational Clusters)
일에 쓰이는 재료와 장비의 종류, 주요 부품과 기술개념 등에서 서로 관련되는 유사직업의 집단을 말한다. 그리고 직군(job group)이란 관리직, 전문직, 사무직, 기술직 등의 몇 개의 직업군이 모여서 형성된 것으로 직장의 개념으로 볼 수 있으며 그 이상의 것을 묶었을 때를 직부(occupation division)라 한다.
7. 직무분석의 실체적 개념과 추상적 개념
실체적 개념이란 작업현장에서 통용되며 실제로 존재하는 개념을 의미하며, 추상적 개념이란 실제로 활용되지는 않으나 관리상의 편의를 위해서 도입된 개념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 김강식(2005), 인적자원관리, 삼영사
* 장수용(2005), 직무분석 조사기법, 전략기업컨설팅
* 직무분석과 정원산정(2007), 한국생산성본부
* 임승빈(2002), 직무분석의 개념과 방법, 2002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이재규(2004), 전략적 과학적 기획관리론, 해동
* 이상범(2005), 현대생산운영관리, 명경사
* 허진(2003),직무분석 이렇게 하라, 주간경제 719호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5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