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본 론
3. 결 론
2. 본 론
3. 결 론
본문내용
직장과 가정적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만일 아기를 양육할 의사가 없을 경우 다른 가정에 입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고아수출 1위국이라는 사실에 분노만 할 것이 아니라 입양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 가야 한다.
(3) 생명을 존중히 여기는 사회분위기 조성
산모의 건강이 조금만 문제가 있어도 낙태해 버리는 성급함보다도 발달된 의학기술을 사용해서 먼저 의학적으로 최선을 다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낙태의 원인이 되는 남아선호사상, 이기주의 개인주의적 사고를 바꿔가는 의식의 변화를 위한 계몽작업이중요하다.
(4) 모든 사람의 관심이 되어야 할 낙태문제
흔히들 낙태는 여성만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어리석게도 낙태할 수 있는 권리를 얻는 것이 여성해방운동의 승리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낙태는 우리 모두의 문제이다. 여성이 낙태를 하게 되는 대부분의 이유가 바로 사회와 남성위주문화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낙태법 개정, 미혼모 보호, 입양, 바른 성교육 등에 모든 사람들이 참여해야 한다.
우리사회가 변화해 가면서 발생하는 미혼모 문제와 이와 떼어놓을 수 없는 낙태의 문제는 우리가 반드시 풀고 넘어가야 할 문제이다. 지금은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닌듯하지만 머지 않아 선진국들이 그러했듯이 우리도 빨리 새로운 해결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그러니 해외의 좋은 사례들이 우리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고 우리는 그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여성복지가 ‘부엌에서 탁아소까지’거의 완벽하게 실시되고 있는 스웨덴에서는 이러한 완벽한 사회보장제도의 결과 자녀가 있으면서 정식으로 결혼을 한 가정은 전 가구의 1/4에 불과하고 동거부부, 독신모, 미혼모가 더 흔하다. 즉 다양한 혼인현태, 가족형태를 용인하여 미혼모가족도 당당한 하나의 가족형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 스웨덴에서와 마찬가지로 덴마크에서는 성행위를 성숙한 청소년들과 성인들의 자연스러운 욕구로 인정하는 완전히 개방된 사회분위기로 인해 미혼모를 특별한 문제로 취급하기 보다는 다양한 가족형태 중의 하나로 받아들이는 경향이어서, 흔히 임산부나 혼외 출생아에 대하여 비난하거나 낙인을 주지 않는다고 한다.
이렇듯 우리의 개방된 성문화를 다시 닫아버릴 수 없다면 악화되지 않도록 성교육을 일반화 하고 이미 발생한 미혼모에 대한 우리의 의식을 바꾸고 그들을 위한 사회제도를 정비하고 우리가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3) 생명을 존중히 여기는 사회분위기 조성
산모의 건강이 조금만 문제가 있어도 낙태해 버리는 성급함보다도 발달된 의학기술을 사용해서 먼저 의학적으로 최선을 다하는 분위기가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대부분의 낙태의 원인이 되는 남아선호사상, 이기주의 개인주의적 사고를 바꿔가는 의식의 변화를 위한 계몽작업이중요하다.
(4) 모든 사람의 관심이 되어야 할 낙태문제
흔히들 낙태는 여성만의 문제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어리석게도 낙태할 수 있는 권리를 얻는 것이 여성해방운동의 승리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낙태는 우리 모두의 문제이다. 여성이 낙태를 하게 되는 대부분의 이유가 바로 사회와 남성위주문화의 결과이기 때문이다. 낙태법 개정, 미혼모 보호, 입양, 바른 성교육 등에 모든 사람들이 참여해야 한다.
우리사회가 변화해 가면서 발생하는 미혼모 문제와 이와 떼어놓을 수 없는 낙태의 문제는 우리가 반드시 풀고 넘어가야 할 문제이다. 지금은 그다지 큰 문제가 아닌듯하지만 머지 않아 선진국들이 그러했듯이 우리도 빨리 새로운 해결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그러니 해외의 좋은 사례들이 우리에게 좋은 본보기가 될 것이고 우리는 그것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여성복지가 ‘부엌에서 탁아소까지’거의 완벽하게 실시되고 있는 스웨덴에서는 이러한 완벽한 사회보장제도의 결과 자녀가 있으면서 정식으로 결혼을 한 가정은 전 가구의 1/4에 불과하고 동거부부, 독신모, 미혼모가 더 흔하다. 즉 다양한 혼인현태, 가족형태를 용인하여 미혼모가족도 당당한 하나의 가족형태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또 스웨덴에서와 마찬가지로 덴마크에서는 성행위를 성숙한 청소년들과 성인들의 자연스러운 욕구로 인정하는 완전히 개방된 사회분위기로 인해 미혼모를 특별한 문제로 취급하기 보다는 다양한 가족형태 중의 하나로 받아들이는 경향이어서, 흔히 임산부나 혼외 출생아에 대하여 비난하거나 낙인을 주지 않는다고 한다.
이렇듯 우리의 개방된 성문화를 다시 닫아버릴 수 없다면 악화되지 않도록 성교육을 일반화 하고 이미 발생한 미혼모에 대한 우리의 의식을 바꾸고 그들을 위한 사회제도를 정비하고 우리가 도움을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미혼청소년 문제, 청소년부모, 성문제, (여성학,청소년문제,미혼모)
(청소년 복지) 청소년 문제와 청소년 복지의 필요성 및 복지방안 제시(10대 미혼모, 청소년 ...
여성 복지 - 미혼모 문제와 시설방문을 중심으로
미혼모의 현황과 실태 및 복지 정책과 그 문제점 개선방향
여성복지의 대상이 되는 여성문제의 유형 및 특성 중 미혼모에 대해서..
미혼모 발생요인,실태,사회복지서비스현황,문제점,대책, 사례 PPT 프리젠테이션
미혼모 발생요인,실태,사회복지서비스현황,문제점,대책, 사례 보고서
미혼모(정의,개념,유형,특성,발생원인,부정적영향,문제점,미혼모보호사업,사각지대,대책,사례...
10대_미혼모_및_미혼부_발생_실태와_원인_및_미혼모,_미혼부_문제_해결방안
미혼모의 실태와 문제점 및 제도 해결방법
청소년과 성(性) 성문제, 성매매, 성착취, 매춘, 윤락, 음란, 미혼모
[미혼모 대책방안] 한국사회 미혼모의 실태와 문제점 및 미혼모 대책방안
청소년의 성(청소년성문제, 청소년성매매, 낙태, 미혼모, 청소년성문제해결방안, 성문화센터)...
미혼모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