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중국의 식문화 ≫
1. 중국 음식문화사
2. 각 지역별 음식의 특징 및 종류
3. 중국 음식의 재료 및 양념
4. 조리용구의 종류 및 용도
5. 중국의 정찬(연회식) 상차림
≪ 베트남의 식문화 ≫
1. 베트남의 식문화*
2. 식습관 및 음식의 특징 정리
3. 베트남인의 식사 형태
4. 지역별 음식
5. 대중적인 음식
1. 중국 음식문화사
2. 각 지역별 음식의 특징 및 종류
3. 중국 음식의 재료 및 양념
4. 조리용구의 종류 및 용도
5. 중국의 정찬(연회식) 상차림
≪ 베트남의 식문화 ≫
1. 베트남의 식문화*
2. 식습관 및 음식의 특징 정리
3. 베트남인의 식사 형태
4. 지역별 음식
5. 대중적인 음식
본문내용
철저하다. 그러므로 조상의 기일을 위한 제사를 꼭 이행한다.
4. 지역별 음식
- 메콩강 하류에 퍼져 있는 남부지역은 베트남 제일의 곡창지대이다. 음식이 맛은 대체적으로 단데,`양념의 주가 되는 '다레'는 앞에서 서술한 누옥맘(nuoc mam)에 라임이나 매운 고추가루를 섞어 만든 것이다. 중국식 국수를 만들 때에 국수에 섞는 천연 소다수인 '간수이'가 들어간 노란 면이나 튀김면을 볼 수 있는 것도 남부지역이다. 프랑스, 미국, 타이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중부지역은 그대표적인 요리로 자주 '후에'요리가 등장한다. 후에는 한때 베트남의 수도였기때문에 아직도 그 당시의 격식을 갖춘 궁중요리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지역의 요리중 특징적인 것은 제육과 콩을 찐 요리인 '가너우 도우'와 봉황 모습으로 차려내는 '포옹황 카이비이', 새우튀김인 '카쿠온 치엔돈' 등이 있다.
- 북부지역의 겨울은 점퍼를 입어야 할 정도로 서늘하다 못해 추운 곳이다. 남부보다는 음식이 덜 달고 덜 시면서 간이 약해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가느다란 면과 함께 채소로 싸서 먹는 '깨'에다 돼지고기, 새우, 표고 등을 섞어 튀긴 '넴쿠아베'와 게와 뱀장어를 넣고 볶은 잡채인 '멘쿠우 루웅 사오' 등이 있다.
5. 대중적인 음식
- 밥과 함께 매일 먹는 음식 중에 '퍼(쌀국수)'가 있다. 이것은 향초와 함께 먹는데, 가장 흔한 음식으로 하노이에서는 골목길 어디에서나 판다.
- 흔한 음식으로 '고이구온'이 있다. 이는 삶은 돼지고기와 새우를 잘게 썰고 여기에 파, 쌀국수, 각종 채소를 채워 라이스 페이퍼에 돌돌 말아 기름에 튀긴 것이다. 어느 대중 음식점에서나 접할 수 있는 음식으로 꽤 맛이 있다. 다만 고수 냄새와 같은 냄새(빈대 냄새 비슷)를 싫어하는 사람은 적응이 필요하다. 이 냄새는 '꾸에'라고 하는 향초 때문인데 베트남에 가려면 이 냄새에 익숙해져야 한다.
- 서민들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검디아'라는 것이 있다. 우리나라의 덮밥과 비슷한 것이다. 따뜻한 고기 국물에 말은 밥 위에 진열대에 늘어 놓은 닭고기, 동물의 내장 삶은 것 등 여러 가지 고기를 손가락을 가르키면 그것을 얹어 준다.
- 작은 호텔에 투숙하면 아침식사가 제공되는데, 이때 닭고기를 삶은 국물에 닭가슴살을 듬뿍 넣은 '퍼가'와 쇠고기 뼈를 하루 종일 곤 국물에 삶은 쇠고기를 넣은 '퍼보'중에 한가지를 골라 먹을 수 있다.
4. 지역별 음식
- 메콩강 하류에 퍼져 있는 남부지역은 베트남 제일의 곡창지대이다. 음식이 맛은 대체적으로 단데,`양념의 주가 되는 '다레'는 앞에서 서술한 누옥맘(nuoc mam)에 라임이나 매운 고추가루를 섞어 만든 것이다. 중국식 국수를 만들 때에 국수에 섞는 천연 소다수인 '간수이'가 들어간 노란 면이나 튀김면을 볼 수 있는 것도 남부지역이다. 프랑스, 미국, 타이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 중부지역은 그대표적인 요리로 자주 '후에'요리가 등장한다. 후에는 한때 베트남의 수도였기때문에 아직도 그 당시의 격식을 갖춘 궁중요리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 지역의 요리중 특징적인 것은 제육과 콩을 찐 요리인 '가너우 도우'와 봉황 모습으로 차려내는 '포옹황 카이비이', 새우튀김인 '카쿠온 치엔돈' 등이 있다.
- 북부지역의 겨울은 점퍼를 입어야 할 정도로 서늘하다 못해 추운 곳이다. 남부보다는 음식이 덜 달고 덜 시면서 간이 약해 담백한 맛이 특징이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가느다란 면과 함께 채소로 싸서 먹는 '깨'에다 돼지고기, 새우, 표고 등을 섞어 튀긴 '넴쿠아베'와 게와 뱀장어를 넣고 볶은 잡채인 '멘쿠우 루웅 사오' 등이 있다.
5. 대중적인 음식
- 밥과 함께 매일 먹는 음식 중에 '퍼(쌀국수)'가 있다. 이것은 향초와 함께 먹는데, 가장 흔한 음식으로 하노이에서는 골목길 어디에서나 판다.
- 흔한 음식으로 '고이구온'이 있다. 이는 삶은 돼지고기와 새우를 잘게 썰고 여기에 파, 쌀국수, 각종 채소를 채워 라이스 페이퍼에 돌돌 말아 기름에 튀긴 것이다. 어느 대중 음식점에서나 접할 수 있는 음식으로 꽤 맛이 있다. 다만 고수 냄새와 같은 냄새(빈대 냄새 비슷)를 싫어하는 사람은 적응이 필요하다. 이 냄새는 '꾸에'라고 하는 향초 때문인데 베트남에 가려면 이 냄새에 익숙해져야 한다.
- 서민들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검디아'라는 것이 있다. 우리나라의 덮밥과 비슷한 것이다. 따뜻한 고기 국물에 말은 밥 위에 진열대에 늘어 놓은 닭고기, 동물의 내장 삶은 것 등 여러 가지 고기를 손가락을 가르키면 그것을 얹어 준다.
- 작은 호텔에 투숙하면 아침식사가 제공되는데, 이때 닭고기를 삶은 국물에 닭가슴살을 듬뿍 넣은 '퍼가'와 쇠고기 뼈를 하루 종일 곤 국물에 삶은 쇠고기를 넣은 '퍼보'중에 한가지를 골라 먹을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문화] 중국의 경극과 중국대중문화에 대해서
중국의 음식문화
중국 후진타오정부의 신국가 전략
LG전자의 베트남 합작투자
베트남에 관한 보고서
중국의 문화 조사
한국기업의 대 베트남 진출과 외국기업에 대한 투자환경 분석
LG 생활건강 - 베트남 진출 사례 (국내 기업 해외진출 )
[베트남전쟁][베트남전쟁 과정][한국과 베트남 관계][미국 베트남전쟁 평가][미국 참전]미국...
[진시황제][진시황제 분서갱유][진시황제 중국대륙통일][진시황제 병마용갱][진시황제 평가]...
섬유쿼터 철폐가 베트남에 미치는 영향 및 베트남의 WTO 가입 전망
중국 군사력의 이해
중국의 당국가제도의 주요 특성과 변화
소개글